풍류, 술, 멋

동양화가 말을 걸다_12

醉月 2012. 12. 17. 08:07

장안의 기녀는 어떻게 장사치의 아내가 되었을까

백거이 비파행


비파의 노래 (琵琶行)
백거이 (白居易)

심양강가에서 밤에 손님을 전송하는데 (潯陽江頭夜送客)
단풍잎 억새꽃에 가을은 쓸쓸하여라 (楓葉荻花秋瑟瑟)
주인은 말에서 내리고 손님은 배에 있는데 (主人下馬客在船)
술 들어 마시려하니 음악이 없구나 (擧酒欲飮無管絃)
취하여도 기쁘지 않아 슬피 헤어지는데 (醉不成歡慘將別)
이별할 시간 아득한 강에 달빛만 잠기어 있네 (別時茫茫江浸月)
문득 물 위로 비파 소리 들려오니 (忽聞水上琵琶聲)
주인은 돌아갈 것을 잊고 손님은 떠나지 않았네 (主人忘歸客不發)

 

▲ 비파행도 작자 미상, 27×30.7㎝, 모시에 색, 선문대박물관

 

이런 궁벽한 시골에 친구가 왔다 간다. 2년 전, 뜻하지 않게 변방으로 좌천된 후 장안에서 오는 말발굽 소리가 끊어진 지 오래였다. 그런 먼 곳을 친구가 찾아왔으니 그 반가움을 뭐라 말로 표현할 수 있을까. 꿈 같은 시간을 함께 보내고 드디어 헤어질 시간. 이제 가면 언제 볼까. 보내는 사람이 아쉬워 쉽게 친구를 놓아주지 못한다. 겨우 마음을 수습하여 친구를 배에 태우고 나니 이별주라도 한잔 나누어야 허전함을 달랠 수 있을 것 같다. 친구가 탄 배에 올라 술잔을 주고받는다. 이럴 때 마음을 달래 줄 음악이라도 한 곡 들었으면 싶은데 어디선가 쟁그렁쟁그렁 비파 뜯는 소리가 들린다.

   
   백거이(白居易·772~846)는 자가 낙천(樂天), 호가 향산거사(香山居士)로 중당시대(中唐時代·766~826)를 대표하는 시인이다. 그는 29세 때 최연소로 진사에 급제하여 관계에 입문했는데 43세(815년)에 정치 사건에 휘말려 심양강이 있는 구강군(九江郡)으로 좌천되었다. ‘비파의 노래’는 그때 지은 시다. 
      
   귀양객 공감 자아낸 기녀의 일생
   
   친구를 배웅하다 뜻하지 않게 비파 소리를 듣게 된 백거이는 그 소리를 찾아 배를 옮긴다. 강 가까이 살다 보니 땅이 낮고 축축해 누런 갈대와 참대만이 나는 곳이 이곳아닌가. 아침 저녁으로 듣는 소리라고는 두견새가 피를 토하고 원숭이가 애절하게 우는 울음뿐인 곳에서 선계(仙界)의 음악이라도 들은 듯 귀가 밝아지는 소리가 들리다니. 백거이는 비파의 주인공에게 가서 음악을 청한다. 비파 소리가 거듭되고 술을 더하자 등불을 돌려 이곳에 오게 된 사연을 물어본다. 본래 그녀는 장안의 기녀로 일찍이 이름난 명인에게서 비파를 배웠는데, 나이가 들고 용모가 시들어 장사치의 아내로 몸을 의탁하고 있었다. 곡조가 끝나자 시름에 잠긴 채 스스로 젊었을 때의 즐겁던 일과, 이제는 영락하여 초췌해진 것이며, 강호를 떠돌아다니며 전전하게 된 일 등을 이야기한다. 그녀의 처지가 지난해 황제와 하직하고 귀양 와 살며 병들어 누워 있는 자신과 다를 바가 없었다. 이에 백거이는 그녀에게 다시 한 곡 비파 연주를 부탁하고 그녀를 위해 비파의 노래를 지어준다. 비록 그녀를 빗대어 지은 시지만 그 속에는 폄적된 자신의 심정을 담았다. 퇴기의 모습에서 자신을 보는 고적한 시인의 마음이 저녁 파장을 앞둔 늦가을처럼 쓸쓸하다. 가을밤이 점점 깊어진다.
   
   ‘비파행도’는 백거이의 ‘비파행’을 시각화한 작품이다. 그림은 경물이 한쪽으로 쏠리게 그린 편파 구도로 이야기의 내용이 왼쪽에 치우쳐 있다. 대신 오른쪽에는 넓은 수면이 펼쳐져 있고 하늘 위에는 흐릿한 달이 떠 있다. 강안(江岸)에는 숱한 이별을 지켜보았을 네 그루의 버드나무가 안개 속에 잠겨 있고 나무 아래에는 두 척의 배가 정박해 있다. 두 척의 배 중 작은 배에는 사공을 제외하고 텅 비어 있다. 백거이와 친구가 비파 소리를 듣기 위해 기녀가 있는 큰 배로 옮겨 탔음을 알 수 있다. 두 사람은 의자에 단정히 앉아 기녀가 타는 비파 소리를 들으며 회상에 잠겨 있다. 사공은 깊이 잠들어 있다. 시간이 꽤 지났음을 말해 준다. 말을 몰고 온 마부도 졸고 있다. 기다림에 지칠 만큼 이별 의식이 늦어짐을 알 수 있다.
   
   그런데 두 사람 모두 관복을 입고 있다. 헤어지는 장소까지 예를 갖춰 관복을 입고 와야 할 사이라면 손님은 친구가 아니라 공적인 임무를 띠고 온 사람일까. 여기서 잠시 필자는 앞에서 쓴 ‘먼 곳에서 친구가 찾아왔다는’ 표현을 고쳐야 하나 망설여진다. 그러나 백거이가 강나루까지 따라 나와 쉽게 헤어지지 못하고 한 배에 올라 이별주를 더 해야 할 만큼 친한 사이라면 공적인 일로 온 사람이라도 친구나 다름없다. 백거이가 ‘손님(客)’이라 쓴 단어를 필자가 굳이 ‘친구(友)’로 해석한 이유다. 이쯤되면 ‘살구꽃 핀 마을은 어디나 고향 같다’라는 이호우 시인의 시구절은 ‘객지에서 만난 사람은 누구나 친구 같다’로 전환될 것이다. 
      
   비파의 노래 속에는 기녀가 없다
   
   필자가 ‘손님’을 ‘친구’라고 고집한 이유가 꼭 객지에서 만난 반가움만을 생각했기 때문만은 아니다. 당나라 때 시인 중 친구에 대한 그리움을 시로 주고받은 사람이 여럿 알려져 있다. 두보와 이백, 백거이와 원진, 유종원과 유우석이 그들이다. 그중에서도 특히 원진과 백거이의 시는 그 시에 담긴 사연이 뭉클하다. 원진은 백거이가 강주 사마로 좌천되었다는 소식을 듣고 그를 위로하는 시를 지었다. 백거이는 강주 사마로 떠나는 배에서 원진의 시를 읽었다. 가물거리는 등불 속에서 눈이 아프도록 친구의 마음을 읽는 백거이의 눈이 젖었다. 백거이가 강주 사마로 강등되었을 때 원진 또한 통주사마로 귀양 가서 학질에 걸려 누워 있는 신세였기 때문이다. 친구를 위로하는 시를 쓸 때 그 마음이 어찌 예사로웠겠는가.
   
   지금 배 안에 앉아 있는 두 사람이 원진과 백거이라고 확신할 만한 증거는 없다. 그러기에는 두 사람의 자세가 너무 경직되어 있다. 만약 이들이 친구 사이라면 공무를 빙자하여 그리운 친구를 만나러 온 것일까. 그러면서 공무원이 사적인 목적으로 세금을 낭비한다고 비난받을까 봐 짐짓 공무를 행하는 양 엄숙한 체하는 걸까. 헤어지기가 아쉬워 이별의 시간이 길어지면서도 근엄한 표정으로 앉아 있는 두 사람의 모습을 보면서 온갖 추측이 왔다갔다 한다. 비파를 타는 기녀의 모습도 언뜻 보면 남자 같다. 아무리 봐도 한때 장안에서 이름을 날린 최고의 기생이었다는 느낌이 전혀 들지 않는다. 그나마 이 작품은 나은 편이다. 이 작품과 비슷하게 그린 ‘비파의 노래’가 삼성리움미술관의 ‘만고기관첩(萬古奇觀帖)’에도 실려 있는데 이 그림에서는 아예 기녀의 모습이 등장하지도 않는다. 그림 제목 또한 ‘비파행’ 대신 ‘심양송객(潯陽送客)’으로 되어 있다. 이것은 그림을 그린 장득만(張得萬·1684~1764)의 개인적 생각에 의해서가 아니라 ‘만고기관첩’이 지닌 감계적(鑑戒的) 목적에 맞추다 보니 어쩔 수 없이 얌전한 그림이 되었을 것이다. ‘만고기관첩’은 왕세자의 문인적 소양을 높이기 위한 교육적 목적으로 그려졌다. 서화책을 감상하는 열람자의 나이를 고려하여 수위를 조절한 것이다. 마치 현재 우리 사회에서 영화를 볼 때 ‘15금(禁)’이나 ‘19금(禁)’ 같은 등급을 적용하는 것과 같은 논리라 할 수 있다. 아무리 그렇다한들 이 서화책을 보는 학생이 ‘화(畵)’만 보고 ‘서(書)’는 안 볼 리 만무한데 그림에서 기녀를 빼고 그린다는 것은 눈 가리고 아웅하는 것 같아 웃음이 나온다. 혹시 우리도 이렇게 보여주기 식의 문화를 만들고 있는 것은 아닐까.

 

인생의 가을이 되어 꽃을 보게 되면

두목 산행

 

산행 (山行)

두목 (杜牧)

멀리 늦가을 산에 오르니 돌길 비껴 있고 (遠上寒山石徑斜)
흰 구름 이는 곳에 몇 채의 인가 (白雲生處有人家)
수레를 멈추고 앉아 늦은 단풍을 구경하나니 (停車坐愛楓林晩)
서리 맞은 단풍잎 이월의 꽃보다 더 붉네 (霜葉紅於二月花)
▲ 풍림정거 안중식, 비단에 색, 29.5 x 29.4㎝, 간송미술관

 

가을만큼 짧은 계절이 있을까. 여름이 끝났는가 싶으면 어느새 늦가을이다. 이러다 가을을 느끼기도 전에 겨울이 오겠다 싶어 무작정 배낭을 메고 집을 나왔다. 버스를 타고 한 시간가량 가면 사람들의 발길이 뜸한 한적한 산이 있다. 그곳으로 향했다. 집에서 가까운 뒷산을 놔두고 굳이 멀리 있는 산까지 찾아간 이유는 그곳의 단풍이 심산유곡의 단풍 못지않게 짙고 아름답기 때문이다.

   
   한참을 간 후 버스에서 내리니 산 입구에 퇴락한 듯 쓸쓸한 슬레이트집 한 채가 있다. 지난 봄에 왔을 때 마당에서 손주와 놀고 있는 할머니를 본 적이 있는데 지금은 빈집처럼 사람의 흔적은 찾을 수가 없다. 마룻가에 놓인 늙은 호박 두 덩어리만이 폐가가 아님을 말해준다. 세월의 풍상을 견디지 못해 허물어진 담장은 담쟁이가 억지로 붙잡고 있는 듯 겨우겨우 서 있다. 한때 이 집에서도 싱싱한 웃음소리가 끊이지 않고 흘러나왔겠지. 아련한 애상에 잠겨 산길에 접어들었다. 길인 듯 아닌 듯 험한 돌투성이 길을 따라 정상까지 가는 길에는 세상의 소음과 완전히 차단된 침묵의 세계가 펼쳐진다. 오로지 나 혼자뿐이라는 외로움에 잠겨 쓸쓸히 발길을 옮기는데 눈앞의 세계는 온통 노란색, 주황색, 붉은색 천지다. 인생의 가을에 들어선 사람이 보는 단풍은 그저 감상하기 좋은 배경으로서의 풍경이 아니다. 자신의 삶을 되돌아보는 철학적 풍경이다. 
      
   사람의 인생도 가을과 다르지 않다
   
   ‘풍림정거(楓林停車)’는 당대(唐代)의 시인 두목(杜牧·803~852)의 시 ‘산행(山行)’을 화제로 삼아 안중식(安中植·1861~1919)이 그린 작품이다. ‘단풍나무 밑에서 수레를 멈춘다’는 뜻의 ‘풍림정거’는 두목의 시 세 번째 행에서 그 뜻을 취했다. 안중식은 이 작은 그림에서 두목의 시를 재현하듯 충실하게 그렸다. 지그재그로 배치된 돌길을 따라 선비가 올라온 길이 보이고 뒤편으로는 흰구름 아래 집이 서 있다. 선비는 서리 맞은 단풍나무 아래서 고개를 들어 건너편 단풍을 쳐다보고 있다. 두 명의 시동(侍童)도 단풍을 구경하느라 여념이 없다. 울퉁불퉁한 산길을 수레를 밀고 오느라 지칠 법도 하련만 시동들은 앉을 생각도 하지 않고 단풍구경에 빠져 있다. 젊음이 좋은 건가. 아니면 피곤함을 잊게 할 정도로 단풍이 아름다운 건가.
   
   안중식의 ‘풍림정거’는 삼성리움미술관에 소장된 작품이 한 점 더 있는데 여기서 소개하는 작품보다 훨씬 크고 웅장해서 보는 사람의 눈을 압도할 정도다. 그러나 늦가을의 쓸쓸한 정취를 느끼기에는 작은 이 그림이 더 좋다. 특히 절반쯤 져버린 볼품없는 단풍나무 아래 앉아 있는 선비의 모습은 보는 이의 마음을 슬프게 한다.
   
   무심한 듯 단풍잎을 쳐다보는 선비의 모습을 보고 있자니 고등학교 때 배웠던 안톤 슈나크의 ‘우리를 슬프게 하는 것들’의 한 구절이 떠오른다. ‘울음 우는 아이는 우리를 슬프게 한다’로 시작하는 이 글의 다음 구절은 아마 이것이었을 것이다. ‘정원 한편 구석에서 발견된 작은 새의 시체 위에 초추(初秋)의 양광(陽光)이 떨어져 있을 때, 대체로 가을은 우리를 슬프게 한다.’ 그때는 어렸기 때문에 ‘울음 우는 아이’의 슬픔만이 슬픔인 줄 알았다. 작은 새의 시체 위에 가을빛이 떨어져 있을 때 가을이 우리를 ‘대체로’ 슬프게 한다는 것을 이해하지 못했다. 그런데 지금은 울음 우는 아이보다 더 슬픈 것이 죽음 위에 비추는 햇볕이라는 것을 아는 나이가 되었다. ‘대체로’가 아니라 ‘반드시’ 슬프게 한다는 것을. 어쩌면 선비는 연로한 할아버지들이 멋진 풍경을 볼 때 입버릇처럼 하던 말씀을 되뇌고 있는지도 모른다. ‘과연 내년에도 저 경치를 볼 수 있을 것인가.’
   
   두목의 ‘산행’은 조선 후기 화가들이 즐겨 그린 화제(畵題)였다. 안중식뿐만 아니라 정선(鄭敾·1676~1759), 이인상(李麟祥·1710~1760), 정수영(鄭遂榮·1743~1831)이 모두 ‘산행’을 소재로 그림을 남겼다. 모르긴 해도 그들 또한 인생의 말년에 붓을 들었을 것이다. 인생을 이해하지 못한 사람이 어찌 붓을 들 수 있겠는가. 
      
   가을은 두 번째 봄이다
   
   ‘낙엽이 꽃이라면, 가을은 두 번째 봄이다(Autumn is a second spring when every leaf is a flower)’라고 알베르 카뮈는 말했다.(엘리엇 부의 ‘자살을 할까 커피나 한 잔 할까’ 중에서) 카뮈의 글을 읽는 순간, 작가는 동서양이 따로 없이 생각이 비슷하다는 것을 알았다. 두목이 단풍을 봄꽃에 비유함으로써 그 진한 단풍색을 선명하게 떠오르도록 했다면 까뮈는 여기서 더 나아가 가을을 봄이라고 선언한다. 그런데 첫 번째 봄이 아니라 두 번째 봄이다. 서툴고 막막함 속에서도 어쩔 수 없이 꽃을 피워내야 하는 첫 번째 봄이 아니라 경험이 있어 한결 느긋하고 여유로운 두 번째 봄이다. 인생의 가을을 보내는 사람도 마찬가지일 것이다.
   
   가을은 결실의 풍요로움을 느낄 수 있는 계절이다. 결실은 쉽게 주어지지 않는다. 봄에서 여름을 지나 가을에 결실을 맺기까지 기막힌 사건을 겪어야 한다. 꽃샘추위부터 시작해서 늦여름, 초가을의 태풍까지 견뎌내야 결실을 맺을 수 있다. 봄에 핀 꽃은 아름답지만 처음 세상을 향해 자신을 드러내야 하는 만큼 꽃송이마다 두려움이 숨어 있다. 비록 지금 꽃은 피우지만 그 자리에 열매가 맺힐 때까지 떨어지지 않고 온전히 제 생을 다 살아낼 수 있을지 확신할 수 없는 불안감. 그것은 마치 의욕은 넘치나 갈피를 잡지 못해 좌충우돌하는 이십대의 젊음과 같다. 그러나 가을은 다르다. 가을 단풍잎은 비록 봄에 피는 꽃같이 부드럽고 고운 꽃잎은 아니지만 여러 계절을 견디면서 축적된 시간이 들어 있다. 퍼석하고 윤기 없는 잎을 지녔지만 가을의 봄꽃은 여러 계절을 보내면서 배운 지혜로 물든 색이다. 바닥에 떨어져 썩는다 해도 없어지는 것이 아니라 거름이 되어 새 생명으로 환생한다는 것을 아는 꽃이다.
   
   ‘풍림정거’에서 단풍나무처럼 앉아 있는 선비는 꽃과 같은 사람이다. 두목은 시(詩)를 잘 지어 이상은(李商隱)과 함께 ‘소이두(小李杜·작은 이백, 두보)’라는 칭송을 받았다. 가을 낙엽을 봄꽃에 비유함으로써 나이 드는 것의 가치를 일깨워준 시인도 꽃과 같은 사람이다. 시는 쓰는 것보다 시처럼 사는 것이 중요하다고 했던가. 행여 인생의 가을에 접어들어 쓸쓸하다고 느낀다면 그림 속 선비처럼 살 일이다. 우리의 가을은 두 번째 봄이다.

'풍류, 술, 멋'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영화와 함께 떠나는 중국여행_09  (0) 2012.12.22
겨울산&바다 전남 해남  (0) 2012.12.21
영화와 함께 떠나는 중국여행_08  (0) 2012.12.16
경남통영 사량도   (0) 2012.12.15
까비르의 詩  (0) 2012.12.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