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사상

이창환_신의 정원 조선 왕릉_08

醉月 2010. 5. 27. 09:11

恨과 눈물 서린 단종애사 세자 묘 형식의 능침
단종의 장릉

이창환 상지영서대 조경학과 교수 55hansong@naver.com 사진 제공·문화재청, 서헌강, 이창환

조선 왕릉은 현재 북한에 있는 2기를 제외하고 대부분 도성인 한양을 중심으로 반경 4~40km에 조영됐다. 그러나 조선 제6대 임금인 단종(1441~1457)이 잠든 장릉(莊陵)은 유일하게 강원도 영월군 영월읍 영흥리 산133-1번지에 있다. 이곳은 산으로 겹겹이 둘러싸인 오지로 면적이 356만3000㎡(107여 만 평)이며, 완충지역까지 포함하면 437만4000㎡에 이르는 광활한 땅이다. 단종이 왜 이처럼 먼 곳까지 와서 묻혔는지는 ‘단종애사(端宗哀史)’라고 불리는 역사가 말해준다.

세종 23년(1441) 7월 23일 왕세자빈 권씨(현덕왕후)가 동궁(창덕궁) 자선당에서 원손(단종)을 낳자, 세종대왕은 “세자(문종)가 장년(28세)이 돼도 후사가 없어 염려했는데 적손이 생겨 기쁘기 이를 데 없다”라며 대사면령을 내렸다. 그러나 기쁨도 잠시, 이튿날 세자빈의 산후 통증이 심하다는 소식에 시아버지인 세종이 친히 동궁으로 병문안을 갔으나 세자빈은 사망하고 말았다. 왕궁인 경복궁과 세자궁인 창덕궁 모두 슬픔에 잠겼다. 세종은 세자빈의 장례 격식에 대해 자신의 어머니 원경왕후(태종비)보다는 내리고, 직전 사망한 큰딸 정소공주보다는 높여 동궁 안에서 모시라고 명했다. 이는 세자빈에 대한 최고 예우였다.

세종과 소헌왕후의 장손으로 태어난 원손 이홍위는 친어머니 품에 안겨보지도 못한 채 세종의 후궁인 혜빈 양씨(작은할머니)의 젖을 먹으며 자랐다. 할머니인 소헌왕후는 이런 손자를 애틋하게 여겨 더욱 정성껏 돌봤다. 8세가 되던 해 4월 3일, 세종은 원손에 대해 “천자(天姿·타고난 용모)가 숙성하고 품성이 영특하고 밝으며, 지금 나의 스승에 나아갈 만큼 됐다”고 칭찬한 뒤 왕세손으로 명했다.

 

청령포로 귀양 간 노산군 사약 받고 사망

1450년 세종이 승하하고, 문종이 왕위에 오르자 왕세손에서 왕세자가 됐다. 그러나 1452년 5월 18일 문종이 갑작스럽게 승하하자 단종은 제6대 임금으로 즉위했다. 그의 나이 12세였다. 너무 어린 나이에 즉위한 단종은 3년 2개월의 재위 동안 수렴청정을 할 만한 배경조차 없었다. 왕위에 오르자마자 단종은 방대한 양의 교서를 발표했다. 이는 아버지 문종이 어린 아들을 염려해 종친과 대신들에게 부탁한 고명(顧命)정치의 내용이었다.

문종의 유명을 받든 김종서, 황보인 등 고명대신들은 ‘황표정사(黃標政事)’를 했다. 황표정사란 일부 공신이 관료 후보자 명단 가운데 의중에 둔 사람을 노란색으로 표시해 임금에게 올린 것을 가리킨다. 관료 인사는 임금의 고유 권한이었으나 단종이 어린 탓에 공신들이 대신 인사권을 행사했던 것이다. 그러나 이 때문에 정국이 혼란에 빠지고 종사가 위태로워지자, 문종의 동생이자 단종의 숙부인 수양대군이 계유정난을 일으켰다.

실권을 장악한 수양대군은 종친과 궁인 신하들을 유배시키고 대신들을 죽였다. 겁을 먹은 단종은 왕위를 내놓고 상왕으로 물러났다. 세조는 즉위하자마자 단종을 키운 혜빈 양씨마저 청풍으로 귀양 보내, 이제 궁 안에는 단종을 가까이에서 보살펴줄 사람이 하나도 없었다.

   

① 월중도(越中圖). 18세기 장릉을 중심으로 영월의 모습을 그린 그림,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소장본. ② 단종 장릉 능침 전경. 사각장명등은 조선시대 최초의 것으로 추정된다. ③ 숲으로 겹겹이 둘러싸인 장릉의 모습. ④ 단종 장릉 제향공간. 곡선형 신로와 어로, 영천, 배식단이 보인다.

1456년 성삼문, 박팽년 등 집현전 학사 출신들과 단종의 여섯째 숙부인 금성대군이 단종 복위를 도모했으나 실패로 끝났다. 이후 단종은 서인(노산군)으로 강봉돼 영월 청령포로 귀양 갔다. 청령포는 동강이 삼면으로 휘돌아 흐르고, 험악한 절벽으로 둘러싸인 천혜의 감옥이다. 1457년 9월 경상도 영주로 유배 가 있던 금성대군이 다시 단종 복위를 계획하다 발각돼 사사됐고, 단종은 폐서인으로 강등됐다가 그해 10월 24일 사약을 받았다.

단종이 죽자(‘세조실록’에는 자결했다고 기록돼 있다) 시신은 영월의 아전 엄흥도가 동을지산(冬乙旨山)에 몰래 묻었다. 사람들은 “후한이 두렵다”며 말렸으나 엄흥도는 “옳은 일을 하다 화를 당하더라도 달게 받겠다”며 야밤에 관을 준비해 단종의 시신을 수습하고 산지를 찾아갔다. 그때 소나무 밑에 있던 사슴 한 마리가 자리를 비켜주어 잠시 쉬었다 가려는데 지게가 움직이지 않자 그 자리에 급히 암장했다. 이곳이 현재의 장릉이다. 그래서인지 장릉의 능침은 양지바르고, 눈이 와도 쉽게 녹고 따뜻하다. 장릉 터에 대해 풍수가들은 갈룡음수형, 비룡승천형이라 한다. 한편 단종을 장례 지낸 뒤 엄흥도는 식솔을 데리고 충청도 동학사로 잠적했다. 지금도 동학사에는 단종과 정순왕후, 엄흥도의 위폐가 모셔져 있다.

단종은 죽어서 두견새로 환생했다고 한다. 그리고 유배지까지 단종을 따라온 시녀들은 청령포 건너 동강 절벽의 낙화암에서 몸을 던져 목숨을 끊었다. 이후 이들 영혼은 단종의 유택이 있는 장릉 능선 끝자락에 와서 단종의 영혼에 절하고 시중을 들었다고 한다. 정조 때 영월부사로 부임한 박기정(사육신 박팽년의 후손)은 이 이야기를 듣고 그 뜻을 기려 배견정(拜鵑亭)이라는 정자를 세우고, 뒤편 바위에 친히 배견암이라는 글자를 썼다.

 

“수많은 이야깃거리가 문화유산감”

80여 년 동안 노산군의 묘는 제사도 봉양도 받지 못하고, 찾는 이도 없이 버려졌다. 중종 33년(1538) 영월부사로 부임한 박충헌이 꿈을 꾼 뒤 노산묘를 찾아 봉분을 정비하면서 알려졌다. 박충헌은 영월에 부임하는 부사마다 임기 중에 죽는다는 이야기를 듣던 어느 날 꿈에서 단종을 만나 그의 억울함을 들었다 한다. 단종은 숙종 7년(1681)에 대군으로 추봉되고 숙종 24년(1698) 추복해 묘호를 단종(端宗), 능호를 장릉(莊陵)이라 했다. 241년 만에 왕실의 정례를 찾았다.

   

단종제의 제향 모습.

그리고 단종을 위해 목숨을 바친 충신 32인, 조사 186인, 환자군노 44인, 여인 6인 등 총 268명의 위패를 모셨다. 이 건물이 장판옥이다. 장판옥 맞은편 배식단에서는 매년 4월 한식날 단종제를 올린 뒤 이들에게도 제사를 지낸다.

장릉의 능침공간과 제향공간의 배치는 여느 능과는 다른 점이 많다. 장유형의 능선 중간에 능침이 있고, 능침 서측 수십m 아래에 평지를 이용해 L자형 참도를 만들고 정자각을 배치했다. 이는 단종이 암매장된 능침의 앞이 좁아 자연친화적인 조영원리에 따른 것으로 본다.

장릉의 능침공간은 후릉(厚陵)과 경릉(敬陵)의 예에 따라 난간석과 병풍석, 무인석은 생략하고 세자의 묘 형식을 따르고 있다. 단종은 능이 조영된 숙종 때 노산군으로 복위됐다가 영조 때 다시 단종으로 복위됐기 때문이다. 그래서 장릉의 능원은 중종 때 능지를 확인한 후 숙종대에 혼유석과 장명등, 석호, 석양, 망주석 등 석물을 정비했으며, 영조 연간에 제향공간을 만들고 정자각과 수복, 수라간, 산신석, 예감 등을 배치했다. 그리고 정조대에 정려각과 배식단, 장판옥을 만드는 등 능이 수세기에 걸쳐 조영됐다. 이곳의 산신석은 다른 곳과 달리 위쪽에 예감, 아래쪽에 산신석이 있어 왕과 산신의 위계를 볼 수 있는 유일한 곳이다.

능침의 석물은 세자의 예에 따라서인지 작고 간단하다. 사각옥형(四角屋形)의 장명등은 숙종 때 조영된 것으로 명릉보다 앞선 조선시대 최초의 사각장명등으로 추정된다. 장릉의 능침에서 바라보는 전경은 아름답고 장엄하다. 17세기 장릉의 능역을 상세히 그린 ‘월중도(越中圖)’는 능원을 연구하고 복원하는 데 문헌적 가치가 높다. 이곳에 나타난 경석지(景淅池)는 아름다운 경관이 물에 비친다는 뜻으로, 인도의 타지마할 전면부에 수로(Canal)를 만들어 능묘를 투영한 예와 비슷하다. 경석지의 발굴과 복원이 아쉽기만 하다.

단종에게 충절을 다한 여러 신하를 배향하기 위해 1791년 정조의 명으로 장릉 아래에 배식단(配食壇)을 설치했고, 능역 안에 배식단사(配食壇祠)와 영천(靈泉), 엄흥도정려각(嚴興道旌閭閣) 등을 세웠다. 제향공간 곡선의 참도 옆에 설치된 영천은 일반 능역의 제정(어정·왕실 우물)을 가리키는데, 가뭄과 홍수에도 마르지 않는 것이 알려져 박기정이 이 사실을 조정에 이르자 정조가 친히 ‘영천(靈泉)’이라 했다고 전한다.

이 밖에 장릉은 보호구역 안에 원찰인 보덕사, 금몽암 등 단종애사와 관련된 많은 이야깃거리와 문화유적이 있다. 세계문화유산 실사자로 왔던 왕리준(王力軍)은 “전 세계에 수많은 왕의 이야기가 있지만 ‘단종애사’ 같은 역사는 이곳이 유일하지 않느냐”며 “이것이야말로 세계문화유산감”이라고 높이 평가했다. 세계문화유산의 의미를 단편적으로 설명해주는 내용이다.

장릉의 제례는 매년 한식을 전후해 영월의 큰 문화행사인 단종제가 열린다. 단종비 정순왕후는 단종 즉위 2년째인 1454년 1월 결혼했으나 다음 해 단종이 폐위되고 영월로 유배되자 남편과 생이별해 자식을 얻지 못했다. 이후 82세에 사가에서 세상을 떠났다. 정순왕후의 능은 단종의 누이 경혜공주가 출가한 해주 정씨의 묘역인 경기 남양주시 진건면 사릉리 산65-1번지에 있으며 능호는 사릉(思陵)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