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시(禪詩), 깨달음의 표정 선시(禪詩), 깨달음의 표정 출처 : http://jungmin.hanyang.ac.kr/ 작성자 : 정민 언어란 본래 부질없는 도구다. 말로 무언가를 설명하고 남을 이해시키려는 노력은 번번이 수포로 돌아간다. 툭하면 오해를 낳고, 곁길로 샌다. 옛 시인이 “말로써 말이 많으니 말 말을까 하노라”고 노래한 것은 진실로 까닭이 .. 수련단체&요결 2009.07.13
우리 문화 속의 도교 우리 문화 속의 도교 -<초월의 상상> 서설 원고 출처 : http://jungmin.hanyang.ac.kr/ 1905년 권중현(權重顯, 1854-1934)은 《공과신격(功過新格)》 3권 1책을 펴낸다. 중국 여동빈(呂洞賓)의 도교 수양서인 《공과격》을 본떠 지은 권선서(勸善書)다. 인간의 모든 행동을 선악으로 나눠 선행에는 공(功)을 주고, .. 수련단체&요결 2009.06.29
삼거비지(三車秘旨) 장을선인(長乙山人) 이함허(李涵虛) 著. < 삼거비지(三車秘旨) > 삼거(三車)란, 세 가지(三件)의 하거(河車)를 일컬음이라... 제1건은 운기(運氣)이니, 곧 소주천(小周天)으로, 즉, 자오운화(子午-運火)이다. 제2건은 운정(運精)이라, 곧 옥액하거(玉液河車)이니, 운수온양(運水-溫養)이다. .. 수련단체&요결 2009.06.05
기림산방 전기도 들어오지 않는 강원 정선 첩첩산중에 위치한 기림산방. 100세 이상 노인 수백 명으로부터 장수 비결을 연구해 온 김종수 소장이 이곳에서 건강 학교를 운영하고 있다. 장수 노인들을 통해 김 소장이 터득한 건강법은 ‘두한족열’. ‘머리는 차갑게 몸은 뜨겁게’하라는 것. 강원 정선 민둥산 .. 수련단체&요결 2009.06.04
스님들의 건강 비법 원광대 김종인 교수(보건행정학과)는 1962년부터 1993년까지 일간지에 사망기사가 나온 각계 인사 1283명을 대상으로 직업별 평균수 명을 조사했다. 그 결과 최장수 직종은 종교인이었다. 평균수명이 79.5세로 정치인(71.5세)과 연예인(70.6세)을 여유있게 따돌리고 1 위를 차지했다. 종교인들은 왜 장수할.. 수련단체&요결 2009.05.20
힐리언스 仙마을 단 하나뿐인 건강마을, ‘힐리언스 仙마을’ ▲해발 250m의 산등성에 자리잡은 힐리언스 선마을의 전경. 남향의 양지바른 곳이어서 한겨울에도 따뜻하다. 맨위 하얀 건물이 숙소인 캐빈이고 그 아래가 스파 식당 등이 있는 추동재와 춘하재다. 부서지는 햇살-쏟아지는 별빛…자연과 통하니 건강은 저.. 수련단체&요결 2009.02.01
국선도 수련체험기_유인학 나는 지금 국선도의 도운도종사님을 스승님으로 모시며 가르침을 받고 있다. 그런데 정작 국선도와의 인연은 도운도종사님의 스승님이신 청산선사님과 먼저 닿았다. 1988년도의 일이다. 당시 나는 산중에서 지내고 있었다. 수도에 뜻이 있어 산중에 들어갔던 것은 아니었고, 그저 산이 좋아 산에서 살.. 수련단체&요결 2008.11.09
삼혼칠백[三魂七魄] 우리는 흔히 사람의 정신(精神), 마음을 지칭할 때 혼백(魂魄)이란 말을 사용하곤 한다. 이때 혼백의 사전적 의미는 ‘넋’ 영어로 ‘soul’이다. 그런데 우리 전통 선도(仙道)사상이나 중국의 도교(道敎)사상에서는 이 혼백을 좀더 자세히 구분하여 「삼혼칠백(三魂七魄)」이란 용어로 부르고 있다. 여.. 수련단체&요결 2008.08.13
대순진리회는 거듭 태어나야 한다 대순진리회는 강증산 상제의 사상을 따르는 60여 종단 가운데 하나로, 1969년 박한경 도전에 의해 창건됐다. 일제 식민통치기간 동안 이루어진 지속적이고 계획적인 민족종교 말살정책과, 해방 이후 물밀듯이 밀려들어온 서양문명과 기독교사상의 홍수 속에서 그동안 국내 민족종교는 크게 성장하지 .. 수련단체&요결 2008.08.06
‘게이트’ 파문으로 본 사이비 수련 행태 ▲ ‘붓다’ 인가 대가로 헌금 요구 ▲ 영적 성장 미끼, 여제자 성추행 ▲ 회비·성금으로 카지노 도박 김종업 한국정신과학학회 이사 up4983@hanmail.net 구도(求道)단체인 붓다필드. 온라인으로 출발한 이 단체의 스승, 혹은 교주는 ‘게이트’라는 ID를 쓰는 신모씨다. 필자는 3년 전 ‘게이트 신화’를 .. 수련단체&요결 2008.08.01
‘마음챙김 명상’ 과학적으로 증명한 장현갑 영남대 교수 “건포도 명상으로 마음의 이두박근, 삼두박근을 키워보세요” 우울, 슬픔, 괴로움…. 인생의 길목에서 누구나 한번쯤 만나게 되는 불청객이다. 이럴 때 우리는 화를 다스리지 못해 터널에서 한참을 허우적대거나 심지어 자신을 망가뜨리기도 한다. 그런데 여기 간단히 마음을 다스릴 수 있다는 이가 .. 수련단체&요결 2008.07.31
한국인의 체질 암 잘 걸리는 體質 따로 있다 한국인의 체질 ● 사상의학에서 64체질론까지 ● 특정 체질에서만 나타나는 질병들 ● 지문으로 진단하는 북한의 체질분석기 ● 체질 알면 성격과 운명 바꿀 수 있다 ● 체질설로 접목되는 동서의학 지난 8월13일 오후 4시 경희대 한의과대학 2층 강의실. 200명 남짓한 한의.. 수련단체&요결 2008.07.25
최수영 변호사에게 배우는 ‘웰빙 仙체조’ ‘머리 두드리기’는 두통, ‘양팔 번갈아 당기기’는 스트레스 해소에 탁월 일 못잖게 건강과 여가를 중시하는 이른바 ‘웰빙(Well-Being)’ 트렌드가 한창이다. 그러나 한편으론 무차별적으로 쏟아져나오는 웰빙 상품들이 과소비를 부추긴다. 진정한 웰빙은 몸과 마음의 평안에서 비롯되는 법. EBS(교.. 수련단체&요결 2008.07.23
활인심방(活人心方) 건강법 퇴계 후손의 장수 비결, 활인심방(活人心方) 건강법 중화탕 먹고 양생법 따르니 인생이 길고 평화롭다 ‘사람을 살리는 마음의 방책’이란 뜻의 활인심방. 430년 전에 70세를 향유한 퇴계 이황 선생의 장수 비법으로 알려진 활인심방은 진성 이씨 퇴계 종중(宗中)에 대대로 전승되며 명맥을 이어왔다. .. 수련단체&요결 2008.07.14
격암유록(格菴遺錄)의 실체를 밝힌다 1. 신앙촌에 입주하다 1958년 가을, 우리 가족은 경기도 소사에 위치한 전도관의 신앙촌에 입주했다. 전도관은 6·25전쟁 직후의 비참하고 암울한 시대적 상황에서 발생한 기독교 계통의 신흥종교 중 하나로, 당시 ‘동방의 의인’ ‘불의 사자’ 등으로 불린 교단의 창시자 박태선 장로는 전국을 누비.. 수련단체&요결 2008.07.13
벽운공_구름 이경숙 제1회 원격수련 2006년 8월18일(금) 첫 원격수련입니다. 매주 목요일 저녁에 금요일날 같이 해 볼 원격수련의 내용을 올려드릴텐데요, 제가 내일 서울 군자동사무실에 볼 일이 있어서 서울에 가는 관계로 미리 올려드립니다. 우리가 지금까지 기감을 열기 위해서 오행의 기운을 부를 때에 자연계에서 가.. 수련단체&요결 2008.07.05
마음의 여행_구름 이경숙 저 자 : 벽운 이경숙 출 판 사 : 정신세계사 출판사편제 : 정신과학총서 제4권 초판발행일 : 1999년 7월 31일(단기 4332년) 기 타 : 2001년 4월-5월 교보문고, 종로서적, YES24 인문분야 베스트셀러 글을 쓰기에 앞서 집안의 종교가 불교이고 어머니가 독실한 불자였던 탓에 나는 어려서부터 절에 다니면서 불교.. 수련단체&요결 2008.06.22
옛글에서 본 선계 선계는 현재의 모든 결함을 보상해 줄 수 있는 완전으로 가는 입구로써, 불완전한 현재와 완전한 과거 또는 미래와의 접점에 존재한다. 현실의 중압이 존재치 않는 완벽한 이상세계로서의 선계상은, 구약성경에서 묘사되고 있는 에덴 시절이다. 혹은 〈실락원〉에서 그려지고 있는 잃어버린 ‘황금시.. 수련단체&요결 2008.06.07
단월드 단월드의 ‘애리조나 명상 韓流’ “단군 정신을 수출합니다” 산속에서 비전(秘傳)되던 한국 선도(仙道)가 속세로 내려와 대중 속으로 파고들고 세계로 수출까지 하게 됐다. 이승헌 씨는 ‘홍익인간 이화세계’라는 민족 이념을 세계와 통할 수 있는 보편이념으로 확대시키며 새로운 한류(韓流)를 만.. 수련단체&요결 2008.05.28
노자에 대해서 ▶ 노자(老子)에 대하여... 노자는 공자와 함께 약 2500년전의 사람으로 동서양을 망라하여 가장 널리 알려진 동양인일 것이다. 그의 저술로 알려진 <도덕경 道德經>은 동양의 어느 책보다도 많이 서양 언어로 번역되었다 한다. 사마천(司馬遷)의 <사기 史記>에 의하면 노자는 초(楚)나라 고현(苦.. 수련단체&요결 2008.04.27
禪詩해설 선은 분별지를 마음에서 걷어내는 것이다. 명상(瞑想) 즉 생각을 잠재우고, 묵상(墨想) 곧 생각을 침묵시키는 것이다. 그때 남는 것은 마음뿐이다. 선은 마음을 텅 비워 본래의 나와 만나는 순간이다. 명상이란 뜻을 지닌 범어의 Dhyana를 선(禪)으로 옮겼다. 정려(靜慮) 또는 사유수(思惟修)로도 옮긴다. .. 수련단체&요결 2008.04.01
마보참장공 [기공 전문가 이명복의 생활기공 건강법 ①] ‘마보식 참장공’으로 술·담배, 만병 다스려라! 기(氣)는 우리에게 친숙한 단어다. 국내 기수련 인구는 200만명. 기공은 전세계적으로도 '뉴 밀레니엄 스포츠’ ‘정신스포츠(mental sports)’ 등의 이름으로 각광받고 있다. 대체의학의 한 분야로서도 많은 연.. 수련단체&요결 2008.03.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