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사상

한의학의 원류를 찾아서_03

醉月 2012. 7. 2. 06:49

약왕 손사막

손사막(孫思邈, 581~682)은 옹주(雍州) 화원(華原)에서 태어난 대의학자로 중국 수·당(隋·唐) 시기를 대표하는 명의다. 7세에 학문을 시작해 하루에 천여 개 문장을 외울 정도로 영특했지만, 어릴 때부터 병약해 의학에도 관심을 가지게 됐다. 이후 관직보다 학문과 의술에 관심을 기울여 명예와 이익을 멀리했다. 은둔 생활을 했고 천문과 역법도 해박했다.


사고전서와 신구당서, 노조린이 쓴 병리수부라는 글 등을 종합해볼 때 손사막은 102세까지 살았던 것으로 보이는데, 장수의 비결이 병약이라는 점은 역설적이다.


스무살이 되어서는 유가, 도가, 불가 등 백가에 이미 능통했다. 낙주(洛州) 총관(總管) 독고신(獨孤信)은 손사막의 그릇이 큰 인물이지만 등용되기 힘든 점을 유감스럽다고 말할 정도였다. 하지만 낭중지추였던지 손사막의 진면목을 알아보는 조정 대신과 황제의 부름이 꾸준히 이어졌지만, 그는 늘 사양하면서 의학 연구에 매진했다.


수(隋) 문제(文帝)는 손사막을 국자감 박사로 초빙했으나, 손사막은 지병을 핑계로 사양했다. 당(唐) 태종(太宗)도 손사막을 조정으로 불러들여 만났지만 등용에 이르지는 못했다. 손사막이 또다시 고사했기 때문이다. 당 고종이 손사막을 불러 들여 간의대부(諫議大夫)에 임명했으나, 역시 고사하고 받아들이지 않았다. 당대의 학자였던 송지문(宋之問), 맹선(孟詵), 노조린(盧照隣)도 손사막을 극진히 존중했다.


손사막의 연구는 100세가 넘어서도 이어졌는데, 100세 때 천금익방(千金翼方) 30권을 저술했다. 천금요방은 앞서 저술한 비급 천금요방(備急 千金要方)의 속편으로, 두 저서는 사람의 목숨을 구하는 천금같은 비방이 담겨 있다는 뜻이다.


손사막은 이전 의학을 집대성하는 한편, 사고의 틀을 깬 새로운 약재와 치료법 발굴도 게을리 하지 않았다. 그는 태백산(太白山), 태행산(太行山), 숭산(嵩山), 아미산(峨嵋山) 등지를 누비며, 새로운 약재를 발굴하고 임상에 도입해 수많은 치료 사례를 남겼기에 약왕(藥王)이라는 별명을 얻을 수 있었다.


그는 기존 의학 이론과 자연의 이치에 해박했기에 이를 뛰어넘는 응용과 창안이 가능했다. 한의학의 원전으로 불리는 황제내경의 틀을 뛰어넘었다는 평을 받았으며, 현재 한의학계에도 지대한 영향을 미치는 장중경의 학설에도 구애받지 않았다. 약을 씀에 있어서도 약재의 원전인 신농본초경의 틀을 넘었다. 이는 손사막이 실제 임상에서 효과를 중시했기 때문이다.


천금요방에는 5000개의 처방이 있으며 내용은 진단법과 증후 등 의학 이론 외에도, 내과, 외과, 부인과, 소아과 등 임상 각과 치료법이 담겨 있다. 이외에 해독법, 응급구조, 양생, 식이요법, 침구법, 안마, 도인법, 호흡법에 대한 서술도 있어 집대성이라 할 만하다.


천금익방에는 3000가지 처방이 실려 있고, 본초, 부인, 상한, 소아, 양생, 보익, 중풍, 잡병, 창상, 기색, 진맥, 침구 등으로 분야를 나눠 기술했다. 또 천금요방에 대한 이해를 돕는 보충설명도 담겨 있다.


그가 다룬 약재 종류만 800 종이 넘으며, 그 중 200여 종의 약재의 채집과 가공 방법이 상세히 실려 있다.

 

손사막은 말년에 승무랑을 수여받았으며 약국사무를 관장했다. 손사막은 당 고종 영순(永淳) 초년 682년에 세상을 떠나며 유언을 남겼다. 장례를 간단히 치르고, 종이로 된 기물을 불태우지 말고, 제사할 때 가축을 잡지 말라고 했다. 그가 죽은 후 한 달이 지나서도 안색이 살아 있을 때와 같았고, 시신을 넣은 관을 들어 올릴 때 마치 비어 있는 듯 가벼웠다는 기록이 있다. 이외에도 도인으로 통했던 손사막이 사망 이후에도 전국 곳곳에서 모습을 드러냈다는 기록이 남아 있어 아직까지도 그가 102세에 숨을 거둔 것이 확실한지 알 수 없다. 범상치 않은 행적과 사망 당시 기록은 도인의 품격에 걸맞는다 할 수 있겠다.


손사막은 자신이 평생 청빈한 삶 속에서 자비로운 인술을 펼쳤듯이, 후학에게도 의료인으로서 마음가짐에 대해 거듭 강조했다. 의사는 반드시 마음을 비우고 자비를 베풀어야 하며, 평생 수양을 게을리 하지 않아야 한다고 했다.


천금요방 첫 머리에 ‘대의습업’과 ‘대의정성’ 2편을 실었다. 일종의 의료윤리라 할 수 있으며, 중국 최초의 온전한 형태의 의료 윤리 관련 서술이라 볼 수 있다. 손사막은 여기에서 “무릇 대의가 병을 치료함에 반드시 마음과 정신을 안정시켜야 하고, 욕심이 없어야 하며, 먼저 자비심과 측은지심을 내어 환자의 고통을 구할 것을 맹세해야 한다”라고 말했다.

 

손사막의 업적과 인품을 고려할 때 한의학 서적에서 그의 이름을 쉽게 찾을 수 있는 것은 어찌 보면 당연한 일이다. 하지만 신선의 일대기를 다룬 서적이나 도가 관련 서적에서도 심심찮게 그의 이름을 찾을 수 있는 것은 재미있는 사실이다. 아마도 손사막이 주로 태백산에서 은둔 생활을 하며 약초와 의학을 연구하는 외에 늘 수행을 게을리 하지 않으며 도를 닦았기 때문일 것이다. 그는 역법 등 다른 학문에도 정통했다.


당나라 고종 3년을 경축하기 위해 그를 불렀을 때 손사막의 나이는 이미 90여 세였지만 시력과 청력은 조금도 약해지지 않았다. 시인 노조린(盧照鄰)과 당시의 명사 송영문(宋令文) 등은 모두 스승에 대한 예로 손사막을 대우했다. 그들은 손사막에게 자연과 인체의 이치에 대해 물었고, 손사막은 막힘 없이 답해주었다. 문답에서 드러나는 손사막의 진면목은 자연과 합일을 추구하는 도인의 풍모 그 자체라 할 수 있다.


그들이 일찍이 손사막을 찾아 “명의는 병을 잘 치료하는데 어떤 이치로 그러합니까”라고 물었다. 손사막은 “듣기로 하늘에 통달한 사람은 반드시 사람의 몸에서 그의 본체(本體)를 찾을 수 있고, 사람을 잘 아는 사람은 반드시 하늘을 본체(本體)로 삼는다. 따라서 하늘에는 춘하추동, 밤낮이 차례로 교체하며, 겨울이 오고 여름이 가면서 바뀌는데 이것이 대자연의 운행이다. 인체에는 사지와 오장이 있고, 깨고 잠이 들며, 호흡을 하며, 경맥과 기혈 순환이 있다. 유동하는 것은 기혈 순환이지만 나타나는 것은 사람의 기색인바 이는 인체의 정상 운행이다”라고 답했다. 인체를 소우주로 보는 그의 철학이 담겨 있는 문답이다.


또 이런 문답도 있었다. “양(陽)은 그 정화를 사용하고, 음(陰)은 그 형체를 사용하는데 이는 하늘과 사람이 같은 바이며, 정상에서 벗어나면 병이 생긴다. 찌면 열이 생기는데 그렇지 않으면 한(寒)이 생기고 뭉치게 되면 종양이 생기게 된다. 겉으로 드러나는 것을 진단해서 신체 내부의 변화를 알아낼 수 있다. 신체에 비교할 때 자연계 역시 이러하다. 별의 운행 중에 착오가 나타나고, 일식, 월식 현상이 있으며, 혜성의 낙하가 일어난다. 이것은 자연계의 위험 징조이다. 좋은 의사는 약물로 이끌고 침구로 병을 치료하고 사람을 구한다. 현명한 사람은 고상한 도덕과 현명함을 사용해 천하를 다스린다. 그래서 신체는 제거할 수 있는 질병이 있고, 하늘에서 없애 버릴 수 있는 재해가 있다, 이것이 모두 운명이다.”


노조린이 묻기를 “인간 세상의 일은 어떠한가”라고 하니 손사막이 대답하기를 “담(膽)이 크고 심(心)이 작아야하고 지혜는 융통성이 있어야 하고 행동은 바르게 해야 하고, 마음은 작아야 하다, 지혜는 융통성이 있어야 하며 소홀히 하지 말아야 한다”고 했다. 노조린은 뜻을 몰라 거듭 물으니 손사막은 “심장은 오장의 군주로서 마땅히 규율에 따라 일을 처리해야 하기에 신중해야 한다. 담은 오장의 장군과 같은 장기로서 반드시 과감하게 결단해야 하기에 담은 커야 한다. 지혜가 있는 사람이 하늘과 같이 행동하기에 둥글어야 하며 인의가 있는 사람은 땅과 같이 침착해야 하기에 올바르고 소홀함이 없어야 한다”고 답했다. 심장이 작아야 함은 신중해야 함을 뜻하며, 담이 커야 한다 함은 과단성이 있어야 함을 말한 것이다. 한의학에서 체질 진단을 함에 있어서, 오장 중에 간, 비, 폐, 신장의 대소를 논하지만 심장을 논하지 않음(예를 들어 소음인은 신이 크고 비가 작다 하고, 태양인은 폐가 크고 간이 작다고 한다)도, 심장이 모든 오장육부의 왕으로서 중심에 있는 것이고, 심장 즉 마음을 잘 다스리면 병이 잘 생기지 않고 무사할 것이라는 이론에 따른 것이라 볼 수 있다.


노조린이 또 묻기를 “정신 함양의 이치에서 가장 중요한 것이 무엇입니까?”라고 하니 손사막이 말하기를 “하늘은 가득함도 있고 부족함도 있기에 인간 세상의 일은 여러 어려움이 있다. 만약 신중하게 실행하지 않고 위험부터 벗어날 수 있는 사람은 지금까지 없었다. 따라서 정신 함양을 중시하는 사람은 스스로 우선 신중해야 한다. ‘시경(詩經)’에 ‘사람이 재앙을 두려워하지 않으면, 하늘에서 재난을 당신에게 내려준다’고 하였다. 두려움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도를 두려워하는 것이고 그 다음은 하늘을 두려워하는 것이고 그 다음은 물(物)을 두려워 하는 것이고 그 다음이 사람을 두려워 하는 것이고 가장 나중은 당신 자신을 두려워 하는 것이다. 이 때문에 두려움을 잃어버린 사람은 심사가 문란하고 조리가 없으며 행동은 초조하여 자제하지 못하며 정신은 흩어지고 의식은 어지럽게 된다”고 말했다.


손사막은 이어서 “이런 이치를 아는 사람은 길에서 걸을 때 사나운 동물이 당신을 해칠 수 없다. 각종 질병, 급성 전염병도 당신을 전염시킬 수 없다. 다른 사람의 험담을 좋아하는 사람도 당신을 비방할 수 없다. 이 이치를 아는 사람은 인간 세상의 모든 일을 전부 이해할 것이다”고 했다.


오래지 않아, 손사막은 승무랑을 수여받았으며 약국사무를 관장했다. 손사막은 당 고종 영순(永淳) 초년 682년에 홀연히 세상을 떠났다.

'문화&사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남의 재발견_01 함양  (0) 2012.07.07
역사기록, 그 진실과 왜곡 사이_02  (0) 2012.07.04
조용헌의 영지 기행_06  (0) 2012.06.30
역사기록, 그 진실과 왜곡 사이_01  (0) 2012.06.27
조용헌의 周遊天下_02  (0) 2012.06.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