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의사 김승호의 약초 이야기_17 토사곽란, 통증, 관절염에 효과 시지만 따뜻한 성질 모과 모과 어물전 망신은 꼴뚜기가 시키고 과일전 망신은 모과가 시킨다고 했다. 요새는 안 그런 것 같다. 꼴뚜기가 건강식품으로 얼마나‘인기 짱’인데. 냉동된 중국산까지 수입하지만 없어서 못 팔 지경이다. 시장에 가도 제철에 나.. 스크랩 2012.12.27
한국의 명장_11 “무른 쇠와 강한 쇠가 만나야 좋은 칼 나옵니다” 복합강으로 칼 만드는 단조장 주용부 한경심│한국문화평론가 icecreamhan@empas.com 주용부는 우리나라에서 유일하게 무른 쇠와 강한 쇠를 붙인 복합강으로 칼을 만드는 대장장이다. 복합강으로 만든 칼은 예리하면서도 튼튼하고 잘 무뎌지.. 스크랩 2012.11.30
한의사 김승호의 약초 이야기_16 잘못 쓰면 死藥 관절염, 근육마비, 풍, 강심에 특효 맹독의 명약 초오(草烏) 제주 백록담 분화구 안에 핀 한라돌쩌귀. 초오의 한 종류다. 투구꽃, 각시투구꽃, 세뿔투구꽃, 놋젓가락나물, 참줄바꽃, 지리바꽃, 이삭바꽃, 세잎돌쩌귀, 그늘돌쩌귀…. 가을이 되면 우리나라 전국의 깊은 산속.. 스크랩 2012.11.27
한국의 명장_10 “음식 발효에 좋은 옹기 만들다보니 인생도 무르익었네요” 강진 봉황옹기의 맥 이어온 옹기장 정윤석 한경심│한국문화평론가 icecreamhan@empas.com 전통 깊은 옹기마을에서 나고 자란 옹기장 정윤석(71)은 평생 옹기 말고 다른 일을 해본 적이 없다. 플라스틱에 밀려 옹기가 사양길에 접어.. 스크랩 2012.11.05
한국의 명장_09 헌 상 고쳐주며 나주반 원형 살려낸 소반장 김춘식 “목공예의 꽃은 바로 소반 사람에 대한 배려가 담겨 있죠” 한경심│한국문화평론가 icecreamhan@empas.com 나주반도 다른 전통 공예품과 마찬가지로 한때 단절의 위험에 처했었다. 나주반 소반장 김춘식(金春植·75)은 본래 막상을 만드는 .. 스크랩 2012.09.29
한의사 김승호의 약초 이야기_15 어혈 풀고 굳은 것 깨뜨리다 장자의 나무 옻 충북 단양군 가곡면 말금마을 `옻나무 샘`. 수령 90이 넘은 옻나무가 옆에 서 있다. 샘물이 몸에 좋다는 소문이 퍼지면서 사람들이 많이 찾고 있다. ‘경전의 숲’ 모임 시즌 1이 끝났다. 시즌 1에는 ‘장자(莊子)’내편을 읽었다. 시골 목사, 방.. 스크랩 2012.09.24
이제는 우주다 목차 01. ‘제2의 영토’ 우주 경영 나선다 02. 우주 개발 이렇게 한다 03. 인공위성의 세계 04. ‘To the Space’에서 ‘From the Space’로 05. 이것이 한국의 위성이다 06. 사업성 보고 뛰어든 우주 개발 07. 미래의 우주산업 08.우주는 무궁무진한 벤처산업 09. 우주발사체와 발사장 10. 우주학과 정치.. 스크랩 2012.09.21
한국의 명장_08 사라진 우리 쪽빛 되찾은 염색장 정관채 “전통 잇는다는 집념으로 버텨왔는데 이제는 자연 염색이 유행이네요” 한경심│한국문화평론가 icecreamhan@empas.com 장인 정관채는 쪽빛이 전공이다. 쪽물 염색은 워낙 까다롭고 힘들어서 자연 염색의 꽃으로 꼽힌다. 쪽물 염색으로 유명했던 전남.. 스크랩 2012.08.30
한의사 김승호의 약초 이야기_14 열과 조(燥) 다스려 오장의 맥(脈) 살린다 억척의 생명력 맥문동(麥門冬) 연보라색 꽃을 피우는 맥문동. 부추나 꽃무릇(석산)의 잎처럼 생긴 길쭉한 잎사귀가 사철 무성하다. 언뜻 보면 춘란(春蘭)으로 착각한다. 겨울에도 좀처럼 시들지 않고 푸르고, 웬만한 환경에서도 잘 자란다. 바로 .. 스크랩 2012.08.25
癌센터 어느 병원에 가야할까 머리말 ‘암과의 동거(同居)시대’ 지금 우리나라엔 약 80만명의 ‘암 유병자(癌 有病者)’가 살고 있습니다. 국민 60명 중 1명이 암을 극복했거나 치료 중인 셈입니다. 특히, 65세 이상 노인층은 17명 중 1명이 암 진단을 받은 경험이 있습니다. 그야말로 ‘암과의 동거(同居)시대’입니다. .. 스크랩 2012.08.21
인체 노화 막는 줄기세포 비밀 밝혀내다 21세기 의학혁명 제3순환계 인체 내 존재 확인 서울대 소광섭 교수팀 ‘봉한이론’ 발전시켜 줄기세포 비밀 탐구 프리모시스템을 설명하는 소광섭 교수. 7월 26일 오후 5시경, 서울 일원동 삼성서울병원 본관 지하 세미나실. 정부가 주도하는 ‘2012 미래유망 융합기술 파이오니어 사업’에.. 스크랩 2012.08.15
한국의 명장_07 한산모시 짜기 장인 방연옥 “찜통 같은 열기 속에서 태어나는 시원함이 모시의 매력이죠” 한경심│한국문화평론가 icecreamhan@empas.com 직녀(織女) 방연옥(66)은 무더운 삼복에 모시를 짠다. 청량한 여름 옷감 모시는 그런 날씨에만 짤 수 있기 때문이다. 모시 고장에서 태어나 어머니 젖을 .. 스크랩 2012.08.09
한의사 김승호의 약초 이야기_13 담음(痰飮)으로 인한 일체의 질환 치료 보리밭의 보배 반하(半夏) 겉껍질을 벗겨 햇볕에 말린 반하. 시골에서 어린 시절을 보낸 40~50대라면 더러 보리밭에서 반하(半夏)를 캔 기억이 있을 것이다. 5~6월경이면 보리농사가 끝난 밭에서 반하를 캐는 일에 할 일 없는 아이들과 마을 사람들이 .. 스크랩 2012.07.29
하늘이 내려준 산삼 채취기 “삼은 캐는 게 아니여 그분이 보여주시는 것이지” 심마니와 동행 하늘이 내려준 산삼 채취기 직접 발견해 캔 산삼을 들어 보이는 성재경 한국심마니협회 아산시지부장. 심마니는 길을 찾지 않았다. 사람의 흔적이 없는 곳만 찾아다녔다. 심마니는 길을 만들며 수풀을 헤쳤다. 심마니들.. 스크랩 2012.07.03
후나이원의 '중의양생' _12 더위를 물리치는 수박 양생법 무더운 여름에는 높은 온도와 습도에 사람들이 지치기 쉽다. 많은 사람은 에어컨을 튼 실내에서 더위를 피하거나 아이스크림으로 더위를 식힌다. 이럴 때 더위를 식히고 갈증을 없애는 좋은 방법이 있다. 바로 수박을 이용한 피서법(避暑法)인데 생각 외로 .. 스크랩 2012.07.01
후나이원의 '중의양생' _11 고대의 선인들은 자연을 인식하고 응용하는 능력이 아주 뛰어났다. 이들은 거의 모든 것을 식용과 치료약물로 쓸 수 있었다. 다시 말해 ‘약식동원(藥食同源)’이라 하여 음식과 약물은 그 기원이 같다고 보았다. 고대의 본초학 저술은 우리가 약에 대해 가진 막연한 인식을 바꾸고 자연.. 스크랩 2012.06.15
한국의 명장_06 염장 조대용 대오리 2000가닥으로 만드는 세상에서 가장 우아하고 과학적인 커튼 여름날 대청마루에 발을 걸면 그늘이 드리워지고 바람은 시원하다. 바깥 사람들의 시선을 막아주면서 안쪽에서는 바깥 풍경을 구경할 수 있는 발은 한때 우리 생활에서 빠질 수 없는 용품이었다. 그러나 이.. 스크랩 2012.06.04
한의사 김승호의 약초 이야기_12 화중지왕 모란과 꽃의 재상 작약 항균, 소염, 진정 vs 보혈,(補血) 진통, 항(抗)경련 19세기에 그려진 모란도. ‘화중지왕(花中之王)’. 꽃 중의 왕이다. 모든 꽃이 그 앞에서 머리를 조아리는 꽃이라는 것이다. 무슨 꽃일까. 모란이다. 이 꽃을 ‘국색천향(國色天香)’이라고도 했다. 나라의 .. 스크랩 2012.05.30
한국의 명장_05 나전칠기 명장 1호 손대현 “자개가 아름다운 건 옻칠이 잘 되었기 때문이죠” 나전칠기든 건칠기든 채화칠기든, 모든 칠기는 칠로 시작해 칠로 마무리된다. 나전칠기 명장 1호인 손대현(孫大鉉·63) 명장은 특히 칠 솜씨가 빼어나다. 스무 번 이상 이어지는 칠과 건조과정, 그리고 갈아내.. 스크랩 2012.04.29
한의사 김승호의 약초 이야기_11 약용 꽃의 대부, 노루귀·현호색·산자고 ‘봄꽃, 천지에 약 아닌 게 없다’ 봄이 지나면 한 해가 다 간 것이라고 노래한 시인이 있었던 것도 같다. 필자에겐 연초록과 연분홍빛으로 피어난 어린 속잎들로 온 산야가 파스텔 톤으로 장엄(莊嚴)하다가 어느 순간 무차별한 녹색으로 짙어질 .. 스크랩 2012.04.26
후나이원의 '중의양생' _10 음식양생 고대의 선인들은 자연을 인식하고 응용하는 능력이 아주 뛰어났다. 이들은 거의 모든 것을 식용으로 쓸 수 있었고 또한 거의 모든 것을 치료약물로 쓸 수 있었다. 다시 말해 ‘약식동원(藥食同源)’이라 하여 음식과 약물은 그 기원이 같다고 보았다. 고대의 본초학 저술을 읽어.. 스크랩 2012.04.12
라면 맛의 비밀 [집중탐구] 라면 맛의 비밀 진한 국물 맛이 핵심, 꼬들꼬들한 면발이 좋으면 이렇게 끓여라 ⊙ 1963년 삼양식품이 10원짜리 삼양라면 출시하면서 국내 라면역사 시작 ⊙ 국내 라면시장 규모 1조9000억원, 농심이 시장의 70% 점유 ⊙ 25년 동안 판매 1위 고수, 신라면 맛의 비결은 얼큰한 맛과 구.. 스크랩 2012.04.11
빵 맛의 비밀 [집중탐구] 빵 맛의 비밀 단백질과 미생물의 결정체, 빵은 과학이다 ⊙ 6인의 제과 명장과 50년 제빵 장인을 만나다 ⊙ 고대 이집트에서 빵 만들기 시작, 국내에는 구한말 선교사들에 의해 유입 ⊙ “수없는 반복과 연습 통해 빵 맛의 최대치를 끌어낼 수 있는 자기만의 공정 찾는 것이 중.. 스크랩 2012.04.10
후나이원의 '중의양생' _09 침과 뜸 많은 사람이 침·뜸 치료를 좋아하는 것은 침·뜸(鍼灸)은 약물의 부작용이 전혀 없을 뿐만 아니라 약을 복용하는 것에 비해 치료가 편하고 효과도 빠르기 때문이다. 침·뜸은 임상에서 응용하기가 아주 좋고 효과적인데 혈자리를 정확히 찾을 수만 있다면 대부분 질환을 치료할.. 스크랩 2012.04.05
한국의 명장_04 파란만장 외길인생 걸어온 방짜 유기장 이봉주 “우리만의 뛰어난 합금기술, 반드시 지켜낼 겁니다” 한경심│한국문화평론가 icecreamhan@empas.com 방짜는 놋그릇을 주물로 찍어내는 것이 아니라 일일이 망치로 두드려 재질에 공기 틈새가 없도록 만들어내는 특별한 제작기법이다. 악기는 .. 스크랩 2012.04.01
한의사 김승호의 약초 이야기_10 항암, 강력 진통 효과…대약왕수(大藥王樹), 비파나무 한겨울에도 꽃을 피우는 비파나무. 어린 시절을 보냈던 시골집을 떠올리면 말 그대로 황량한 느낌이다. 전남 해남군 황산면 신성리. 얼마나 궁벽진지 황산면 장터로 나가려면 낮은 야산 잔등이로 난 길들을 따라 오르락내리락 족히 2.. 스크랩 2012.03.27
후나이원의 '중의양생' _08 한의학에서는 약을 사용할 때 단순히 성미(性味)만을 따지는 것이 아니라 생산지(産地)를 중시하고 또 약재의 포제(炮製)와 약의 생긴 모양이 어떤가도 중시한다. 여기서는 대표적인 한약재인 백출(白朮)을 예로 들어 살펴보도록 하자. 우선 백출의 성미(性味)는 쓰고 달며 따뜻하다(.. 스크랩 2012.03.25
한국의 명장_03 작은 공간에 큰 예술 담는 인장 명장 1호 최병훈 “하찮은 도장이라고요? 도장은 그 사람의 인품을 담은 신분증입니다” 한경심│한국문화평론가 icecreamhan@empas.com 작은 도장에서 긴 역사와 문화의 본디 모습을 발견하고, 그 아름다움에 흠뻑 젖어 사는 최병훈 명장은 여섯 살에 아버지에.. 스크랩 2012.03.22
‘배추’ 방동규 원재훈 詩人이 쓰는 대한민국 구라열전 ⑥ ‘배추’ 방동규 싸움꾼 17명과 맞붙은 ‘17대1 전설’의 주인공, 그 진실은… ⊙ 백기완·황석영 등과 함께 ‘조선 3大 구라’ 중 하나로 꼽혀 ⊙ 주먹패, 派獨 광부, 파리의 노숙자, 中東 근로자, 문화운동가로 파란만장한 삶 ⊙ “진정성 없이 .. 스크랩 2012.03.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