풍류, 술, 멋

천등산(天登山)이 거느리는 시간과 풍습

醉月 2011. 8. 2. 00:36

천등산(天登山)이 거느리는 시간과 풍습 제천

최학│우송대학교 한국어학과 교수 jegang5@yahoo.com

 

천둥산은 이 모든 것을 보았다. 그리고 세월은 빠르게 흘렀다. 서울의 어두운 술집 골목에서 문득 ‘천둥산 박달재-’를 흥얼거리다보면 그 혹독한 어린 날들이 단번에 망막에 펼쳐져 눈앞이 흐려진다. 그러나 이 늦은 나이, ‘천둥산이 나의 이마 높이로 와 닿아 있고
박달재의 긴 구렁 짧은 구렁이 내 가슴까지 와 있다는 것을’ 조금 눈치 채기는 하겠는데 역사가 뭔지 인간이 뭔지 그리고 내 삶이 뭔지 하나도 모르겠다고 말한다.

 

원서문학관’에 다다르기 전, 예까지 온 김에 천등산이나 먼저 올라보겠다는 즉흥으로 다릿재 터널을 지나자마자 큰길을 벗어나 백운면 소재지로 들어섰다.

“천등산 다릿재 터널을 지나면 백운면 입구를 알리는 첫 번째 안내판이 길가에 있고 거기서 500~600미터를 더 진행하면 같은 내용의 두 번째 간판이 있습니다. 그 두 번째 간판이 있는 곳의 갈림길로 나와 ‘애련리’ 표시를 보고 계속 오시면 문학관을 만날 수 있습니다.”

문학관 초청장에는 길 안내문까지 상세히 적어놓아 초행인 나도 손쉽게 나들목을 찾을 수 있었다.

이른 아침, 천등산으로 올라가는 옛 도로에는 오가는 차량 하나가 없다. 고개 마루턱 못미처에 외따로 선 휴게상가의 공터에 차를 세우고 신발을 바꿔 신었다. 상점조차 아직 문을 열지 않은 시각이었다. 상가 뜰 한쪽에 있는 샘물 파이프에서는 맑은 물줄기가 콸콸 쏟아진다. 때마침 물을 길으러 온 주민 두셋이 있었는데 그들은 이 물이 산허리에서 뿜어 나오는 약수라고 자랑을 했다. 그들에게서 등산로 입구를 확인한 뒤, 나도 수통에 물을 채웠다.

 

‘쪼꼬레뜨 기부미’를 외치던 아이들

 

‘원서문학관’으로 향하는 길

 

속에 담은 내용 중에는 안타깝고 슬픈 것이 많지만 그것이 되레 재미있게 표현된 부분도 없지 않다. 흑인 병사를 쫓아다니며 ‘쪼꼬레뜨 기부미’를 외치는 꼬맹이들을 보라. 요즘의 젊은이들은 이 아이들이 어떤 얼굴을 하고 있고 머리 모양새가 어떻고 어떤 옷가지를 걸치고 있는 지를 상상치 못하리라. 그렇지만 나는 사진보다 더 선명하게 이들의 ‘꼬라지’를 그릴 수 있다. 나 또한 어린 시절 ‘기부미 쪼꼬레뜨!’를 외친 것이 한두 번 아니었기 때문이다.

 

전쟁이 끝난 지도 여러 해 지났건만 그 무렵 우리 마을 앞으로는 해질녘이면 미군들을 태운 군용열차가 지나갔다. 차 시간이 되면 온 동네 아이들이 철둑에 올라서서 열차를 기다렸다. 마침내 산모롱이를 돌아오는 열차의 머리가 보일라치면 아이들은 누가 시키지도 않았는데 일제히 길길이 뛰면서 ‘기부 미 쪼꼬레뜨!’를 외쳐댔다.

 

창가에 앉은 백인 흑인 병사들의 희죽 웃는 모습이 빠르게 스쳤다. 정말 ‘쪼꼬레뜨’가 날아오기도 했다. 시레이션(미군 전투식량)을 통째로 던져주는 마음씨 좋은 병사도 있었고 쓰레기를 쏟아주는 군인도 있었다. 미군의 쓰레기, 그것마저 우리에게는 모두 ‘보물’이었다. 난생 처음 보는 일회용 종이컵이며 플라스틱 스푼 하나만 주워도 횡재를 한 거나 다를 바 없었기 때문이다. 귤 껍질 하나라도 더 줍겠다고 아이들은 빠르게 철둑 비탈을 굴러 내렸고 종아리에 가시가 박히고 손등이 찢어지는 것도 아랑곳하지 않고 욕심을 부렸으며 좀전까지 어깨동무하고 놀던 친구와 코피 터지게 싸우기도 했다.

 

베옷처럼 헐었지만 돌아가야 할 곳

시에는, 이보다 훨씬 참혹한 ‘쪼꼬레뜨’의 그림들이 그려져 있다. 인간의 탐욕이 빚은 전쟁은 천둥산마저 두렵다. 그리하여 산은 ‘흐린 날이면 이마를 구름으로 가리고 비가 오면 비 뒤에 숨었다’. 아군과 적군의 싸움으로 산불이 나도 마을사람들은 아무도 산에 오르질 못했다. 흑인 병사들이 마을로 ‘여자 사냥’을 나와도 어른들은 밤늦도록 잎담배만 말아 피웠으며 부지깽이로 애꿎은 어린애나 두들겨 팰 수밖에 없었다.

 

천둥산은 이 모든 것을 보았다. 그리고 세월은 빠르게 흘렀다. 서울의 어두운 술집 골목에서 문득 ‘천둥산 박달재-’를 흥얼거리다보면 그 혹독한 어린 날들이 단번에 망막에 펼쳐져 눈앞이 흐려진다. 그러나 이 늦은 나이, ‘천둥산이 나의 이마 높이로 와 닿아 있고 박달재의 긴 구렁 짧은 구렁이 내 가슴까지 와 있다는 것을’ 조금 눈치 채기는 하겠는데 역사가 뭔지 인간이 뭔지 그리고 내 삶이 뭔지 하나도 모르겠다고 말한다.

 

시인이 정말 모른다면 누가 알겠냐마는 시의 말은 원래 이렇게 하는 법이다. 아무튼 가난과 고단 속에 보낸 유년의 고향일수록 훗날 더 모진 그리움으로 다가오는 것인지도 모르겠다. 1950~60년대 전쟁의 폐허 속에서 헐벗고 굶주리며 어린 시절을 보냈던 이들은 안다. 그 황막한 고향은 어머니의 베옷처럼 거칠면서도 한편 어머니의 속살처럼 부드럽고 따스한 곳임을. 그래서 뿌리쳐 떠나온 곳이면서도 마침내 돌아가지 않으면 안 될 영원한 회귀의 땅임을 알게 되는 것이다.

 

시인 오탁번도 다를 바 없다. 제천시 백운면이 그의 고향이다. 고개를 쳐들면 천등산이 눈썹에 와서 걸리는 그 산간 오지. 밤이면 빨치산이 피우는 빨간 불빛이 보이고 낮이면 그들을 쫓는 총소리가 그치지 않는 벼랑의 땅에서 그는 가난과 고단을 의복처럼 걸치고 어린 시절을 보냈다. 이후 그는 시인으로 소설가로 성장해 크게 활동했으며 한편으로 대학 교단에 서서 후진들을 키웠다.

 

평소에도 틈날 때마다 고향을 찾았던 그는 정년퇴직 후 온전히 고향에 묻혔다. 그곳에서 그는 계절마다 품격 있는 시 전문지를 펴내며 문학을 사랑하는 이들을 불러 모아 끊임없이 ‘시 잔치’ ‘시 놀이’를 벌인다. 예전의 원서초등학교 애련분교를 개조해 가꾸어놓은 ‘원서문학관’은 곧 천등산의 에너지를 끌어 모아 시로 꽃피우고자 하는 그의 천진한 놀이터인 동시에 심각한 마지막 일터다.

 

‘원서문학관’은 예전 원서초교 애련분교를 개조했다.

 

   

천등산 자락의 원서문학관

 

영화 ‘박하사탕’ 마지막 장면을 촬영한 곳이 원서천변이다.

 

길 끝에서 나는 그 집을 만났다. 그 옛날 산골의 아이들이 뛰어놀던 작은 운동장에는 푸른 잔디가 덮였고 그 한가운데는 수련이 뜬 앙증맞은 연못도 있다. 왕년엔 나 또한 소문난 낚시꾼이 아니던가. 손바닥만한 연못이지만 시인이 갖고 놀던 1칸짜리 짧은 낚싯대가 차려져 있으니 그냥 지나칠 수 없다. 떡밥을 달아 넣자 이내 얌전하게 찌가 솟아오른다. 가볍게 대를 챈다. 뼘치 붕어가 수면으로 달려 나오며 요동을 치는 바람에 근처 수련들이 함께 물결에 출렁인다. 참한 붕어를 도로 물속에 넣어주는 때도 담장 밖에 선 아름드리 느티나무는 온몸으로 바람소리를 만들어내고 있다. 문득 예전에 시인과 더불어 물가에 앉아 낚싯대를 부리던 날들이 그리워진다.

 

아직도 천진한 아이들의 재잘거림이 남아 있는 듯한 이곳에는 이제 시를 사랑하는 가운데 스스로 시를 얻고자 하는 이들의 발걸음이 그치질 않는다. 그리고 예전의 생채기를 속살에 묻은 천등산이 정자나무를 앞세운 채 천연덕스럽게 이곳을 내려다보고 있다.

문학관을 나와 정자나무를 안고 돌아 가파른 비탈길을 내려서면, 이내 원서천 맑은 냇물을 만난다. 온 김에 영화 ‘박하사탕’의 마지막 장면에 나오는 ‘터널 앞 철교’도 구경하자 해서 강 길로 내려섰다. 근래 부쩍 많아진 마니아들의 발걸음 덕에 안내 표지판이 곳곳에 서 있고 새로 지은 번듯한 집들도 심심찮게 눈에 띈다. 울창한 수림이 강의 방벽이 되고 숲 속 길이 물을 따르고 물이 길을 좇는 이곳은 아직 소문나지 않은 가경(佳景)의 땅이다. 산협을 관통하는 냇물이 스스로 완급을 조절하며 곳곳에 분위기 있는 풍경을 만들어놓고 있기 때문이다.

 

비포장도로를 달리길 10여 분. 마침내 눈에 익은 그 철교와 교각들이 나타난다. 언덕에 선 채 철교와 터널의 입을 내려다볼라치면 영화 속 주인공의 절규도, 그를 무너뜨리는 기적소리도 없지만 인공의 구조물들은 이제 둘레의 자연과 함께 역사의 풍습으로 남았음을 알게 된다.

찻길은 그쯤에서 끝난다.

 

최학
1950년 경북 경산 출생
고려대 국문과 졸, 동 대학 교육대학원 석사
1970년 경향신문 신춘문예 소설 당선
현 고려대문인회 회장
창작집 ‘잠시 머무는 땅’ ‘그물의 눈’ ‘식구들의 세월’ 등
장편소설 ‘서북풍’‘안개울음’ ‘미륵을 기다리며’‘화담명월’등

 

시의 향훈을 더듬고 혹은 영화의 장면을 새롭게 만나고자 하는 이들은 충북선 열차를 타고 인근의 공전역에 내린 뒤 철길을 걸어 이곳에 이르지만 나는 그 반대의 방향을 더듬어 여기까지 온 셈이 됐다. 천등산 산 그림자를 등에 진 채 강물을 내려다보며 철길을 걷는 재미가 상큼하다. 열차의 내왕도 거의 없는 이곳 산간의 철길은 요즘 새로운 문화 탐방로 구실을 톡톡히 하고 있다. 애써 몸의 균형을 잡으며 레일 위를 걷다가 그것이 힘들면 다시 침목을 세며 발걸음을 나란히 하는 재미를 아는 젊은 쌍들의 발걸음이 부쩍 늘어난 것도 이곳을 징표로 하는 ‘문화’ 때문이다.

 

이윽고 철길 끝에 나타나는 작은 역, 공전역이다. 촌가 예닐곱을 거느린 채 오도카니 철길을 지키고 선 사각 구조의 역 건물 자체가 먼 데서 보면 영락없는 하나의 신호대다. 문학과 영화를 만나러 가는 길목에 선 시간과 풍습의 신호대 그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