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대하게 날개를 편 봉황과 칼날의 지느러미를 가진 용, 그리고 농염한 동백과 차고 맑은 달. 전남 강진 땅에 사흘 동안 머물며 만나고 돌아온 것들입니다. 강진의 만덕산과 능선으로 이어진 주작산과 덕룡산. 날개를 편 주작(朱雀)과 용트림하는 덕룡(德龍)의 이름 그대로 여기는 창끝처럼 날카로운 암릉으로 이어진 오금 저리는 능선입니다. 고백하자면 그 앞에서 몇 번이고 주저했는지 모릅니다. 망설임 끝에 주작의 날개와 덕룡의 등지느러미 위에 올라타는 순간, 마주한 것은 현기증 나는 아름다움이었습니다. 지느러미처럼 펼쳐진 바위를 딛고 가는 내내 산정에는 힘껏 당겨진 활시위처럼 팽팽한 긴장의 풍경이 펼쳐졌고, 그 사이로 청보리가 푸릇푸릇한 강진의 너른 들, 그리고 그 너머로 강진만의 풍경이 유순하게 스며들었습니다. 나무덱도 철사다리도 없고 도무지 길이 있을 것 같지 않은 바위 사이에 오로지 맨몸으로 스스로 디딤자리를 확보하고 밧줄을 붙잡아 오르는 길. 이 능선 길은 한 번 딛고 나면 도무지 되돌아 나올 방도가 없습니다. 아슬아슬 건너온 길의 가슴 철렁한 기억 때문에 감히 되돌아갈 엄두를 내지 못하기 때문이기도 하고, 가야 할 길 앞에서 수직으로 선 암봉의 기기묘묘한 풍경에 대한 기대 때문에라도 차마 발길을 돌릴 수 없습니다. 봉황과 용의 잔등에다 감히 발을 들인 걸 내내 후회하면서도, 물러서지 않고 아찔한 바위를 타고 넘으며 가슴을 쓸어내릴 수밖에 없었던 건 이런 이유 때문이었습니다. 주작과 덕룡의 흰 이빨처럼 일어선 암봉의 발치에는 월하마을이 있습니다. 말 그대로 ‘달 아래(月下) 마을’입니다. 강진이 이웃 영암과 나눠 가진 월출산의 기암 아래도 공교롭게 ‘달의 남쪽’(月南·월남)마을이 있습니다. 거대하게 일어선 바위산과 차갑고 맑은 달은 썩 어울리는 조합입니다. 월하마을의 푸른 밤 풍경에 걸린 맑은 달을 보면 그걸 알 수 있습니다. 월출산 아래도, 그리고 주작과 덕룡의 발치에도 다산 정약용의 자취가 있었습니다. 다산은 강진 유배 중에 덕룡산 아래 그윽하게 꾸며놓은 윤개보의 별서 정원 ‘조석루’에 드나들면서 그 정취에 감탄하는 글을 남겼습니다. 별서의 주인은 조석루에서 ‘왕희지의 아침과 도연명의 저녁’을 읽었고, 그런 주인을 찾아간 다산은 주작과 덕룡 아래서 바람을 쐬고 산보를 하다 농막에서 묵은 뒤 말을 타고 만덕산의 초당으로 돌아가곤 했답니다. 사실 주작과 덕룡을 오른 건 좀 때가 일렀습니다. 맞추자면 주작과 덕룡은 진달래꽃 필 때가 제 시간입니다. 산 아래 월하마을에서 만난 한 촌로는 능선에 온통 진달래가 불붙을 때의 경관을 말하면서 몇 번이고 가슴을 치더군요. 그러고 보니 다산이 주작과 덕룡 아래 조석루를 찾아간 때도 ‘꽃피는 때’였습니다. 이제 막 만덕산 아래 백련사의 동백숲에 꽃모가지가 낭자하게 떨어지기 시작했고, 월하마을 돌담 너머로 매화도 만개했습니다. 수양마을의 덕룡산 기슭에 딱 한 그루 진달래도 성급하게 꽃망울을 터뜨렸으니 ‘진달래꽃 피는 때’는 이제 머지않았습니다.
# 강진에서 날개를 편 봉황과 거친 등갈기의 용을 만나다 먼저 강진에서 만난 주작(朱雀), 그러니까 봉황의 얘기부터 시작하자. 강진의 산이라면 이웃 영암과 나눠 가진 월출산부터 떠올리겠지만 그 못지않은, 아니 그보다 더 아찔하고 품이 넓은 산이 강진에 있다. 주작산(朱雀山). 주작은 청룡, 백호, 현무와 함께 네 곳의 방위를 지키는 사신(四神) 중의 하나다. 그중에서도 봉황의 형상을 따온 신화의 동물인 주작은 남쪽을 지킨다. 남도 땅 강진에서 남쪽 바다를 바라보며 솟은 산이라 남녘을 지키는 주작이라 이름 했겠지만, 땅의 기운이나 산의 형세도 주작이란 이름이 썩 잘 어울린다. 주작산은 주봉을 머리로 삼아 두 능선이 양 날개를 펴고 있는 형상이 영락없는 거대한 봉황의 모습이다. 풍수 따위는 전혀 모르는 문외한의 눈으로 봐도 그렇다. 주작산과 능선이 붙어있는 산이 덕룡산(德龍山)이다. 주작이 봉황이라면 덕룡은 용(龍)인 셈인데, 덕룡산이라 따로 부르기도 하고, 주작산의 한 봉우리로 봐 ‘주작산 덕룡봉’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그도 그럴 것이 주작을 봉황의 형상으로 본다면 덕룡산은 암봉을 사나운 등갈기로 세운 한 마리 용이면서 주작이 펼치고 있는 거대한 왼쪽 날개이기 때문이다. 이 산에 발을 들이는 사람들은 봉황의 날개와 용의 잔등을 이어붙여 함께 종주하는 게 보통이다. 주작산과 덕룡산은 철 따라 산깨나 올라봤다는 사람들 외에는 아는 이들이 드물다. 하지만 강진의 신전면에서 해남의 북일면으로 이어지는 55번 지방도로를 한 번이라도 달려봤다면 이 산을 모를 리 없다. 흰 이빨처럼 날카롭게 치솟은 흰 암봉이 병풍처럼 길게 늘어선 범상찮은 산세 때문이다. 먼발치서 바라본 산은 기대보다는 아찔한 공포로 다가온다. 톱니같이 거친 암봉이 도무지 사람의 발길을 허락하지 않을 것 같기 때문이다. 산행의 들머리를 묻는데 산 아랫마을 주민들은 위아래로 쓱 훑어보고는 ‘쉽지 않다’며 고개를 설레설레 흔들었다. 주작산의 높이는 475m, 덕룡산은 이보다 낮은 433m에 불과하다. 아무리 바닷가라 육지의 산보다 체감 고도가 높다 해도 500m도 채 안 되는 산이 무어 그리 어려울까 싶지만, 설악의 공룡능선이나 용아장성을 방불케 하는 덕룡산의 거대한 암봉을 올려다보면 그 위용에 그만 기가 질린다. 종주 산행이 쉽지 않음은 두 산의 능선을 이어 종주하는데 꼬박 7시간이 걸린다는 것만 봐도 알 수 있다. 실제로 올라보면 웬만큼 날렵한 산꾼이 아니고서는 7시간에 주파한다는 것도 잘 믿기지 않는다. 이 두 산에는 나무덱이나 철계단 같은 인공시설물이 거의 없다. 매듭을 지은 굵은 밧줄과 바위에 ‘ㄷ’자로 박아놓은 철심이 전부다. 그러니 내내 깎아지른 바위를 온몸을 써서 올라야 한다. 믿을 건 오로지 자기 몸일 뿐이다. # 수직의 벼랑에서 느끼는 아슬아슬한 고도감
서봉을 넘었다고 해도 난코스는 이어진다. 날카로운 창처럼 일어선 바위 끝을 딛고 가는 세 번째, 네 번째 암봉도 다리가 후들거리기는 마찬가지다. 급경사로 일어선 바위를 옆으로 돌아가며 디딤발을 찾아가는 앞 선 등산객의 모습만으로도 머리카락이 쭈뼛 설 정도다. 이렇게 몇 시간에 걸친 씨름을 하고 나면 비로소 1.8㎞의 긴 억새밭 능선을 만난다. 여기서 다시 한 번 몸을 일으킨 암릉이 주작산이고, 주작산을 넘으면 남주작산과 이어지는 작천소령이다. 주작산은 멀리서 보면 덕룡산과는 달리 두리뭉실한 느낌이다. 하지만 막상 산에 들어서면 덕룡산 못지않게 날카롭고 거친 암릉이 이어진다. 석문 쪽에서 덕룡산을 넘어 종주 등반을 하는 이들은 여기쯤 이르면 아예 혀를 내두르게 된다. 산행 거리도 도합 16㎞가 훨씬 넘는데다 바위를 타고 내리는 내내 긴장을 늦출 수 없었으니 이미 몸은 녹초상태. 지친 산행의 끝에서 다시 나타나는 거친 암릉에는 저절로 고개를 흔들 수밖에 없다. 그래서 종주를 택했던 이들은 십중팔구 남주작산은 포기하고 작천소령에서 주작산휴양림 쪽으로 내려서게 된다. 대부분의 산은 정상을 주산으로 삼지만, 주작산은 정상이 아니라 남쪽 강진만 쪽으로 흘러내린 남주작산 봉우리를 주산으로 삼는다. 해발고도는 낮지만 남주작의 봉우리가 주작의 머리부분이기 때문이다. 남주작산은 휴양림에서 임도를 타고 차로 오를 수 있다. 강진군이 주작의 정수리 부분에다 일출전망대를 만들면서 임도를 닦아놓았는데, 길은 구불구불 좁지만 노면은 잘 다듬어놓았다. 전망대에 서면 한쪽으로는 강진만과 완도 일대의 바다가 한눈에 들어오고 반대편으로는 만덕산에서 시작한 덕룡산과 주작산의 거친 산줄기가 마치 잘 접은 화첩을 펴듯 주르륵 펼쳐진다. # 주작의 명당과 다산의 자취를 찾다 주작산과 덕룡산은 산이 품고 있는 비범한 기운 만큼 옛이야기들도 여럿 깃들어있다. 주작산은 ‘남쪽을 지킨다’는 주작의 의미 탓인지 강진 사람들은 예부터 영산이라 여겨왔다. 그래서일까. 주작산에는 예부터 8개의 명당이 있다는 전설이 전해 내려오고 있다. 8곳 명당은 장군대좌(將軍大座), 노서하전(老鼠下田), 옥녀탄금(玉女彈琴), 계두혈(鷄頭穴), 정금혈(井金穴), 월매등(月埋燈), 옥등괘벽(玉燈掛壁), 운중복월(雲中覆月)이다. 이중 옥등괘벽은 연안 차 씨가, 계두혈은 도장 김 씨가, 정금혈은 전주 이 씨가, 운중복월은 해남 윤 씨가 이미 선산을 썼지만 나머지 4개의 혈이 남아있어 한동안 풍수지리가와 역술가들이 그 자리를 찾느라 자주 드나들었다고 전한다. 주작산의 기기묘묘한 기암에는 저마다 전설이 전해진다. 주작산 아랫마을 주민들을 붙잡고 물으면 할미바위와 동구리바위(흔들바위), 상여바위의 전설쯤은 쉽게 들을 수 있다. 보따리를 이고 가는 등 굽은 할머니 형상의 할미바위 때문에 산 아래 장동마을이 폐촌이 되고 주민들이 수양리로 이주했다는 이야기며, 동구리 바위 탓에 가뭄이 들었다고 믿었던 수양리 주민들이 바위를 폭파하려 하자 폭우가 쏟아졌다는 이야기, 그리고 상여꽃이라 부르는 두소화가 핀 걸로 풍년을 점쳤던 주민들이 꽃이 잘 피지 않는 해에 꽃을 꺾어다 상여바위 부근에 꽂아두고 상엿소리를 하며 액땜을 했다는 이야기까지 끝이 없다. 주작산과 덕룡산에 얽힌 이야기를 따라가다 보면 강진에서 18년 동안 유배생활을 했던 다산 정약용이 빠질 수 없다. 다산은 유배 중에 덕룡산의 거친 암봉 아래 은둔하던 사돈이자 친구인 개보 윤서유의 별서 ‘조석루’를 자주 찾았고 여기서 시문을 여럿 남겼다.
|
'풍류, 술, 멋'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박록담 우리술 이야기_11 (0) | 2014.03.22 |
---|---|
꽃따라 걷는 남도 길 (0) | 2014.03.20 |
동양화가 말을 걸다_24 (0) | 2014.03.09 |
전북 고창 "아름다운 집 3채" (0) | 2014.03.05 |
박록담 우리술 이야기_10 (0) | 2014.03.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