方外之士

仙道 맥 잇는 계룡산 일사(逸士) 정재승

醉月 2010. 9. 4. 13:39

“가고 또 가면 알고, 행하고 또 행하면 깨달으리라”

 

온양정씨(溫陽鄭氏)는 선교(仙敎) 명문가다. 중시조인 북창 정렴은 16세기 초 선도 수련법을 담은 저서 ‘용호비결(龍虎秘 訣)’을 남겼고, 북창의 동생 고옥 정작은 허준의 ‘동의보감’에 선도 사상을 물들였다. 이후로도 면면히 이어온 선교의 가풍을 이젠 북창 16대손인 정재승 선생과 그의 형제들이 잇고 있다. 고교 1학년 때 스승인 봉우 선생을 만나면서 선도의 길을 결심한 그는 1986년 계룡산 상신리에 터를 잡은 후 20년째 수련을 계속하고 있다.

정재승 선생은 직업이 없다. 그러기에 실직의 고통도 퇴직의 무상도 없다. 그래서일까. 그의 얼굴은 맑고 서글서글해서 편안해 보인다.

어느 민족이든 ‘정신사(精神史)’라는 영역이 있다. 그 민족의 정신이 어떻게 흘러왔는지를 살펴보는 일은 그 나라 역사의 ‘속살’을 아는 것에 해당한다. 속살은 쉽게 보이지 않는다. 그래서 속살을 보려면 시간이 걸린다.

우리 민족의 속살, 즉 정신사에 대해 일찍이 고운 최치원(崔致遠)은 ‘포함삼교(包涵三敎)’라 했다. 삼교라 하면 유(儒), 불(佛), 선(仙)을 말한다. 포함삼교는 유불선이 섞인 상태다. 유교에는 예의와 범절이 있고, 불교에는 심법(心法)의 이치가 있으며, 선교에는 양생(養生)의 원리가 있다. 한민족의 정신사에는 범절과 심법과 양생이 혼융되어 있는 것이다. 우리나라의 속살을 제대로 알려면 이 혼융을 모두 볼 수 있어야 한다.

불교는 삼국시대에 들어와 뿌리내린 이래로 고려시대에 국교로 꽃을 피웠고, 유교는 조선시대에 국교가 됐다. 하지만 선교는 한번도 국교의 자리에 올라선 적이 없다. 그런데 우리 민족의 정신사 밑바탕에는 선교가 면면히 흐르고 있다. 유불의 밑바탕에 선교가 있는 것이다.

자세히 들여다보면 선교는 왼쪽의 불교와 오른쪽의 유교를 중도통합하고 있다. 불교의 출세간적(出世間的) 인생관과 유교의 입세간적(入世間的) 인생관을 모두 포함하는 것이다. 입출자재(入出自在)다. 그래서 최치원의 ‘포함삼교’를 분석하면 선교가 몸통이고 불교는 왼손, 유교는 오른손의 형국으로 볼 수 있다. 역사적으로 중도파가 강경 좌파나 강경 우파에 밀려 정권을 잡은 적이 없는 것처럼, 중도적인 선교는 국가의 전면에 한번도 나서지 못했다.

 

민족 심저에 잠류하는 선교

하지만 선교는 눈에 보이지 않게 유교와 불교를 중간에서 화해시키면서 우리 민족의 심층심리 밑바닥에서 조용히 잠류(潛流)하고 있었다. 단적인 예를 들면 한국인치고 ‘신선(神仙)’ 싫어하는 사람이 있는가. 한국인들은 신선 팔자를 가장 부러워한다. 유학자들은 부처를 싫어하고 승려들은 유생들을 싫어했지만, 신선은 한국 사람에게 거부감 없는 인격 모델로 전승돼왔다. 선교의 인물들은 불교의 승려처럼 집을 떠나 산속에서 도를 닦기도 하지만 인연을 따라 세상에 내려와 자식을 낳고 사회적인 삶을 살기도 한다.

무엇보다 한국은 산수가 좋다. 국토의 70%가 산이다. 소나무와 바위, 그리고 맑은 계곡이 있고 몸에 좋은 약초가 널린 한국의 산들은 도사가 살기에는 최적의 환경이다. 중동의 사막이나 열대의 우림지역에서는 신선이 배출될 수 없다. 불로장생을 추구하는 선교는 산수가 아름다운 곳에서 발달하게 되어 있다. 한국처럼 산수가 아름다운 나라도 드물다.

선도는 역사적으로 조직을 갖춘 교단이 없기에 그 맥이 미미하다. 맨투맨, 즉 스승과 제자의 구전심수(口傳心授)로 그 맥이 이어져 왔다. 점 조직으로 전승되어온 것이다. 그 맥을 한번 찾아가본다.

 

전형적 보림터인 상신리에서 수도

유서 깊은 선도 집안에서 태어나 선도의 맥을 잇고 있는 정재승(鄭在乘·47) 선생. 그를 만나기 위해서 계룡산 상신리(上莘里)의 거처를 찾았다. 상신리는 계룡산 4대 수도처 중 하나로 계룡산 북쪽에 위치한다. 계룡산의 동쪽에는 동학사(東鶴寺)가 있고, 서쪽에는 갑사(甲寺), 남쪽에는 신원사(新元寺)가 있다. 하지만 상신리에는 절이 없다. 고려시대에는 구룡사(九龍寺)가 자리잡고 있었지만 조선시대에 들어와 폐사된 후로 절이 들어서지 않았다. 그 이후 상신리에는 선도의 도꾼들이 들어와 살았다. 지금은 도꾼보다는 도예가나 화가를 비롯한 예술가, 대전에 연고를 둔 사람들의 전원주택이 많이 들어서 있다.

상신리의 산세는 전형적인 보림터다. 청룡과 백호가 겹겹이 둘러싸고 있어서 어머니 뱃속에 들어와 있는 것처럼 아늑하다. ‘택리지(擇里志)’의 이중환은 풍수적으로 이상적인 주거지는 수구(水口)가 막혀 있어야 한다고 강조한다. 수구는 좌청룡 우백호의 사이다. 풍수에서는 수구가 벌어져 있으면 기운이 빠져나간다고 간주한다. 마치 압력밥솥의 김이 빠져나가는 것과 같다. 닫혀 있으면 압력이 높아지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수구는 청룡과 백호가 십자(十字)로 감싸고 있어야 좋다.

상신리는 이처럼 수구가 잘 감싸고 있는 형국이다. 그것도 한번이 아니라 4∼5겹 감싸고 있어 보는 사람으로 하여금 감탄을 자아내게 한다. 계룡산 상신리를 찾아왔던 조선시대 도꾼들도 틀림없이 겹겹이 막힌 수구의 형세를 보며 필자처럼 감탄을 금치 못했을 것이다.

상신리에서 방외(方外)의 일사(逸士)로 살고 있는 정재승 선생. 그는 직업이 없는 사람이다. 청년실업과 조기퇴직으로 세상이 온통 근심걱정으로 싸여 있지만, 계룡산의 일사는 애시당초 직업이 없었다. 처자식도 없다. 원래 직업이 없었으니 실직의 고통도, 퇴직의 무상도 없다.

   

그 대신 수입도 없다. 수입이 없지만 아직까지 굶어죽지 않고 산에서 살고 있다. 그래도 몸에서 궁티가 나지 않는다. 계룡산 산신령이 보살펴주는 것인가. 옛부터 불가의 승려들 사이에서는 ‘흉년이 들어서 세상사람 1000명이 굶어죽은 후에야 비로소 눈이 먼 중이 1명 굶어죽는다’는 말이 떠돈다. 그만큼 산에서 사는 사람은 굶어죽기도 힘들다. 먹을 것을 가져다주는 사람이 항상 있기 때문이다.

정 선생은 눈이 커서 좀스럽지 않고 서글서글한 인상이다. 몸집도 커서 한눈에 대장부라는 느낌이다. 키 180cm에 몸무게 90kg으로 우람한 풍채를 지닌 호남형이다. 이만한 신언서판(身言書判)이면 어디에 내놔도 빠지지 않는데 아직 독신이다.

-왜 산에서 살게 됐나.

“하다 보니까 그리 되었다.”

이태백의 한시에 나오는 ‘문군하사서벽산(問君何事棲碧山·당신은 무슨 일로 청산에서 사는가) 소이부답심자한(笑而不答心自閑·웃으면서 대답을 하지 않으니 마음이 스스로 한가하다)’ 구절과 비슷한 대답이다.

 

선도의 가풍 따르는 형제들

-산에서 혼자 사는 건 아무나 할 수 있는 일이 아니다. 선도(仙道)와 인연을 맺은 계기는 무엇인가.

“우리 온양정씨(溫陽鄭氏)는 대대로 낭가(郎家)의 전통이 이어져온 집안이다. 어릴 때부터 조부님은 ‘우리 집안은 단군 때부터 낭가의 전통을 이어왔으니, 이 가풍을 명심해야 한다’고 하셨다. 나뿐 아니라 집안 형제들 모두 낭가의 가풍을 익히며 자랐다. ‘낭가’의 ‘낭’은 ‘화랑(花郞)’이라고 할 때의 ‘낭’자다. 즉 선교와 선도를 지칭하는 표현이다.”

-조부께서도 직접 낭가 공부를 하셨는가. 집안 이야기가 궁금하다.

“조부님 함자는 정낙훈(鄭樂勳)이다. 이승만 정부에서 충북지사와 농림부 장관을 지내셨다. 직접 선도 수련을 하지는 않았지만, 집안의 선도 관련 유적과 자료를 잘 보관하고 정리하셨다. 광복 후 선교와 낭가에 대한 사회적인 관심이 전혀 없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그런 상황에서도 선도관련 자료의 귀중함을 알고 지대한 관심을 기울이셨다. 아버지(정승희·鄭承熙)도 관료(국무총리실 연구실장) 생활을 하시느라 입산수도는 못했지만, 할아버지의 유지를 따라 자식들에게 가풍을 이어야 한다고 당부하시곤 했다.”

-형제들도 선도에 관심이 많나.

“우리 집은 다섯 형제다. 큰형님이 이화여대 중문과 정재서(鄭在書) 교수다. 한자문화권에서 가장 오래된 신화집이라 할 수 있는 ‘산해경(山海經)’을 번역한 바 있다. 이 책은 신조(神鳥) 토템의 신앙을 가졌던 동이족(東夷族)과 관련이 깊다. 신조 토템이란 ‘날개를 달고 하늘로 올라간다’는 원시신앙이다. 신선이 되어 하늘로 올라간다는 선도 사상과 기본 골격이 유사하다. ‘산해경’이 태동한 산둥반도 일대는 한족보다는 동이족과 인연이 많은 곳이다. 중국의 사마천은 산둥반도 지역에서 태동한 ‘산해경’을 이질적인 문화권으로 간주했고, 그래서 자신의 저술에 별로 언급하지 않았다. 형님이 ‘산해경’을 번역한 계기도 선도의 가풍과 무관하지 않다. 최근에 낸 ‘이야기 동양신화’라는 책도 기본적으로 선도와 도교의 세계관에 바탕을 두고 있다.

셋째형님인 정재겸(鄭在兼)도 현재 독신으로 계룡산에서 같이 공부하고 있다. 막내동생인 정재형(鄭在亨·동국대 연극영화과 교수)은 선도와 관련된 영화를 만들고 싶어한다. 낭가의 전통을 재구성한 영화를 만들겠다는 계획이다. 이렇게 보면 다섯 형제 가운데 넷이 선도와 직간접으로 인연을 맺고 있는 셈이다.”

이처럼 정 선생의 집안은 선교(仙敎)의 명문가다. 유불선 삼교 가운데 집안이 이어지는 경우는 주로 유가다. 결혼해서 가정을 이루고 자식을 낳으니 집안이 이어질 수 있다. 불가는 출가해서 자식을 낳지 않지만, 그 대신 제자를 길러 법맥을 잇는다. 더구나 사찰과 ‘승가’라는 조직이 있으니 오늘날까지 1000년이 넘게 전승된 것이다. 이렇게 보면 선가 집안이 가장 귀하다 할 수 있는데, 정 선생의 집안이 바로 희귀한 선가의 맥을 이어온 것이다.

우리나라에는 벼슬을 하면서도 선도를 닦은 두 집안이 있다. 바로 온양정씨와 양천허씨(陽川許氏)다. 양천허씨라면 허균과 허미수 집안을 가리킨다. 신선에 관심이 많아 방외지사들과 자주 어울린허균은 전라도 함열 태생으로 선도를 닦아 80대에도 얼굴에 대춧빛이 돌던 도인 남궁두(南宮斗)를 만나, 그의 수도과정에 관한 기록을 남기기도 했다. 남인의 영수로, 63세에 처음 벼슬길에 오른 이인 허미수(許眉?)도 ‘해동전도록(海東傳道錄)’에 선도인(仙道人)으로 입전된 수암(守菴) 박지화(朴枝華)의 계보와 관련이 있다. 허미수의 아버지가 박지화 밑에서 공부한 것이다. 박지화는 화담 서경덕의 제자다.

또 허미수의 외조부가 그 유명한 임백호(林白湖)다. ‘조선의 장자(莊子)’로 비유될 만큼 평생 전국을 호방하게 유람한 임백호의 외손자였으니, 그 가풍을 미뤄 짐작할 만하다. 허미수는 평생 기인, 달사들과 교류하며 전국의 명승지를 수백 군데 직접 탐사했다. 겉으로는 유학자이지만 내면으로는 선도인이기에 그런 삶이 가능했다.

   

‘용호비결’ 쓴 북창 정렴

그가 살고 있는 상신리는 전형적인 보림터다. 수구가 막혀 외부 소음이 전혀 들리지 않아 수련하기에

그렇다면 온양정씨 집안의 중시조는 누구인가. 북창(北窓) 정렴(鄭濂·1505∼49)이다. 정재승은 북창의 16대손이다. 이 집안에서는 ‘종손(從孫)’이라는 표현을 사용한다. 직계는 아니지만 제사를 지내며 실질적으로 북창을 모시는 후손이기에 ‘따를 종(從)’자를 써서 종손이라 하는 것이다.

북창은 조선조를 대표하는 선도 수련가다. 그가 남긴 유명한 저술이 선도의 수련법을 압축한 ‘용호비결(龍虎秘訣)’이다. 북창은 수련법의 핵심이 조식법(調息法)에 있다고 봤다. 조식법이란 호흡을 고르는 비결에 관한 것으로, 호흡에 선도수련의 모든 비밀이 있다고 여긴 것이다.

북창의 ‘용호비결’이 나오면서 조선의 선도 수련가들은 복잡한 미로에서 지남(指南)을 발견하고 헤매지 않게 됐다. 중국에서는 명나라 때 불교의 ‘팔만대장경’에 대항해 도교의 모든 사상과 수련법을 집대성한 ‘정통도장(正統道藏)’이 발간됐다. 하지만 수백권 분량의 ‘정통도장’이 너무 방대하고 복잡해 보통 사람은 그 핵심이 어디에 있는지조차 파악하기 힘들었다. 북창은 이 ‘정통도장’을 한 권으로 압축해 ‘용호비결’을 만든 것이다.

다시 말하면 우리에게 맞는 한국식 선도수련법을 확립한 셈이다. 조선의 선도는 중국의 도교와 공통점도 있지만 근원을 소급해 올라가면 단군이 나온다. 유교와 불교는 중국을 통해서 받아들였지만, 선도만큼은 중국에 빚진 것이 없다. 오히려 우리가 원조라고 보는 관점이다. 신선도(神仙道)는 동이족에서 처음 시작됐다고 여겨진다. 또 단군을 비조로 모신다. 이런 면에서 선도는 자주적이다. ‘용호비결’에는 민족의 자주성이 내포되어 있다. 즉 동이족의 자부심이 스며 있는 것이다.

북창은 한국의 ‘문헌설화’ 중에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인물이다. ‘이인설화(異人說話)’에는 북창이 자주 등장한다. 그만큼 한국 사람들에는 북창이 이인(異人)으로서 깊게 심어져 있다. 조선 효종 때 인물인 홍만종(洪萬宗)이 조선의 선맥(仙脈)을 정리한 ‘해동이적(海東異蹟)’에는 북창의 시가 소개돼 있다. 당시 회자되던 유명한 시다.

“일생 동안 만권의 책을 독파하고, 하루에 천잔의 술을 마셨네(一生讀破萬卷書 一日飮盡千種酒).

복희씨 이전 일을 고고하게 담론하고, 속세의 이야기는 입에도 담지 않았네(高談伏羲以上事 俗說往來不卦口).

안자(顔子)는 30세를 살아도 아성(亞聖)이라 불렸는데, 선생의 나이는 어찌 그리 긴가(顔子三十稱亞聖 先生之壽何其久).”

 

‘동의보감’에 ‘정기신’이 들어간 이유

북창 정렴이 ‘용호비결’을 남겼다면 북창의 동생인 고옥(古玉) 정작(鄭·1533∼1603)은 ‘동의보감’ 편찬의 책임자였다. 정작은 ‘유의(儒醫)’라 불릴 만큼 의술에 조예가 깊었다. 정렴도 의술에 뛰어났는데, 동생인 정작은 형의 영향을 받은 듯하다. 이는 정렴과 정작 형제의 아버지인 정순붕(鄭順鵬)이 내의원제조(內醫院提調)라는 의술담당 직책을 지낸 사실과 무관하지 않다. 아버지가 의사였으니 자식들이 의술에 관심을 기울인 것은 당연하다. 그러나 정순붕이 세간에서 을사사화의 원흉으로 지탄받자, 자식인 정렴과 정작은 세속적인 출세보다는 세간과 거리를 두는 선도로 기울었을 것이다.

원래 선도는 의술과 관련이 깊다. 불로장생을 추구하는 선도는 인체 구조에 대해 깊이 탐구할 수밖에 없고, 그 과정에 의술과 만나는 것이다. ‘동의보감’을 편찬할 당시. 실무는 허준이 담당했지만 이 작업을 진두지휘한 책임자는 정작이었다. 허준은 중인이었지만, 정작은 아버지 정순붕이 좌의정까지 지낸 지체 높은 양반이었다. ‘동의보감’은 1596년(선조 28) 무렵 편찬되었는데, 당시 정작은 64세로 환갑이 넘은 원로였다. 허준은 정작보다 열세 살이나 어렸다. 이처럼 나이로 보나 신분 차이로 보나 정작은 ‘동의보감’을 총감독할 수 있는 위치에 있었다.

그렇다면 정작은 감독만 한 것인가, 아니면 실질적으로 ‘동의보감’의 내용에 영향을 끼쳤던 것인가. 학계의 평가에 따르면 조선의 ‘동의보감’이 중국의 의서와 전혀 다른 점이 있다면, 그것은 ‘정기신(精氣神)’ 체계라 한다. 그런 ‘정기신’은 도교와 선도 사상에서 나온 것이다.

정기신은 삼보(三寶), 즉 인체의 세 가지 보물로 여겨진다. 정(精)은 인체의 정액 내지 양기(陽氣)에 해당한다. 하단전(下丹田)에 정액(陽氣)이 충만하면 다음에는 중단전에 기(氣)가 충만해진다. 그러면 상단전의 신(神)이 충만하다. 정이 꽉 차면 기가 꽉 차고, 기가 꽉 차면 신이 꽉 찬다. 이렇게 되면 불로장생하는 신선이 된다는 이론이다.

그런데 ‘동의보감’ 앞부분에 정기신이 등장하면서, 정을 보강하는 약재, 기를 보강하는 약재, 신을 보강하는 약재가 각각 설명되어 있다. 일종의 예방의학이다. 평소에 정기신을 보강하면 병에 걸리지 않는다는 학설이다.

   

필자도 정기신과 관련된 이야기를 하나 알고 있다. 1990년대 초반 전국의 명산을 유람하다가 광주 무등산에서 1주일 정도 머문 적이 있다. 그때 우연히 어느 문중의 상좌스님에게서 ‘단학지남(丹學指南)’이라는 제목의 필사본을 한 권 건네받았다. 내용은 단학의 남쪽이 어딘지를 알려준다는 제목처럼, 내단(內丹) 수련의 요점을 정리한 것이다. 전체적으로 정렴의 ‘용호비결’과 거의 비슷했는데, 저자는 밝혀져 있지 않았다.

불가의 스님들도 화두를 잡는 간화선(看話禪)만 하는 것이 아니라, 몸을 수련하기 위해 선도의 수련서들을 참고하고 있었음을 짐작케 하는 문건이다. 어찌 보면 선불합종(仙佛合宗)적인 수련법이 합리적이기도 하다. 드러내놓고 선도의 수련서를 보면 ‘외도’라 지탄받기 때문에 은밀하게 관심을 가졌음을 짐작할 수 있다. ‘단학지남’은 전체적인 분위기와 맥락으로 보아 불가의 스님과 선도 수련가 사이에 비밀리에 유통되던 책으로 보인다. 당시 이 책을 필자에게 건넨 스님도 “수도하는 사람들 사이에서만 유통되는 책이니 소중히 간직하라”고 당부했다.

그중 가장 인상 깊은 내용은 ‘정만불사색(精滿不思色)이요, 기만불사식(氣滿不思食)이요, 신만불사수(神滿不思睡)라’는 구절이었다. 번역하면 ‘정이 가득 차면 색에 대한 생각이 나지 않고, 기가 가득 차면 먹고 싶은 생각이 들지 않으며, 신이 가득 차면 잠자고 싶은 생각이 들지 않는다’는 뜻이다. 즉 색욕이 끓어오르는 것은 정이 덜 찼다는 증거고, 식욕이 발동하는 것은 기가 부족하다는 뜻이며, 잠이 많이 오는 현상은 신이 덜 찼다는 말이다. 또 인간의 근원적인 욕망인 색욕, 식욕, 수면욕을 수련을 통해 극복할 수 있다는 의지의 표현이다. 하여튼 정기신에 대해 아주 명쾌하게 정리한 책이라고 생각한다. 이는 북창의 ‘용호비결’과 같은 내용이기도 하다.

바로 이 정기신이 ‘동의보감’에 편입되어 있으니 어찌 흥미롭지 않겠는가. 이러한 도교의 정기신 체계가 ‘동의보감’에 느닷없이 포함된 배경에는 선도 집안으로, 의술에 조예가 깊은 ‘동의보감’ 편찬의 책임자 고옥 정작의 영향이 반영된 것이 아니겠는가. 뿐만 아니라 정작이 평소에 흠모하던 형님 북창 정렴에게 전수받은 내용이었을 가능성이 높다.

정작은 수암 박지화와 친했고, 역시 방외지사인 남사고(南師古)와도 자주 어울렸다. 한 다리 건너면 북창, 고옥, 수암, 미수, 남사고, 허균이 거의 동시대에 연결된다. 이렇게 놓고 보면 ‘동의보감’에는 조선 선도파의 내공(內功)과 함께 낭가인 온양정씨의 가학(家學)이 살아서 꿈틀거리는 셈이다.

한편 ‘해동이적’은 정작이 남긴 시를 소개하고 있다.

“머리가 하얗도록 살 수 있는 까닭은 ‘참동계’ 때문이요(白首參同契),
얼굴이 늙지 않는 이유는 ‘국미주’ 때문이다(紅顔푎米酒).”

온양정씨의 가학은 북창과 고옥에서 그치지 않고 정작의 사촌형인 계향당(桂香堂) 정초(鄭礎)로 이어진다. 정초는 세상에 널리 알려지지 않았지만 도가 높은 선도인이었다. 죽을 때 앉은 채로 비승(飛昇)했다고 전해진다. 그래서 당시 식자층에서는 온양정씨 집안의 북창, 고옥, 계향당을 ‘일가삼선(一家三仙)’이라 불렀다. ‘해동이적’에 전하는 계향당에 대한 시를 소개하면 이렇다.

“계수나무 향기가 자욱하니 선어가 하늘에서 내려오리라(桂香方馥郁 仙馭自天來).”

여기서 ‘어(馭)’는 ‘부리다’는 뜻으로 보통 ‘어풍지객(馭風之客)’이라 하면 신선을 지칭한다.

온양정씨 집안의 선맥은 또 있다. 북창 형제의 조카인 총계당(叢桂堂) 정지승(鄭之升)이다. 전북 진안 주천면에 가면 제천봉(祭天峰) 밑에 제천대(祭天臺)라는 터가 남아 있는데, 이것은 하늘에 제사지내던 시설이다. 중국 천자만 하늘에 제사를 지낼 수 있던 시대에 조선 진안 땅에 감히 제천대를 만들어놓고 제사지낸 인물이 바로 총계당이다.

그는 주로 진안에 머물렀다. 그가 있던 진안의 ‘운일암 반일암’ 일대는 산이 뒤를 받치고 바위가 앞을 둘러싼 형세라 외부에 잘 노출되지 않는 오지였다. 그래서 선도인이 많이 찾아와 수도하던 곳이다.

임백호의 문집에는 진안에서 총계당이 수도하던 곳을 방문한 기록이 나온다. 임백호가 찾아갔을 때 총계당이 거북을 타고 다니며 놀더라는 내용의 시다. 임백호도 총계당 같은 인물과 어울렸을 뿐 아니라 말을 타고 다니며 전국의 명산대천을 섭렵한 것으로 보아 내면으로는 선도에 깊은 호감을 품고 있었음이 분명하다.

총계당은 호남의 고경명(高敬命)과도 교류했다. 고경명은 담양 소쇄원(瀟灑園)에서 정철, 임백호, 기대승과 함께 계산풍류(溪山風流)를 즐기던 멤버이자, 임진왜란 때는 호남의 의병을 이끌고 순절한 의병장이기도 하다. 에너지의 흐름이 서로 맞는 사람들끼리는 천리 밖에 떨어져 있어도 기어코 만난다는 이치를 여기서 다시 한 번 확인할 수 있다.

   

‘해동이적’ 서문 써준 정두경

그는 자신이 “내단을 이루는 것보다 선도와 봉우 선생의 사상 및 행적을 정리하는 데 더 자질이 있는 듯하다”고 했다. 실제로 그가 이곳에 머물면서 펴낸 책이 10여권에 이른다.

동명(東溟) 정두경(鄭斗卿·1597∼1673)이란 인물도 있다. 총계당의 큰아들이 정회(鄭晦)이고, 정회의 둘째아들이 바로 정두경이다. 즉 총계당의 손자다. 동명 정두경은 한국의 신선전이라 할 수 있는 ‘해동이적’의 서문을 쓴 것으로 유명하다. 동명은 서문에서 ‘우리 동방은 산수가 육합(六合·전후좌우상하)에서 가장 빼어났다. 단군, 기자 이래로 천지의 기운을 먹고 몸을 단련하며 바람을 먹고 이슬을 마시는 사람이 많았다. 그러나 세상 사람들에게 숭상받지 못했기에 널리 전해지지 않았다. 그래서 속세와 인연을 끊은 선비들은 이것을 심히 안타깝게 생각했다’고 적고 있다. 선맥을 전해야겠다는 사명감이 엿보이는 글이다.

서문은 아무나 쓰는 것이 아니다. 저자가 평소 존경하는 사람에게 서문을 부탁하는 법이다. 그렇다면 ‘해동이적’의 저자 홍만종과 정두경은 어떤 관계인가. 홍만종은 정두경의 제자다. 백사 이항복 문하로서 ‘사기’와 ‘장자’를 평생 애독한 정두경은 말년에 수제자인 홍만종에게 선가 인물들의 계보에 관한 책을 써보라고 권유했고, 책이 완성되자 서문을 써준 것으로 보인다. 만약 ‘해동이적’이 없었다면 한국의 선맥을 파악하는 데 어려움이 많았을 것이다.

북창 이래로 고옥, 계향당을 거쳐 총계당과 동명으로 이어 내려오는 온양정씨 집안의 계보를 정재서, 정재겸, 정재승 형제가 계승하고 있다. 선도라는 가학을 계승하기는 쉽지 않다. 대가를 치러야 한다. 바로 방외의 일사, 즉 건달(乾達)이 되어야 하는 것이다. 선도는 돈 많이 벌고 좋은 차 타고 다니면서 잘 먹고 잘사는 길이 아니다. 건달이라는 표현은 주역에서 말하는 건괘(乾卦)를 통달한다는 의미를 함축하고 있다. 즉 시간 많고 한가한 건달이 되어야 건괘에 통달할 수 있는 것 아닐까. 세상일에 정신없이 바쁜 사람이 어떻게 ‘건괘’의 속내를 알겠는가.

 

봉우 권태훈 선생과의 만남

-사람이 인생의 행로를 정할 때는 여러 요소가 작용한다. 가풍만 갖고 방외지사의 길을 걷는 것은 쉽지 않은 일이다. 계룡산에서 살게 된 직접적인 계기는 무엇인가.

“봉우(鳳宇) 권태훈(權泰勳·1900∼93) 선생을 만나면서 인생행로가 정해졌다. 선도 수련가인 선생은 1980년대 중반 유명한 소설이던 ‘단(丹)’의 실제 주인공이다. 1975년 봉우 선생을 처음 뵈었다. 어느 날 재서 형님이 이종사촌형 집에 놀러갔다가 ‘용호비결’ 필사본을 발견했다. 깜짝 놀라 ‘어디서 구했느냐’고 물으니 ‘서울 세검정에 있는 한의원에서 구했다’는 것이다.

‘용호비결’은 우리 집에서 화제의 책이었다. 대대로 집안에 내려오던 책인데 6·25전쟁 때 그만 잃어버리고 말았다. 그게 못내 아쉬웠다. 조부님은 우리에게 이 책을 꼭 찾으라고 여러 번 당부하셨다. 그 길로 형님과 나는 세검정 한약방으로 달려갔다.

‘만수당한약방(萬壽堂韓藥房)’이라는 곳이었는데, 거기서 봉우 선생이 약을 짓고 계셨다. 당시 세검정 일대에서 아주 용하다고 소문난 한약방이었다. 선반에 ‘용호비결’ 필사본이 수북하게 쌓여 있었다. 한약방에 찾아오는 젊은이들에게 봉우 선생이 한 권씩 나눠주고 있었던 것이다. 선생에게 ‘용호비결’ 때문에 왔다며 우리 집안 내력에 대해 이야기했다. 알고 보니 봉우 선생은 조부님이 공주에서 공무원 생활을 할 때부터 조부님과 친교가 있었다.

당시 봉우 선생의 풍모는 그야말로 선풍도골이었다. 잘생긴 얼굴에 허연 수염과 풍채는 범인과는 확연히 달랐다. 신선전에 나오는 신선의 모습이었다. 처음 만수당한약방에서 봉우 선생을 뵙던 날 내 진로는 결정됐다. 봉우 선생을 따르기로 마음을 굳힌 것이다. 고등학교 1학년 때였다.”

-북창 선생과 봉우 선생은 사상적으로 어떤 관련이 있는가.

“관련이 매우 깊다. 봉우 선생의 선도 수련법은 바로 북창의 수련법을 계승한 것이다. 선생이 ‘용호비결’을 교과서로 사용했다는 사실이 이를 증명한다. 봉우 선생은 자신의 선맥 계보가 북창에게 있음을 여러 차례 밝힌 바 있다. 또 도의 요체도 ‘호흡지간’에 있다고 봤다. 인간 정신이 호흡에 있다고 보는 게 내단(內丹)의 요체이자, 봉우 선생의 수련관이다.”

-호흡수련을 해보니 어떤 경지가 나타났는가. 호흡수련 체험담을 들려달라.

“나는 호흡으로 성공하지는 못했다. 호흡을 통해 내단을 이뤄야 하는데, 단에 성공하지 못했다. 후천적인 노력도 중요하지만 선천적인 자질도 뒷받침돼야 하는데, 아무래도 나는 자질이 부족한 것 같다. 상신리에서 계룡산 삼불봉(三佛峰)으로 올라가는 골짜기가 상신구곡(上莘九曲)에 해당한다. 이 골짜기 중간중간에는 옛 선인들이 공부하던 터가 여럿 있다. 1986년 계룡산에 들어와서 상신구곡의 공부터들을 전전하며 호흡도 하고 기도도 하면서 정진했지만, 내단은 성취하지 못했다.

봉우 선생도 ‘이단성도(以丹成道)는 천인만인학(千人萬人學)하되 종무일이성(終無一二成)이라’고 말씀하신 적이 있다. 그만큼 어렵다는 뜻이다. 그 대신 ‘득기조백(得其糟粕)이라도 연명각기(延命却期)할 수 있다’고 덧붙이셨다. 신선이 되기는 어렵지만, 약간만 공부해도 건강하게 살면서 수명을 늘릴 수 있다는 뜻이다.

   

사람마다 나름의 주특기가 있는 것 같다. 아무래도 선도와 봉우 선생의 사상과 행적을 정리하는 것이 내 임무인 듯하다. ‘백두산족에게 고함’ ‘민족비전 정신수련법’ ‘천부경의 비밀과 백두산족 문화’ ‘봉우선인의 정신세계’ ‘봉우일기1, 2’ ‘세상 속으로 뛰어든 신선’ ‘바이칼’ 등이 이곳에 머물면서 펴낸 책이다. 또 하나 봉우 선생이 제자들에게 강조한 것이 ‘냄새 피우지 말라’는 것이다. ‘도 닦는다’는 냄새를 풍기지 말라는 당부였다. 봉우파(鳳宇派)의 기본신념이다.”

 

외단(外丹)의 효능

-상신리는 어떤 곳이기에 봉우 선생이 들어와 살았는가.

“중국 은(殷)나라의 명재상 이윤(伊尹)이 벼슬에 나가기 전 ‘신야(莘野)’라는 곳에서 밭을 갈면서 공부했다. 조선시대 선비들이 은둔해서 독선기신(獨善其身) 하던 곳을 ‘신야’라고 부르곤 했는데, 이는 이윤의 고사에서 유래한 것이다. 상신리(上莘里)도 마찬가지다. 상신리와 하신리는 모두 은둔하면서 공부하기에 좋은 조건이다.

봉우 선생은 17세에 상신리로 들어왔다. 백제시대부터 절이 있었지만 계속 불이 나서 오래 유지하지는 못했다. 일설에는 단군을 비롯해 토속신앙이 강한 터로 알려져 있다. 수구가 막혀 있어 외부 소음이 전혀 들리지 않아서 좋다.”

-선도수련에는 호흡을 통한 내단 형성의 방법도 있지만 외단(外丹)도 보조적으로 사용한다고 들었다. 선도인들이 사용한 약재에 대해 설명해달라.

“전남 담양 고경명 장군의 후손 집안, 권율 장군의 후손 집안, 김해허씨, 해평윤씨 집안에는 대대로 내려오는 비방이 있다. 권율 장군 집안은 차력가(借力家)로 유명했다. 차력을 하려면 외단을 복용해야 하므로, 권율 장군 후손인 봉우 선생도 일찍부터 차력과 관련된 약재에 관심이 많았다. 이들 집안에서 복용하던 비방을 3가지만 정리하면 운영산(雲英散), 용호단(龍虎丹), 청혈제(淸血劑)가 있다.

운영산의 기본 약재는 운영(운모), 석유황, 석종유, 백염, 황연, 오수유, 송지, 동변(童便) 등 12종이다. 조제방법은 운모를 가루 내어 여러 약재의 추출액과 섞은 후 화력으로 건조시킨다. 효능은 경신(輕身·신체 각 장부의 기능을 강화시킴), 보폐(補肺), 명목(明目)이다.

용호단의 기본 약재는 석유황, 하수오, 당귀, 구판, 산수유, 산약, 구기자, 파극, 여정실, 쇄양, 두충, 파고지, 녹용, 인삼, 천웅, 옥계, 동초, 자연동, 철화분, 자석, 양기석, 추석, 석연, 용골, 호경골, 해마, 어육, 구척, 자초화, 합개 등 30종이다. 각 약재의 특성에 맞는 가공법으로 일일이 법제하여 가루로 만든 후 꿀을 섞어 환으로 만든다. 효능은 장근골(壯筋骨), 보기혈(補氣血), 치오로칠상(治五勞七傷), 정신력 강화 등이다.

청혈제의 기본 약재는 운모, 단사, 석종유, 자석, 금, 은, 동, 자연동, 석연 등 12종이다. 조제방법은 약재들을 모두 가루로 정제하여 3일 주야를 문무화(文武火)로 가열 합성하여 복용한다. 효능은 청혈살충(淸血殺蟲·삼시구충제거)과 정신 안정 등이다.

이러한 외단을 만들려면 무엇보다 좋은 약재를 구입하는 것이 중요하다. 3∼4대째 내려오는 오래된 한약방에는 희귀한 재료들이 있다. 홍콩이나 싱가포르에 가면 좋은 약재를 구할 수 있다. 주로 부자들이 약재를 소비하기 마련이다. 그래서 중국 본토보다는 부자가 많이 사는 홍콩, 싱가포르에서 희귀한 약재에 대한 수요가 더 크다. 1997년 한국정신과학학회가 낸 ‘전통선도수련법의 특성-복약법 중심의 고찰’이라는 논문에서 전통 외단 제조법에 대하여 소개한 바 있다.”

 

고독을 견디게 하는 힘

-좌우명은 무엇인가.

“봉우 선생의 좌우명을 따랐다. ‘거거거중지(去去去中知), 행행행리각(行行行裏覺)’이다. ‘가고 가고 가다 보면 알게 되고, 다니고 행하는 와중에 깨닫게 된다’는 뜻이다. 몸으로 부딪치고 시행착오를 겪으면서 세상사를 깨닫게 된다는 취지다. 가만히 앉아 있다고 도를 깨닫는 것은 아니다. 봉우 선생도 평생을 좌충우돌 풍찬노숙하면서 살아온 양반이다. 그래서 산중보다는 도시에서 공부하는 것이 훨씬 힘들다. 내 인생도 가고 가다 보면 그 가운데서 알게 되리라고 생각한다.”

계룡산 상신리를 떠나면서 유서 깊은 선도 집안의 후손으로부터 건네받은 ‘去去去中知 行行行裏覺’이 귓전을 맴돈다. 이것이 혼자 가는 고독을 견디게 하는 힘일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