중국어에 문화 링크 걸기 창을 든 '나'는 희생에서 자존의 주체로 발전 ▲ 我의 자형변화 갑골문의 我는 용도가 다양한 창의 형상을 잘 보여주고 있으며 늘 분신처럼 들고 다니던 창은 '나'를 나타내는 의미로 확장되었다. ⓒ 漢典 우리나라에서 오디션 프로그램 <나는 가수다>가 인기를 얻자 중국에서도 <我.. 鈍銘千字 2013.08.16
漢文字는 한民族의 글이자 言語이다 漢文字는 한民族의 글이자 言語이다 출처 : 律坤학회 序 論 가. 漢字의 發達史 ㉠ 漢字의 始作 ㉡ 漢字의 歷史 ㉢ 漢字의 思想 나. 漢字는 中國人의 글이 아니다 ㉠ 漢文字는 소리글이자 뜻글이다. ㉡ 三讀法과 三味法 ㉢ 中國의 祖上은 四夷이다 結 論 (결론 부분 자료 없음 . 미완성) 序 .. 鈍銘千字 2013.06.24
破字이야기 破字이야기 [破字이야기] 목차 안내 제 1장. 서론 제 2장. 수수께끼와 破字 제 3장. 단일 파자와 그 유형 제 4장. 單一破字의 표현과 특징.창의적 파자. 제 5장. 破字占이야기 제 6장. 多字破字의 유형 제 7장. 多字破字의 표현방식 제 8장. 결론.단일파자와 다자파자의 비교.파자전망.참고문헌.. 鈍銘千字 2012.10.02
漢字·漢文 學習의 必要性 漢字·漢文 學習의 必要性 우리말의 많은 부분이 한자로 되어 있으며, 또 우리 문화 유산중에는 한자로 된 기록이 많다. 우리는 민족문화를 창달하고 찬란한 미래를 창조해야할 역사적 사명을 띠고 있다. 바른 언어 생활 뿐 아니라, 우리의 역사와 과거를 바르게 알기 위해서 한자와 한문.. 鈍銘千字 2012.03.05
恒 山_미투리 [미투리는 미투리를 신고 역사적인 발자취를 남겼던 선비들의 명훈을 현재와 미래로 조명하는 코너입니다.] 미투리 신사 항산 김 유 혁 (1) 미투리 신고 가는 저 양반 의관 차림새 점잔하고 교양미(敎養美)가 넘쳐난다. 의젓한 몸가짐에 사람들마다 예의(禮義) 갖추며 주고 받는 말솜씨 세련미(洗練味) .. 鈍銘千字 2011.01.17
고사성어_끝 汗流浹背(한류협배) 汗(땀 한) 流(흐를 류) 浹(적실 협) 背(등 배) 사기 진승상세가(陳丞相世家)의 이야기. 서한(西漢)시기, 한문제(漢文帝)는 태위 주발(周勃)을 우승상에 임명하고, 진평은 좌승상에 임명하였다. 문제는 국정을 어느 정도 파악하게 되자, 어느 날 조회에서 우승상 주발에게 물었다. 일 년.. 鈍銘千字 2009.11.18
고사성어_25 死灰復燃(사회복연) 死(죽을 사) 灰(재 회) 復(돌아올 복) 燃(불사를 연) 사기 한장유(韓長孺)열전의 이야기. 서한(西漢) 시대, 양(梁)나라 효왕(孝王)의 수하에는 한안국(韓安國)이라는 관리가 있었다. 그는 효왕과 한나라 효경제 사이의 불화를 해결하여 관직에 올랐던 사람이었다. 그런데 훗날, 그는 위.. 鈍銘千字 2009.11.07
고사성어_24 取而代之(취이대지) 取(취할 취) 而(말 이을 이) 代(대신할 대) 之(그것 지) 사기 항우본기(項羽本紀)의 이야기. 진(秦)나라 때, 초(楚)나라의 귀족이었던 항량은 조카 항우(項羽)가 학문을 하거나 무술을 연마해 주기 바랬다. 하지만 항우는 숙부인 항양에게 이렇게 말하곤 했다. 글 공부는 자기의 이름을.. 鈍銘千字 2009.10.28
고사성어_23 有備無患(유비무환) 有(있을 유) 備(갖출 비) 無(없을 무) 患(근심 환) 춘추좌전 양공(襄公) 11년조의 이야기. 기원전 641년, 진(晋)나라 도공(悼公)은 11개 동맹국의 군대와 연합하여 정(鄭)나라를 공격하였다. 정나라는 당시 약소국으로서 맹주(盟主)인 진나라 덕분에 전란을 피할 수 있었다. 정나라는 악.. 鈍銘千字 2009.10.21
고사성어_22 諱疾忌醫(휘질기의) 諱(꺼릴 휘) 疾(병 질) 忌(꺼릴 기) 醫(치료할 의) 송나라 주돈이(周敦 )의 주자통서(周子通書)에 나오는 이야기. 춘추시대, 채(蔡)나라에 편작(扁鵲)이라는 유명한 의원이 있었다. 어느 날, 그는 채나라 환공(桓公)에게 대왕께서는 병이 나셨는데, 그 병은 피부에 있습니다. 지금 치료.. 鈍銘千字 2009.10.09
고사성어_21 對牛彈琴(대우탄금) 對(대할 대) 牛(소 우) 彈(퉁길 탄) 琴(거문고 금) 남조(南朝) 양(梁) 승우(僧祐)의 홍명집(弘明集)에 나오는 이야기. 옛날 공명의 라는 유명한 음악가가 어느 날 들에서 한가로이 풀을 뜯고 있는 소를 발견하였다. 그는 냇물 소리와 목동들의 피리 소리에 흥취가 돋자, 소를 향해 거문.. 鈍銘千字 2009.09.28
고사성어_20 功虧一 (공휴일궤) 功(공 공) 虧(이지러질 휴) 一(한 일) (삼태기 궤) 상서(尙書) 주서(周書)의 여오(旅獒)에 나오는 기록이다. 주(周)나라가 상(商)나라를 물리치자, 서쪽에 살던 여족(旅族)들이 주나라 무왕(武王)에게 獒(오) 라는 큰 개를 공물로 바쳐왔다. 이때 태보(太保)였던 소공(召公)은 여오(旅獒) .. 鈍銘千字 2009.09.11
고사성어_19 呑棗(홀륜탄조) (온전할 홀) (완전할 륜) 呑(삼킬 탄) 棗(대추 조) 주자어류(朱子語類) 논어(論語) 16편에는 도리란 조리가 분명한 일이지 뭉뚱그린 것이 아니다(不是 一物) 라는 말이 있다. 옛날, 한 의원이 사람들에게 배를 생으로 먹으면 치아에는 좋지만 비장(脾臟)에는 좋지 않고, 반대로 대추는 비장.. 鈍銘千字 2009.09.02
고사성어_18 予取先與(여취선여) 予(나 여) 取(취할 취) 先(먼저 선) 與(줄 여) 전국책(戰國策) 위책(魏策)의 이야기. 진(晋)나라에 지백(知伯)이라는 귀족이 있었다. 그는 또 다른 귀족인 위환자(魏桓子)에게 영토를 강요하였다. 위환자는 후에 위나라의 선조(先祖)가 된 사람인데, 그도 당시에 다른 사람들의 영토를 .. 鈍銘千字 2009.08.23
고사성어_17 爭先恐後(쟁선공후) 爭(다툴 쟁) 先(먼저 선) 恐(두려워할 공) 後(뒤 후) 한비자(韓非子) 유로(喩老)편의 이야기. 춘추시기, 진(晋)나라에는 왕자기(王子期)라는 유명한 마부가 있었다. 조(趙)나라의 대부 양주(襄主)는 왕자기에게서 말 부리는 기술을 배우고, 그와 마차 달리기 시합을 했다. 그러나 양주.. 鈍銘千字 2009.08.16
고사성어_16 織錦回文(직금회문) 織(짤 직) 錦(비단 금) 回(돌 회) 文(무늬 문) 진서(晋書) 열녀전(烈女傳)의 이야기다. 동진(東晋)시기, 전진(前秦)에 진주자사(秦州刺史)를 지내는 두도(竇滔)라는 사람이 있었다. 두도에게는 소혜(蘇蕙)라는 재주 많은 아내 말고도 조양대(趙陽臺)라는 총희(寵姬)가 또 있었는데, 이들.. 鈍銘千字 2009.08.08
고사성어_15 毛遂自薦(모수자천) 毛(털 모) 遂(이를 수) 自(스스로 자) 薦(천거할 천) 사기(史記) 평원군우경(平原君虞卿)열전의 이야기다. 전국시대 조(趙)나라의 평원군(平原君)은 자신의 집에 수많은 식객들을 두고 있었다. 조나라 효왕(孝王) 9년, 기원전 257년, 진(秦)나라의 공격을 받아 수도 한단(邯鄲)이 포위되.. 鈍銘千字 2009.07.30
고사성어_14 終南捷徑(종남첩경) 終(끝날 종) 南(남녘 남) 捷(빠를 첩) 徑(지름길 경) 신당서(新唐書) 노장용전(盧藏用傳)에 실린 이야기다. 당나라 때, 노장용이라는 유명한 선비가 있었다. 그는 두뇌가 명석하고, 시(詩)와 부(賦)에 뛰어났다. 그는 진사에 합격했지만, 조정으로부터 아무런 관직을 받지 못하였다. 그.. 鈍銘千字 2009.07.22
고사성어_13 毛骨悚然(모골송연) 毛(털 모) 骨(뼈 골) 悚(두려워할 송) 然(그러할 연) 화감(畵鑒) 당화(唐畵)에 나오는 이야기이다. 당(唐)나라 중기, 소를 잘 그리기로 유명한 대숭(戴嵩)이라는 화가가 있었다. 그는 소를 그리기 위해 소의 무리속으로 들어가 소의 움직임을 세밀하게 관찰하고, 소의 생활 습성을 깊게.. 鈍銘千字 2009.07.14
고사성어_12 悖入悖出(패입패출) 悖(어그러질 패) 入(들 입) 出(날 출) 대학(大學)에는 덕과 재물과의 관계를 말한 다음과 같은 대목이 있다. 군자는 먼저 덕에 조심하는 것이다. 덕이 있으면 그것에 따라 사람이 생기고, 사람이 있으면 그것에 따라 땅이 생기고, 땅이 있으면 그것에 따라 재물이 생긴다. 재물이 있으.. 鈍銘千字 2009.07.09
고사성어_11 人琴俱亡(인금구망) 人(사람 인) 琴(거문고 금) 俱(함께 구) 亡(죽을 망) 세설신어(世說新語) 상서(傷逝)편에는 죽음에 대한 애상(哀傷)을 이야기들이 실려 있다. 동진(東晋)의 유명한 서예가인 왕희지(王羲之)의 다섯째 아들 왕휘지(王徽之:字는 子猷)와 일곱째 아들 왕헌지(王獻之:字는 子敬) 형제가 모.. 鈍銘千字 2009.07.03
고사성어_10 以卵擊石(이란격석) 以(-써 이) 卵(알 란) 擊(부딪칠 격) 石(돌 석) 묵자(墨子) 귀의(貴義)편에는 계란으로 바위치기 라는 말이 있다. 전국(戰國)시대 초기, 묵자는 노(魯)나라를 떠나 북쪽의 제(齊)나라로 가는 길에 점장이를 만나게 되었다. 이 점장이는 묵자에게 북쪽으로 가는 것이 불길하다고 말했다. .. 鈍銘千字 2009.06.27
고사성어_09 玩火自焚(완화자분) 玩(가지고 놀 완) 火(불 화) 自(스스로 자) 焚(불사를 분) 춘추좌전 은공(隱公) 4년조에는 무력의 위험성을 경고한 기록이 있다. 춘추시기, 위(衛)나라 군주인 장공(莊公)의 첩이 아들을 낳자 이름을 주우(州 )라고 하였다. 주우는 어려서부터 장공의 총애를 받고 조금이라도 마음에 들.. 鈍銘千字 2009.06.23
고사성어_08 時不可失(시불가실) 時(때 시) 不(아닐 불) 可(옳을 가) 失(잃을 실) 상서(尙書) 태서(泰誓)편은 주(周)나라 서백후의 아들인 발(發)이 은(殷)나라 주왕(紂王)을 정벌함에 임하여 군사들을 모아 놓고 훈시한 내용을 기록하고 있다. 이 소인은 새벽부터 밤까지 공경하고 두려워하며, 돌아가신 아버지 문왕의.. 鈍銘千字 2009.06.18
고사성어_07 巧言令色(교언영색) 巧(공교할 교) 言(말씀 언) 令(착할 령) 色(빛 색) 상서(尙書) 경명( 命)편에는 주(周)나라 목왕(穆王)이 백경(伯 )을 태복(太僕)으로 임명하며 훈계하였던 말이 기록되어 있다. 그대의 아래 사람들을 신중히 고르되, 교묘한 말을 하는 자, 좋은 듯 꾸민 얼굴을 하는 자, 남의 눈치만 보.. 鈍銘千字 2009.06.12
고사성어_06 含沙射影(함사사영) 含(머금을 함) 沙(모래 사) 射(활 쏠 사) 影(그림자 영) 동한(東漢)시대 서기 100년경에 허신(許愼)이 편찬한 설문해자(說文解字)의 훼부( 部)에는 전설 중의 괴물을 뜻하는 역(或 ) 이라는 글자가 수록되어 있다. 이 책의 해설에 따르면, 역 이라는 괴물은 자라의 모습인데 다리는 셋 뿐.. 鈍銘千字 2009.06.09
고사성어_05 匹夫之勇(필부지용) 匹(필 필) 夫(지아비 부) 之(-의 지) 勇(날쌜 용) 맹자(孟子) 양혜왕하(梁惠王下)편에는 춘추시대 제(齊)나라 선왕(宣王)과 맹자가 나눈 대화가 실려 있다. 부국강병(富國强兵)을 꿈꾸는 선왕은 왕도정치를 설명하는 맹자에게 이웃 나라들과 사귀는 방법이 있겠는가를 물었다. 맹자는 .. 鈍銘千字 2009.06.03
고사성어_04 썩지 않을 튼튼한 기둥 하나, 一木難支(일목난지) 一(한 일) 木(나무 목) 難(어려울 난) 支(지탱할 지) 남조(南朝) 송(宋)나라의 유의경(劉義慶)이 쓴 세설신어(世說新語) 임탄편(任誕篇)에는 다음과 같은 고사가 실려 있다. 위(魏)나라 명제(明帝)의 사위인 임개(任愷)는 가충(賈充)이라는 사람과의 불화로.. 鈍銘千字 2009.05.29
고사성어_03 숭어가 뛰니까 망둥이도 뛴다?, 西施 目(서시빈목) 西(서녘 서) 施(베풀 시) (찡그릴 빈) 目(눈 목) 莊子 <천운편天運篇>에는 춘추시대 월(越)나라의 미인인 서시(西施)의 이야기가 나온다. 줄거리는 대략 이러하다. 서시가 가슴을 앓아 눈을 찡그리고 있으니, 그 마을의 다른 추녀(醜女)가 이를 보고 .. 鈍銘千字 2009.05.27
고사성어_02 스스로 하도록 도와주는 것, 조장(助長) 助(도울 조) 長(길 장) 孟子 <공손추公孫丑>상편에는 공손추와 맹자의 문답이 실려 있다. 맹자는 호연지기(浩然之氣) 를 설명하고 나서, 순리(順理)와 의기(義氣)의 중요성을 강조하기 위하여 송(宋)나라의 한 농부의 조급한 행동을 예로 들었다. 그 농부는 자.. 鈍銘千字 2009.05.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