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00여 民·官·軍 전산망 실시간 감지 시스템 가동영화 '다이하드' 실제상황 될 수도
"미국에 거주하는 해커가 '서울대학교' 전산망을 공격 중."
스크린을 응시하는 요원들의 잰 손놀림에 컴퓨터 모니터가 초 단위로 화면이 바뀌기 시작했다. 화상에 나타난 지도 아래에 띄워진 창에는 해킹 공격지와 근원지가 나타났다. 상황실 요원들은 핫라인(전화)으로 경보(警報) 발령을 내리고 방어 작전에 돌입했다.
이곳은 일반인 출입이 철저히 통제된 국가정보원 국가사이버안전센터. 국정원 요원들이 전 세계 사이버테러 세력들과 연일 치열한 전쟁을 치르는 곳이다. 지난달 26일 언론매체로는 처음 이 현장 속으로 들어가게 된 것이다.
취재진이 서울 강남의 한 빌딩 앞에 도착하자 미리 기다리던 국가정보원 요원 2명이 안내했다. 출입을 위해 사전 신원조회를 거쳐야 했다. 입구 경비를 서던 요원은 취재진의 휴대폰 카메라 렌즈에 특수센서가 내장된 스티커를 부착했다. 전화통화는 가능하지만, 카메라 사용을 위해 스티커를 떼는 순간 휴대폰 기능이 정지된다고 했다.
먼저 안내받은 곳은 대형 회의실. 한쪽 벽은 완전히 커튼으로 가려져 있었고, 센터 관계자 2명이 기다리고 있었다.
"이곳은 365일 24시간 전 세계의 해커들과 전쟁을 치르고 있는 곳입니다. 국가 기밀을 빼가거나 시스템을 마비시키려는 세력들에 맞선 새로운 형태의 전쟁이죠."
안내요원이 벽을 가리고 있던 커튼을 걷어내자 투명한 통유리 너머로 상황실이 나타났다. 외부인은 유리 너머로 볼 수만 있다고 했다. 상황실에 근무하는 요원들은 그들만 아는 비밀 통로로 출입한다. 상황실 전면에 설치된 가로 10m×세로 2m 크기 대형 스크린이 먼저 눈에 들어왔다.
스크린엔 6개 창이 빼곡히 들어차 있었다. 그 중심부에 초록색의 한반도 지도가 나타났다. 안내 요원은 "해킹이 감지되면 지도에 침투지역이 표시되고 즉각 해킹 방어작전에 들어간다"고 설명했다. 말이 끝나기 무섭게 갑자기 서울 지역이 파랗게 물들었다. 지도 옆 '정상'이라고 적혀있던 신호는 '관심'으로 바뀌었다.
순간 긴장감이 돌면서, 상황실 내 직원들의 움직임이 빨라지기 시작했다.
"이곳은 365일 24시간 전 세계의 해커들과 전쟁을 치르고 있는 곳입니다. 국가 기밀을 빼가거나 시스템을 마비시키려는 세력들에 맞선 새로운 형태의 전쟁이죠."
안내요원이 벽을 가리고 있던 커튼을 걷어내자 투명한 통유리 너머로 상황실이 나타났다. 외부인은 유리 너머로 볼 수만 있다고 했다. 상황실에 근무하는 요원들은 그들만 아는 비밀 통로로 출입한다. 상황실 전면에 설치된 가로 10m×세로 2m 크기 대형 스크린이 먼저 눈에 들어왔다.
스크린엔 6개 창이 빼곡히 들어차 있었다. 그 중심부에 초록색의 한반도 지도가 나타났다. 안내 요원은 "해킹이 감지되면 지도에 침투지역이 표시되고 즉각 해킹 방어작전에 들어간다"고 설명했다. 말이 끝나기 무섭게 갑자기 서울 지역이 파랗게 물들었다. 지도 옆 '정상'이라고 적혀있던 신호는 '관심'으로 바뀌었다.
순간 긴장감이 돌면서, 상황실 내 직원들의 움직임이 빨라지기 시작했다.
- ▲ 해커들의 사이버 테러에 대응하기 위해 창설된 국정원 국가사이버안전센터 요원들이 상황실에서 대형스크린에 올라온 해킹 정보를 분석하고 있다. /국가정보원 제공
국정원 관계자는 "서울의 한 기관에 해킹이 감지됐다"며 "해킹을 막지 못하면 경보는 주의→경계→심각 순으로 악화된다"고 설명했다.
그 직후 광주·대전 등 다른 지역도 파란색 경고로 물들었다. 광주과학기술원·한국수력원자력·한국표준과학기술연구원 등에 대한 해커들의 공격이 시작된 것이다. 광주과학기술원 해킹 근원지는 중국으로 파악됐다.
센터 관계자는 "중국발 해킹이 부쩍 늘었다. 산업 기밀을 노리고 있다"고 귀띔했다.
10여분 뒤, 파란색으로 얼룩졌던 한반도 지도는 '초록색'으로 안정을 되찾았지만, 이후에도 '경보' 발령은 수시로 켜졌다. 국가사이버안전센터는 2003년 1월 우리나라 전체 인터넷이 마비되는 '인터넷 대란'을 겪은 다음해인 2004년 1월 창설됐다. 국내 민·관·군의 1800여개 기간(基幹) 전산망을 사이버 테러로부터 보호하는 사령부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시스템은 휴일 없이 24시간 풀가동 된다. 내부 시설과 인력 규모 등은 국가 핵심 기밀에 속한다. 국정원 간부들조차 몇 명이 근무하는지 모를 정도라고 한다.
상황실 요원들은 해킹 공격을 방어하는 일을 '전쟁'이라고 표현했다.
영화 '다이하드4'처럼 '해커' 한 명이 컴퓨터 조작만으로 비행기 추락·열차 충돌·발전소 폭발 등 대형 참사를 유발할 수 있기 때문이다. 실제 해킹은 '전쟁'에 활용되기도 한다.
지난 8월 그루지야와 영토분쟁으로 전쟁까지 치렀던 러시아는 '사이버 공격'으로 그루지야 정부 웹사이트를 초토화시킨 뒤, 물리적인 군사작전에 돌입했다. 지난해 4월 에스토니아도 러시아인으로 추정되는 해커들에 의해 주요 전산망이 마비됐고, 전력 공급이 중단됐다.
현대전(戰)은 탱크나 전투기에 앞서 사이버 공격으로 적의 기선을 제압한다는 게 국정원 관계자들의 설명이다.
상황실에 근무하는 한 요원은 "지금 각국은 적성(敵性)국가 컴퓨터마다 바이러스 숙주(宿主)를 심어놓은 뒤, 일정 시점에 신호를 보내면 잠복했던 바이러스가 동시 활동을 개시하면서 상대방 전산망을 다운시키는 전략을 구사한다"고 말했다. 각 가정 컴퓨터에도 이미 테러 용도의 바이러스 숙주가 자리잡고 있을 가능성이 있다는 것이다.
우리나라도 아찔한 순간이 있었다. 지난 2004년 4월, 국회·해양경찰청·원자력연구소 등 24개 주요 국가·공공기관 PC가 중국발 악성 바이러스 침투로 마비됐고, 완전 복구에는 2개월이 걸렸다.
지난해 국내에서 발생한 사이버 침해사고는 총 3만5316건. 전년보다 9% 감소했지만, 공공분야 침해사고는 증가했다. 기관별로는 지자체(51%), 교육기관(28%), 산하기관(9%), 국가기관(8%), 연구기관(3%) 순이다.
이날 안내를 맡은 국정원 요원은 "이제 '간첩 검거'와 같은 '구(舊) 안보활동'에만 머무를 수 없는 시대가 왔다"며 "보이지 않는 해커와 싸우는 일은 21세기 '첨단 안보 활동'"이라고 말했다.
그 직후 광주·대전 등 다른 지역도 파란색 경고로 물들었다. 광주과학기술원·한국수력원자력·한국표준과학기술연구원 등에 대한 해커들의 공격이 시작된 것이다. 광주과학기술원 해킹 근원지는 중국으로 파악됐다.
센터 관계자는 "중국발 해킹이 부쩍 늘었다. 산업 기밀을 노리고 있다"고 귀띔했다.
10여분 뒤, 파란색으로 얼룩졌던 한반도 지도는 '초록색'으로 안정을 되찾았지만, 이후에도 '경보' 발령은 수시로 켜졌다. 국가사이버안전센터는 2003년 1월 우리나라 전체 인터넷이 마비되는 '인터넷 대란'을 겪은 다음해인 2004년 1월 창설됐다. 국내 민·관·군의 1800여개 기간(基幹) 전산망을 사이버 테러로부터 보호하는 사령부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시스템은 휴일 없이 24시간 풀가동 된다. 내부 시설과 인력 규모 등은 국가 핵심 기밀에 속한다. 국정원 간부들조차 몇 명이 근무하는지 모를 정도라고 한다.
상황실 요원들은 해킹 공격을 방어하는 일을 '전쟁'이라고 표현했다.
영화 '다이하드4'처럼 '해커' 한 명이 컴퓨터 조작만으로 비행기 추락·열차 충돌·발전소 폭발 등 대형 참사를 유발할 수 있기 때문이다. 실제 해킹은 '전쟁'에 활용되기도 한다.
지난 8월 그루지야와 영토분쟁으로 전쟁까지 치렀던 러시아는 '사이버 공격'으로 그루지야 정부 웹사이트를 초토화시킨 뒤, 물리적인 군사작전에 돌입했다. 지난해 4월 에스토니아도 러시아인으로 추정되는 해커들에 의해 주요 전산망이 마비됐고, 전력 공급이 중단됐다.
현대전(戰)은 탱크나 전투기에 앞서 사이버 공격으로 적의 기선을 제압한다는 게 국정원 관계자들의 설명이다.
상황실에 근무하는 한 요원은 "지금 각국은 적성(敵性)국가 컴퓨터마다 바이러스 숙주(宿主)를 심어놓은 뒤, 일정 시점에 신호를 보내면 잠복했던 바이러스가 동시 활동을 개시하면서 상대방 전산망을 다운시키는 전략을 구사한다"고 말했다. 각 가정 컴퓨터에도 이미 테러 용도의 바이러스 숙주가 자리잡고 있을 가능성이 있다는 것이다.
우리나라도 아찔한 순간이 있었다. 지난 2004년 4월, 국회·해양경찰청·원자력연구소 등 24개 주요 국가·공공기관 PC가 중국발 악성 바이러스 침투로 마비됐고, 완전 복구에는 2개월이 걸렸다.
지난해 국내에서 발생한 사이버 침해사고는 총 3만5316건. 전년보다 9% 감소했지만, 공공분야 침해사고는 증가했다. 기관별로는 지자체(51%), 교육기관(28%), 산하기관(9%), 국가기관(8%), 연구기관(3%) 순이다.
이날 안내를 맡은 국정원 요원은 "이제 '간첩 검거'와 같은 '구(舊) 안보활동'에만 머무를 수 없는 시대가 왔다"며 "보이지 않는 해커와 싸우는 일은 21세기 '첨단 안보 활동'"이라고 말했다.
|
세계의 그린 카 전쟁 (0) | 2008.10.17 |
---|---|
입꽁지 내린 중년 남성들이여, 볼살을 움직여라! (0) | 2008.10.15 |
소나무 껍질에 '젊음의 묘약'이 숨어 있다 (0) | 2008.10.13 |
아름다워진 한국 화장실 (0) | 2008.10.13 |
세계가 놀란 대단한 실험 (0) | 2008.10.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