軍史관련 654

美·日·中 미사일 확보 경쟁… 동북아에 감도는 전운

美·日·中 미사일 확보 경쟁… 동북아에 감도는 전운 ‘비싼 소모품’ 미사일 도입 속도전, 머지않아 대규모 분쟁 발생 우려 이일우 자주국방네트워크 사무국장 최근 미국 한 군사 전문매체가 흥미로운 기사를 보도했다. “중국이 역내 군사력을 계속 강화함에 따라 아시아·태평양 각국이 경쟁적으로 상륙함 전력을 증강하고 있다”는 내용이다. 그러면서 이 매체는 일본과 호주, 대만, 필리핀 등 각 나라의 상륙함 증강 사례를 소개했다. 아·태 국가들이 중국의 군비 증강에 맞서 다른 것도 아닌 상륙 전력을 강화한다는 소식에 의아해하는 이가 적잖다. 유사시 이들 나라가 해병대를 보내 중국 해안에 상륙작전이라도 하겠다는 것일까.중국의 둥펑-26 중거리탄도미사일. [뉴시스]美 우방국 중심으로 상륙 전력 강화최근 상륙 전력을 강화..

軍史관련 2025.02.06

정보체계 기반의 군수기술 지식정보화 추진방안

정보체계 기반의 군수기술 지식정보화 추진방안중령 김용 육군 제2672부대 장비정비과장상사 김대웅 육군 제2672부대 통신장비담당소령 이귀동 육군 제2672부대 기동/궤도장비담당소령 류연우 육군 제2672부대 화력/특무장비담당요 약현재 국방의 군수 분야는 국방혁신 4.0과 연계하여 디지털 대전환(D.X : Digital Transformation)을 위한 군별 다양한 전략을 마련하여 군수 데이터의 활용을 위한 국방 군수통합정보체계 전력화, 스마트 팩토리, 빅데이터 체계구축 등 다양한 군수 정보화를 추진 중이다. 이를 통해 국방과 연계된 관련 유관기관, 외부기관, 학계, 방산 기업 등과 다양한 군수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활용하는 전략이다. 국방의 군수 분야에 대한 디지털 대전환(D.X.)을 기술정보의 활용으로..

軍史관련 2024.11.18

최근 세계 잠수함 도입 동향

최근 세계 잠수함 도입 동향지속될 해군력 강화 움직임에 국내 업체들의 적극적인 대처 필요최현호 밀리돔 대표/군사칼럼니스트[사진 1] 국산 3,000톤급 잠수함인 장보고-III 배치 1 도산안창호함세계 여러 나라가 군비 강화에 나서고 있는 가운데, 수중전력의 핵심인 잠수함을 도입하는 국가들이 늘고 있다. 호주와 브라질은 핵 추진 잠수함을 도입할 계획이지만, 다른 대부분의 나라들은 재래식 잠수함 도입에 나서고 있고, 대부분 프랑스와 독일제 잠수함인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해외 잠수함 도입 동향을 살펴보고, 국산 잠수함 수출 증대에 필요한 것이 무엇인지 고민해보았다.핵 추진 잠수함 도입국 최근까지 핵 추진 잠수함을 운용하는 나라는 핵무기를 보유한 미국, 프랑스, 영국, 러시아, 중국, 인도의 6개국뿐이다. 이..

軍史관련 2024.11.05

<엄효식의 밀컴> 국방예산 60조원은 적정한가 부족한가

작성자 : 엄효식(218.152.xxx.xxx)국방예산 60조원은 적정한가 부족한가 국방부는 2025년 국방예산으로 2024년 대비 3.6% 증가한 61조 5천878억원을 편성했다. 내년 정부예산 677조원 가운데 약 9%를 차지하는데, 사상최초로 국방예산 60조원 시대에 진입한 것이다. 60조원을 군병력 50만으로 배분하면, 1인당 약 1억 2천만원인데, 장병들은 각각 산술적으로 그만큼의 국방가치를 지니게된다. 국방 예산 중 군사력 운영을 위한 전력운영비는 전년 대비 4.2% 증가한 43조5천166억 원, 군사력 건설을 위한 방위력개선비는 2.4% 증가한 18조712억 원이다.이러한 국방예산은 우리 국군이 ‘자랑스러운 과학기술 강군’으로 도약하도록 다양한 영역에서 당연히 긴요하게 사용될 것이다.   특..

軍史관련 2024.10.01

‘제2의 창군’ 국방혁신 4.0

“병력은 줄어도 군사력은 증강할 것”글 : 김세윤  월간조선 기자  gasout@chosun.com ⊙ AI 기반 첨단 과학기술, 국방혁신 4.0의 핵심⊙ ‘北 핵·미사일 발사 전 교란·파괴’ 킬웹 발전시킨다⊙ ‘우주 경쟁 본격화’… 중장기적 관점에서 우주 전력 강화⊙ 전력 증강 프로세스 재정립… 10~15년 걸리는 무기 획득 프로세스 단축⊙ 2027년 초급 간부 연봉 2023년보다 14~15% 상승(일반 부대 기준)⊙ “국방혁신 4.0, 우리 군에 주어진 시대적 사명”2023년 1월 경기 파주 무건리훈련장에서 열린 ‘아미타이거 시범여단 연합훈련’에서 육군 아미타이거 시범여단 대원들이 분대 전술훈련을 하는 모습. 사진=뉴시스   국방부가 ‘제2의 창군 수준’의 개혁에 돌입한다. 윤석열 대통령은 2023년..

軍史관련 2024.06.10

“2025년에도 전쟁은 계속되고 또 일어날 수 있다”

워랩, 두 번째 북 토크… 《보이지 않는 군대》 역자 조상근 박사 진행글 이경훈  월간조선 기자사진=워랩국내 유일 전쟁/군사 전문 독립서점인 ‘워랩(War Lab, 대표 천종웅, 서울시 용산구, www.warlabkorea.com)’이 지난 4월 26일 책 《보이지 않는 군대》(Invisible Armies)를 주제로 두 번째 북 토크(Book talk)를 열었다. 이날 행사에는 현역‧예비역 장성, 군 간부, 병사, 일반인 등 약 20명이 참가했다.   《보이지 않는 군대》는 군사사학자이자 외교정책 분석가인 맥스 부트(Max Boot)가 2013년에 낸 책이다. 고대부터 현재까지 5000년 동안 게릴라전, 테러, 반란‧대(對)반란전이 어떻게 발전했는지, 비정규군이 정규군을 어떻게 상대해 왔는지를 ‘12가..

軍史관련 2024.05.21

北 핵미사일 고체연료화 완료… 한국군은 무용지물 ‘킬체인’ 유지

北 핵미사일 고체연료화 완료… 한국군은 무용지물 ‘킬체인’ 유지 골든타임 5분인데 액체연료 미사일 기준 40분 전제로 방어체계 구축 신인균 자주국방네트워크 대표 최근 북한이 쏘는 중단거리 미사일에는 한 가지 공통점이 있다. 1970년대 중반부터 2010년대 중반까지 40년 넘게 주력으로 사용한 액체연료 방식 추진체를 포기하고, 새로 개발한 고체연료 방식 추진체를 썼다는 점이다. 북한이 처음 도입한 탄도미사일인 스커드는 액체연료를 사용했으며, 이후 개발한 미사일 대부분에서도 액체연료 방식을 고집했다. 옛 소련의 단거리 전술탄도미사일 OTR-21 ‘토치카’를 복제한 고체연료 미사일도 있었지만, 화성-5·6·7·9형은 물론 무수단과 그 후 등장한 중장거리 탄도미사일 모두 액체연료를 사용했다. 북한이 액체연료 ..

軍史관련 2024.04.17

기뢰전에서 해저 케이블 보호까지 확대되는 해저 작전

해저 인프라 보호 강조되는 해저전… 기뢰전에서 해저 케이블 보호까지 확대되는 해저 작전 최현호 밀리돔 대표/군사칼럼니스트 전쟁의 목표는 군사 분야로 한정되지 않는다.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에서도 상대방의 전쟁 수행능력을 약화시키거나 타격을 주기 위해 사회 기반시설 등을 무력화시키기 위해 다양한 공격이 이루어지고 있다. 상황은 통신케이블과 가스파이프 등이 깔린 해저도 마찬가지다. 중요 기반시설들이 위치한 해저를 무대로 하는 해저전이 미국과 유럽을 중심으로 주목받고 있다. 이번 호에서는 해저전이란 무엇이 며, 어떤 준비를 하고 있는지 알아보았다. 취약한 해저기반 시설 바다는 인류가 배를 만들어 항해에 나서면서 전쟁의 장소가 되었다. 처음에는 바다 위에서 싸우는 수상전이 벌어졌고, 20세기에 들어서 바닷 속에..

軍史관련 2024.02.28

[유용원의 군사세계] 주한미군 순환배치와 한국군 과제

주한미군, 전차 없는 스트라이커 여단 순환 배치… 독자 지상전 대비 서둘러야 지난 1일 미 국방부 국방영상정보배포서비스(DIVIDS)는 미 육군 제3기갑군단 소속 제3기병연대 병력이 한국에 도착해 비행기에서 내리는 사진을 공개했다. 그 이틀 전인 지난달 30일엔 이 부대의 스트라이커(Stryker) 장갑차들을 평택항에 부리는 장면이 공개됐다. 3기병연대는 미 텍사스 포트 카바조스에 기지를 두고 있는데, 1846년 기마 소총병 연대로 시작한 역사를 살려 여단급 부대지만 현재까지 기병연대로 부르고 있다. 3기병연대는 종전에 순환 배치됐던 제2스트라이커여단 2-4 전투단(SBTC)을 대체해 한국에서 약 9개월간 임무를 수행하게 된다. 두 부대 간 공식 교대식은 이달 말 열릴 예정이다. 그래픽=양인성 ◇세번째 ..

軍史관련 2024.02.08

유인항공기 무인화 기술

유인항공기 무인화 기술 박영근 국방과학연구소 항공기술연구원 수석연구원 이종훈 국방과학연구소 항공기술연구원 수석연구원 이재화 국방과학연구소 항공기술연구원 수석연구원 군에서 주로 훈련용 표적 및 정찰용으로 활용되었던 무인항공기는 IT 기술 및 AI 기술의 발전과 함께 공격 및 전자전 등 다양한 임무에 투입되며 현대 전쟁의 승패를 좌우할 수 있는 게임체인저로 부상하고 있다. 특히 급격한 인구감소로 병력 자원 확보가 점차 어려울 것으로 예상 되는 미래 군사 환경에서 무기체계의 무인화는 선택의 문제가 아닌 우리 군이 반드시 나아가야 할 방향이다. 민간분야에서도 자율 및 원격제어 기능을 갖춘 드론은 재해 대응, 환경 모니터링, 농업 및 운송 등에 다양하게 활용되며 4차 산업혁명의 대표 아이콘으로 주목받고 있다. 이..

軍史관련 2024.02.02

과학기술자들이 말하는 한국의 핵무장

과학기술자들이 말하는 한국의 핵무장 “초기 수준 핵무장은 2년, 수준급 핵무장에는 10년 이상 소요” 글 : 이경훈 월간조선 기자 ⊙ 低級 플루토늄탄 18개월, 우라늄농축탄 43개월 걸려(핵실험 생략 시) ⊙ “원심분리기(P2급) 개발과 관련 시설 건설에만 4~11년 걸려”(황일순 서울대 명예교수) ⊙ “핵 실험, 시뮬레이션으로 대체할 수 없어… 투발 수단 따라 실험해야”(이춘근 박사) ⊙ “중국, 한국이 핵탄두 갖는 데만 최소 2년 걸릴 것으로 분석” ⊙ “원자로급 플루토늄으로 핵탄두 만들 수 있지만, 불안정해 무기로는 사용 못 해” ⊙ “핵개발 인력은 산업·학계 인력 끌어모으면 가능… 기폭 장치 당장 개발할 인력은 없어” 이란 핵시설에 설치된 원심분리기. 사진=뉴시스/AP “마음먹으면 1년 이내 핵(..

軍史관련 2024.01.23

미 국방부의 리플리케이터 구상… 대중국 필승전략이자 산업체를 위한 조치

미 국방부의 리플리케이터 구상 대중국 필승전략이자 산업체를 위한 조치 최현호 밀리돔 대표/군사칼럼니스트 [그림 0] 미국은 무인전투기 등 다양한 무인 시스템을 준비하고 있다. 미국은 전 세계에 군사력을 전개하다 보니 서태평양에서 중국의 군사력에 양적으로 뒤지고 있다. 이런 상황을 만회하기 위해 미 국방부가 ‘리플리케이터 구상’이라는 대규모 무인 시스템 도입 계획을 발표했다. 리플리케이터 구상은 현재 진행중인 육·해·공군의 무인 시스템 도입 계획을 전반적으로 통합하여 진행될 예정이다. 하지만 산업계의 역량 등 산재한 문제도 많이 있다. 리플리케이터 구상이 무엇이며, 어떻게 전개될 것인지 알아보았다. 미국이 고민하는 4차 상쇄전략 신냉전이 시작된 이후 미국은 중국과 러시아라는 대등한 적과의 싸움을 위해 고민..

軍史관련 2024.01.18

한국군 장갑차의 역사와 미래 발전 방향

한국군 장갑차의 역사와 미래 발전 방향 이귀현 방위사업청 기반전력사업지원부 고위공무원 한영일 방위사업청 지상공통원가팀 서기관 박천출 방위사업청 지상공통원가팀 주무관 권순일 방위사업청 지상공통원가팀 주무관 앨빈토플러는 인류의 경제생활 방식과 전쟁양상 간에 불가분의 상관관계가 있음을 주장하였다. 전쟁의 양상이 과학기술 발달에 따른 무기체계의 발전과 함께 지속적으로 변화해 온 것이 이를 증명한다. 얼마 전 영국 타블로이드 데일리 메일은 헬리콥터와 비행기, 그리고 험비의 기능을 모두 갖춘 ‘하늘을 나는 트랜스포머 장갑차’가 곧 현실화될 것이라고 밝혔다. 마치 영화 트랜스포머에 등장하는 로봇이 비행기로 변신하여 전투를 하듯이 현실에서도 유사한 기술이 장갑차에 적용되는 것이다. 이러한 모습은 현재 운용중인 장갑차와..

軍史관련 2023.12.20

대규모 병력 감축 나선 美 해병대… 미국 의존해온 한국 해병대 위기

美 대형 수송함 등 기동자산 감축… 韓 해병대 독자적 상륙 역량 갖춰야 신인균 자주국방네트워크 대표 3월 29일 경북 포항시 앞바다에서 한미 해병대가 연합 상륙훈련 ‘쌍룡훈련’을 하고 있다. [뉴스1] 대한민국 해병대는 미국, 중국, 러시아에 이은 세계 4위 규모의 군단급 상륙작전부대다. 병력 수는 2만8000명이 넘고 예하에 2개 사단과 2개 여단을 두고 있다. 이 가운데 제1사단은 상륙사단으로 평시에는 국가전략기동부대 역할을 하고, 유사시에는 적 후방 해안에 상륙하는 공세 전력을 맡는다. 제1사단 예하에는 3개 해병여단과 이를 지원하는 포병여단이 편성돼 있다. 각 해병여단은 공정(空挺)·기습·유격 임무를 부여받은 특화대대를 각각 하나씩 가지고 있다. ‘공정’은 말 그대로 입체 상륙작전의 한 유형으로,..

軍史관련 2023.07.20

209급 잠수함

209급 잠수함 독일이 만든 베스트셀러 디젤-전기추진 잠수함 이집트 해군의 209-1400Mod급 잠수함 S41 개발의 배경 독일은 제2차 대전 패전 후 한동안 군대를 보유하지 못했다. 1955년 11월 12일 새로 창설된 서독군은 1954년 파리협약 의정서 III장 V항에 의해 군비 제한을 받았다. 파리협약 의정서에서는 서독 해군의 잠수함 배수량은 최대 350톤으로 제한했다. 잠수함 배수량 제한은 1962년 초반 450톤으로 상향되었지만, 북대서양조약기구(NATO)의 권고에 따라 같은 해 10월에 1,000톤으로 늘어났다. 1973년에는 다시 1,800톤으로 늘었고, 1980년부터는 배수량 제한이 없어졌다. 전후 서독이 최초로 개발한 201급 잠수함 파리협약 의정서에 따라 서독 해군은 1956년 침몰 ..

軍史관련 2023.06.07

중국의 '대만에 대한 군사력 카드' 수단 평가

중국의 ‘대만에 대한 군사력 카드’ 수단 평가 요약 최근 미중 전략경쟁이 미국의 ‘대만카드’로 심화되면서 미국 등 서방의 각종 연구소 보고서와 언론 매체들은 중국의 ‘대만에 대한 군사력 카드’를 마구잡이식으로 기정 사실화(fait accompli)하는 기사를 경쟁적으로 보도하고 있다. 특히 미국, 일본과 대만 매체들은 중국 동부전구 사령부(ETC) 주관의 대만에 대한 상륙작전 연습 기사를 보도하면서, 중국의 대만 침략을 기정 사실화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하지만 군사 전문가들은 2016년 2월 1일 중국군 개혁에 따라 일본 동중국해, 대만해협과 대한해협을 작전책임지역(AOR)으로 한 중국군 동부전구 사령부가 미국, 일본과 유럽연합의 군사정찰위성과 상용위성이 항시 감시하는 100마일 간격의 대만해협을 건..

軍史관련 2023.05.31

中, 최악의 세계전쟁 '초한전(超限戰)' 벌인다"

"한국에 댓글부대 4000만 명 투입… 中, 최악의 세계전쟁 '초한전(超限戰)' 벌인다" 中인민군 챠오량·왕샹수이 대령, 신전쟁 '초한전' 공개… 이지용 교수가 재조명"인권·법·윤리 등이 미국과 자유국가의 약점… 그 점을 거꾸로 이용하면 이긴다""도덕·양심을 버려라" "상상 초월하는 악마가 되라" "수단 방법 가리지 말라" 강조자금 투자해 美 경제 교란, 바이러스 뿌려 통신망 교란, 가짜뉴스 살포해 여론 교란中·北 마약→ 中인민군·삼합회 취합→ 자유국가에 살포→ 수익으로 정치인 매수마약 좀비 된 캐나다 BC주… 호주·뉴질랜드도 위기… 한국도 남의 일 아니다 ▲ 23일 오후 대구 남구 도태우 변호사 사무실에서 이지용 계명대 중국어중국학과 교수의 '대한민국에 대한 중국의 초한전(超限戰)' 강연회가 열렸다. ..

軍史관련 2023.05.25

해양무인체계의 군사적 활용방안과 한국형 유령함대 건설을 위한 과제

해양무인체계의 군사적 활용방안과 한국형 유령함대 건설을 위한 과제 미 해군 유령함대를 중심으로 김수민 국방대학교 무기체계 전공 석사과정 해군 소령 김경수 국방대학교 무기체계 전공 교수 육군 중령 2022년 7월 환태평양훈련(RIMPAC)에서는 미 해군의 첨단무기들이 모습을 드러냈다. 시헌터와 시호크로 명명된 무인수상함의 훈련 참가는 변화하는 미래 전장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보여주는 상징적 사건으로 부상하는 중국의 위협으로부터 미국과 동맹국들을 보호하기 위한 미 해군의 미래전 개념의 일환인 일명 「유령함대」의 핵심전력이다. 이미, 미국은 2020년 10월, 에스퍼 미국 국방장관이 ‘해양무인체계 140~240척’을 포함한 ‘500척 함대’ 개념을 발표한데 이어 2022년 2월 마이크 길데이 미 해군 참모총장 ..

軍史관련 2023.05.04

미국 시각에서 바라본 한국 방위산업의 발전과 향후 방향

미국 시각에서 바라본 한국 방위산업의 발전과 향후 방향 제임스 그르젤라(James Grzella) 델타원 LLC 선임고문, 前 한국 전문 미군 장교(국방부 연락장교), 레이시온/오비 탈(Orbital) ATK 고위간부 및 컨설턴트로 활동, 민수 및 군사 분야에 30년 이상 고도의 경력을 보유한 산업 협력/절충교역 전문가로서 항공우주 및 방위산업 분야 핵심 관계자들 사이에 세계적인 수준의 컨설팅과 자문 서비스로 신뢰와 명성을 쌓아 왔음. “한국은 어떻게 단 한 세대 만에 지금과 같은 방산 분야 선진국이 되었나?” 이 질문은 미군 장교로서 그리고 전역 후에는 항공·우주·방위산업 분야 전문종사자로서 한국 방위산업의 태동에서부터 세계 최대 방산 강국의 하나로 발전하기까지의 전 과정을 지켜본 필자가 가장 많이 받..

軍史관련 2023.04.17

PLA Rocket Forces Base latitude and longitude

PLA Rocket Forces Base latitude and longitude (Version 2021) 작성자 : 군사고문관(220.123.xxx.xxx) 과거 제 2포병군단이었던 PLA Rocket Forces는 현재 90,000명에서 120,000명의 병력을 보유한 별도의 부대로 운영되고 있습니다. 이 부대의 사령부는 北京 清河(칭허) 지역 내에 있습니다. 이 부대의 사령부는 a full general(총사령관)이 지휘하고 있으며, 전역 지도자급 장교는 정치위원으로 지정되고 있습니다. 9명의 PLA 육군 대장 및 부사령관급 장교들은 예하 발사 여단 및 연대와 함께 61 ~ 69 번호로 매겨진 9개의 기지(또는 발사부대)를 지휘하고 있습니다. ↓ PLA Rocket Force 휘장마크 각각의 PL..

軍史관련 2023.01.16

수소연료전지시스템의 군 기동분야 활용방안

수소연료전지시스템의 군 기동분야 활용방안 김 희 육군종합군수학교 지상수송학과장 육군 대령 조인국 육군종합군수학교 지상수송학과 철도수송교관 (예)육군 중령 오영식 육군종합군수학교 지상수송학과 차륜형장갑차 운전교관 육군 상사 김성경 육군종합군수학교 지상수송학과 견인차량운전 교관 (예) 육군 소령 김재용 육군종합군수학교 수송교육단 과학기술병 육군 일병 우리는 첨단과학기술의 시대에 살고 있다. 눈부시게 발전한 수많은 과학기술은 우리의 삶을 한층 더 윤택하고 편안하게 바꾸어 놓았다. 하지만 이러한 발전은 우리에게 필요한 에너지의 양을 기하급수적으로 증가시키고 있다. 이에 더해 기존의 주요 에너지원으로 사용하던 화석연료가 가지는 여러 문제점이 드러나기 시작하였고, 지속 가능한 발전을 이루기 위해 우리 인류는 화석연..

軍史관련 2023.01.12

동북아 최신소총 트렌드(우리군 차기소총의 방향)

작성자 : KH-179(106.101.xxx.xxx) 1. 중국 QBZ-191 소총 중국의 차기 보병용 제식화기인 QBZ-191 돌격소총입니다. 현재 기준 중국 인민해방군의 가장 최신형 제식화기이며 제일 최신화기답게 확장성과 모듈화, 공학적 설계 등 세계 최신트렌드에 최대한 발맞춰 따라가려는 모습이 엿보이는 물건이라고 생각합니다. 기존 중국군의 제식 돌격소총인 QBZ-95가 불펍식을 채용했었던 반면에 QBZ-191은 일반적인 AR식 설계지만 95소총이 보기에도 확장성이나 모듈화 등 최신 총기설계 트렌드에선 뒤떨어지는 측면이 있었던 반면 191소총은 그런 부분들이 대부분 개선된, 아니 총기 전반적인 설계를 아예 새걸로 내놓았죠. 중국의 독자적 군수체계를 따라가는 만큼 서방권의 메인규격인 5.56mm가 아닌..

軍史관련 2022.12.07

FA-50, 美 레이더·미사일 달고 ‘프리덤 파이터’ 도약 초읽기

신인균 자주국방네트워크 대표 FA-50, 美 레이더·미사일 달고 ‘프리덤 파이터’ 도약 초읽기 미국 정부, 자국 첨단무기 탑재 승인… 우방 공급용 전투기로 낙점한 듯 지구 반대편 우크라이나에서 벌어진 전쟁이 세계사를 다시 쓰고 있다. 9월 대공세가 성공해 우크라이나가 승기를 잡은 듯하던 전황은 러시아의 동원령 선포로 다시 안갯속으로 흘러가고 있다. ‘부분적 동원’이라는 단서가 붙긴 했지만 러시아의 동원령 선포는 역사 흐름을 바꿀 중대 사건이 될 것으로 보인다. 블라디미르 푸틴 대통령의 이번 동원령과 사실상 국가 총력전 체제로 전환은 제정 러시아 말기 로마노프 왕조가 보인 실책과 닮았다. 이를 두고 우크라이나 전쟁은 물론, 러시아의 역사, 더 나아가 세계사 흐름이 크게 달라질 것이라는 예측이 이어지고 있다..

軍史관련 2022.10.04

보잉 F/A-18 E/F 슈퍼 호넷

보잉 F/A-18 E/F 슈퍼 호넷 바다 위 하늘을 지배하는 공포의 말벌 윤상용 편대 비행 중인 F/A-18E/F의 모습. 개발 배경 1990년대 초, 냉전이 종식되기 시작하면서 미국을 비롯한 전 세계 각국은 군비 감축 및 군 개편 과정에 들어갔으며, 응당 그 과정에서 필연적으로 여러 사업들이 취소 혹은 축소되었다. 미 해군은 최초 A-6 인트루더(Intruder) 및 A-7 코르세어 II(Corsair II)가 퇴역함에 따라 맥도넬 더글러스(McDonnell Douglas)/제네럴 다이내믹스(GD, General Dynamics)를 우선협상대상자로 선정하여 전천후 항모 기반 전투기인 A-12 어벤저(Avenger) II를 1983년부터 개발하기 시작했다. 최초 미 해군은 628대, 미 해병대는 238대..

軍史관련 2022.06.27

미 해군 창설의 역사

미 해군 창설의 역사 해적에게 공납하던 국가에서 세계최강의 해군 보유국으로 발돋움하다 미 해군은 창설 당시부터 최강의 해군은 아니었고 오히려 신생군의 빈약한 전력에 불과했다. 해군력은 진정한 국제적인 무력이다. 지구의 3/4이 바다로 이루어져 있고, 따라서 지상군이 기동할 수 없는 지역을 이동할 수 있다. 특히 지상군이 이동할 수 없는 지역으로 세계의 어느 곳이라도 이동할 수 있다. 그리하여 핵심적인 수로를 지키거나 해안이나 인구밀집지 근처까지 상당한 병력을 전개할 수 있다. 특히 해군력은 타국의 주권영역을 침범하지 않거나 갈등이 없이 수천 해리를 이동할 수 있는 능력을 제공한다. 해군력은 상당한 전력을 국제 공공재인 대양을 활용하여 세계로 투사할 수 있는 국제적 무력이다. 이러한 해군력은 국가에게 상당..

軍史관련 2022.01.20

F-16V 바이퍼 전투기

F-16V 바이퍼 전투기 21세기에 맞춰 ‘매’에서 ‘독사’로 진화한 4.5세대 베스트셀러 0 0 정면에서 바라본 F-16V의 모습. 기수의 뾰족한 돌기는 피토관 외에 센서류이며, 조종석 좌우에 삼각형으로 튀어나온 부분이 여분의 연료를 탑재한 컨포멀 탱크(CFT: Conformal Tank)이다. (출처: Lockheed-Martin Corp.) 개발의 역사 1978년에 처음 실전 배치되어 50년 가까이 4,600대 이상 팔린 베스트셀러 항공기인 F-16 시리즈는 역사적으로도 가장 성공적인 4세대 전투기로 손꼽힌다. F-16이 등장하게 된 직접적인 계기인 경량형 전투기 사업(LWF: Lightweight Fighter Program)은 미 공군이 베트남 전쟁에서 얻은 교훈을 바탕으로 추진한 야심작으로, ..

軍史관련 2021.12.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