괴물에 쫓겨 하늘로 달아난 神들
살면서 꼭 해보고 싶은 일들을 ‘버킷 리스트’라고 한다. 별 보는 일을 취미로 삼은 사람이라면 버킷 리스트에 꼭 써 넣는 3가지 ‘우주쇼’가 있다. 개기일식, 오로라, 대유성우(大流星雨)다.
개기일식은 한낮에 달이 태양을 가리는 현상이다. 태양의 일부가 가려지는 부분일식과 완전히 가려지는 개기일식의 감동은 하늘과 땅 차이다. 태양은 워낙 밝기 때문에 99%가 가려져도 하늘이 어두워지지 않는다. 하지만 지름이 지구의 4분의 1밖에 되지 않는 달이 지구의 109배나 되는 태양을 정확히 가리는 순간, 하늘은 어두워지고 불타오르는 검은 태양이 하늘을 지배한다. 하늘의 조화에 머리 숙이고 겸허한 마음을 갖게 되는 순간이다.
개기일식은 1, 2년에 한 번쯤 나타나는데, 폭 100km 정도의 좁은 지역에서만 관측되므로 이 현상을 보려면 적절한 위치를 찾아가야 한다. 우리나라에서 개기일식을 볼 수 있는 때는 2035년 9월 2일이다. 올 11월 3일에도 개기일식이 일어나지만, 아프리카 오지까지 가야 하기 때문에 관측하기가 쉽지 않다. 다만 2016년 3월 6일 인도네시아, 2017년 8월 21일 미국에 있다면 개기일식을 볼 수 있다.
내년 1월 大유성우 볼 수도
오로라 현상은 그나마 쉽게 볼 수 있는 우주쇼다. 오로라란 태양에서 분출된 고에너지 입자들이 지구 자기장을 따라 자극 근처로 모이면서 대기와 부딪쳐 나타나는 빛의 향연이다. 따라서 오로라 현상은 태양 활동에 따라 그 정도가 달라지지만, 남북으로 위도 60도 이상에 위치한 오로라 오발(Aurora Oval) 지역을 찾으면 계절에 상관없이 관측할 수 있다.
태양은 11년을 주기로 활동성이 달라지는데, 태양 활동이 활발할 때 오로라가 역동적으로 나타난다. 올해가 바로 11년 주기 중 태양 활동이 가장 활발한 시기다. 따라서 앞으로 최소 1~2년 동안은 격동적인 오로라를 볼 수 있을 것이다.
가장 보기 힘든 현상이 바로 대유성우다. 1시간에 1만 개 이상의 별똥별이 마치 소나기처럼 쏟아지는 이 현상은 평생 한 번 볼까말까 할 정도로 아주 드물다.
유성우는 혜성이 지나간 궤도를 지구가 통과할 때 나타난다. 혜성이 뿌려놓은 부스러기들이 혜성 궤도를 따라 움직이다가 지구의 중력에 이끌려 대기 속으로 빨려들어와 타는 현상이 유성우다. 일반적으로는 시간당 수십 개의 별똥별이 나타나는데, 혜성이 지나간 직후 지구가 그 혜성 궤도를 관통하면 대유성우가 나타날 가능성이 커진다.
2001년 11월 18일 사자자리에서 나타난 유성우는 근래 발생한 가장 큰 유성우였다. 이날 밤 우리나라에서도 시간당 1만 개 가까운 유성이 출현했다. 시골에서 밤을 새운 사람이라면 평생 잊지 못할 별똥별 구경을 했을 것이다. 사자자리 유성우를 만드는 혜성은 33년의 주기로 나타나는 템펠-터틀인데, 이 혜성이 지구 근처를 지나간 것은 사실 1999년이었다. 하지만 지구가 혜성 궤도와 가장 가까이 접근한 시기가 2001년이었기 때문에 혜성이 지나고 나서 2년 후에 대유성우가 나타난 것이다.
1999년 세기말을 앞두고 나는 경기도 이천에서 2000명 가까운 사람들과 함께 대유성우를 기대하며 밤새 유성우 맞이 행사를 했지만, 기대했던 우주쇼는 펼쳐지지 않았다. 전문가들은 2000년 11월 또 한 번 대유성우를 예상했지만, 이 역시 예보로만 끝나고 말았다. 그리고 세 번째 도전이던 2001년, 기대했던 대유성우가 나타나 그 자리에 모인 수천 명은 평생 잊지 못할 밤을 보냈다.
템펠-터틀 혜성이 다시 태양에 접근하는 2032년 이후 사자자리에서는 또 한 번의 대유성우가 기대된다. 물론 그 이전에도 예상치 못한 대유성우가 나타날 수 있다.
여기에서 기쁜 소식 하나. 오는 11월 말에는 금세기 최대로 여겨지는 혜성이 관측될 전망이다. 지난해 9월 발견된 아이손 혜성이 11월 29일 태양에 매우 가까이 접근하고 이후 새벽 하늘에서 금성 정도의 밝은 모습으로 관측될 것으로 보인다. 그리고 지구가 이 혜성 궤도와 접근하는 내년 1월 중순경 기대 이상의 대유성우가 나타날 수도 있다.
물론 올 11월 18일 새벽에도 사자자리 유성우는 어김없이 나타날 것이다. 비록 시간당 20개 이내의 적은 유성이 예상되지만, 별똥별을 보며 소원을 빌고 싶은 독자라면 11월 17일 밤, 두꺼운 방한복을 챙기고 야외에서 별 맞이 시간을 가져보는 것도 좋을 것이다.
자, 이제는 밤하늘로 고개를 돌려 11월의 별자리를 관찰해보자. 늦가을의 남쪽 하늘은 대부분 물과 관련된 별자리들로 채워져 있는데, 그중 오늘 소개할 별자리는 염소(바다염소)자리와 물고기자리, 그리고 남쪽물고기자리다. 철 지난 가을 바다처럼 밝은 별이 거의 없어 쓸쓸한 느낌이지만, 별자리에 얽힌 이야기만큼은 어느 계절 못지않게 흥미롭다.
쓸쓸한 가을 밤하늘
저녁 바람에 선선한 기운이 감돌 즈음, 은하수는 하늘의 가장 높은 곳을 지나 서서히 서쪽으로 기울 준비를 한다. 그리고 동쪽 하늘에는 가을철 별자리가 하나둘 모습을 드러낸다. 가을밤 독수리자리 남동쪽 아래에는 커다란 역삼각의 별무리가 보이는데, 바로 목동의 수호신인 판(Pan)이 변한 염소자리다. 이 별자리의 본래 이름은 바다염소(Sea Goat)인데, 이 별자리의 주인공이 상반신은 염소이고 하반신은 물고기인 이상한 모습을 하고 있기 때문이다.
염소자리는 크기에 비해 밝은 별이 별로 없는 평범한 별자리지만, 황도 12궁에 속해 이름만큼은 잘 알려져 있다. 밝진 않아도 주변에 눈에 띄는 다른 별이 없어서 찾는 데 큰 무리도 없다. 주의할 점은 역삼각형 크기가 궁수자리 중심에 있는 주전자 모양보다 훨씬 커서 시야를 넓게 하고 찾아야 한다는 것.
거문고자리의 직녀(Vega)와 독수리자리의 견우(Altair)를 이어 같은 길이만큼 나아가면 역삼각형의 서쪽 끝에 해당하는 염소자리의 알파(α)별 알게디(Algedi·4등성)와 베타(β)별 다비흐(Dabih·3등성)를 만나게 된다. 여기에 역삼각형의 동쪽(왼쪽) 끝에 있는 3등성 데네브 알게디(Deneb Algedi)를 확인하면, 염소자리의 다른 별들도 쉽게 찾을 수 있을 것이다. 염소자리 별들은 서로 끈으로 연결된 것처럼 열을 이루고 있다.
우리나라에는 견우로 불리는 별이 2개다. 하나는 민담 속에 등장하는 견우, 또 하나는 고대 별지도인 천상열차분야지도(天象列次分野之圖)에 등장하는 견우다. 염소자리의 베타별 다비흐는 이 지도에서 ‘견우(牽牛)’라고 표시되어 있다. 하지만 이 별은 3등성으로 결코 직녀의 배필이 될 수 있을 만한 밝기가 아니다. 전하는 이야기에 따르면 견우가 직녀에 비해 신분이 낮아서 귀족들이 이 어두운 별에 견우라는 이름을 붙였다고 한다.
상반신은 염소인데 하반신은 물고기인 신화 속의 바다염소. 이런 이상한 모습의 괴물(?)은 어떻게 생겨나 별자리가 되었을까. 신화에서는 이 바다염소를 목동의 수호신인 판이 변신한 것이라고 한다. 먼저 판의 이야기를 알아보자.
제우스 살린 판의 풀피리
옛날 아르카디아(Arcadia)의 계곡에 목동들의 수호신인 판이 살았다. 판은 산의 요정 시링크스(Syrinx)의 아름다움에 반해 사랑에 빠졌다. 그러나 그녀는 아르테미스 여신에게 순결을 맹세한 처녀로 모든 남자를 두려워했기 때문에 달아나버렸다. 판은 시링크스를 쫓아가며 애원했지만 그녀는 멈추지 않고 광야를 가로질러 계속 도망쳤다. 얼마 후 커다란 강이 나타났고, 시링크스는 더는 달아날 수가 없었다. 판이 그녀를 붙잡으려는 순간, 그녀의 자매인 강의 요정들이 그녀를 강가에 돋아난 갈대 덤불로 변하게 해주었다.
사랑하는 여인을 놓쳤지만 판은 결코 사랑을 버릴 수가 없었다. 강가를 떠나지 못한 채 며칠을 방황하던 그는 서글프게 울부짖으며 그녀가 변한 갈대를 꺾어 아름다운 음을 내는 풀피리를 만들었다. 그리고 그 풀피리에 그녀 이름을 붙여 언제까지나 그녀를 기억하고자 했다.
그리고 세월이 흐른 어느 날, 판은 다른 신들과 어울려 나일 강가에서 연회를 벌였다. 연회가 끝나고 판이 풀피리를 불려는 순간, 갑자기 무서운 거인족인 티폰(Typhon)이 나타나 그들을 공격했다. 깜짝 놀란 신들은 짐승의 모습으로 변해 달아났다.
판도 주문을 외우며 물속으로 뛰어들었지만 너무 서두르는 바람에 주문이 섞여버렸다. 그래서 그의 상반신은 뿔과 수염이 달린 염소로, 하반신은 물고기로 변하고 말았다. 판이 주문을 바꾸려는 순간, 멀리서 티폰에게 붙잡힌 제우스의 비명소리가 들렸다. 이에 판은 주문을 바꿀 새도 없이 풀피리를 불어 처절한 소리를 내기 시작했다. 그 소리에 우둔한 티폰은 겁을 먹고 제우스를 놓아둔 채 달아나버렸다.
판의 재치 있는 도움으로 살아난 제우스는 그 보답으로 하늘에 반양반어(半羊半魚)의 바다염소를 별자리로 만들어줬다. 그래서 그리스인들은 이 별자리를 ‘판의 별자리’라고도 부른다.
밝은 별을 찾아볼 수 없는 가을철 밤하늘은 왠지 공허하다. 북쪽 하늘의 북두칠성은 지평선 아래로 모습을 감추고 있고, 동쪽 하늘에는 아직 화려한 겨울의 1등성들이 등장하지 않았다. 이 무렵 눈을 돌려 남쪽 산등성이를 보면 밝은 별 하나가 연한 붉은색을 띠며 외롭게 빛나고 있는 것을 발견하게 된다.
남쪽물고기자리의 물고기 입에 해당하는 이 별은 아마 가을철 도시의 남쪽 하늘에서 볼 수 있는 거의 유일한 별일 것이다. 이 별은 남쪽물고기자리의 알파별인 포말하우트(Formalhaut·1등성)로 ‘외로운 별(Lonely one)’이란 별명을 갖고 있다. 이 별의 주인공은 열대지방의 따뜻한 바닷물에 사는 화려한 무늬의 물고기다. 중세에 그려진 성도에 의하면 이 별자리는 바로 위에 있는 물병자리의 물을 받아 마시는 모습이다. 매우 그럴듯한 배치가 아닐 수 없다.
天高魚肥의 계절
우리나라 천상열차분야지도에는 이 별에 ‘북락사문(北落師門)’이란 이름이 붙어 있는데, ‘북쪽 마을을 지키는 성문’이라는 뜻이다. 남쪽에서 보이는 별에 북쪽과 관련한 이름이 붙은 것은 이 별이 있는 위치가 북쪽 하늘의 수호신, 현무(玄武)의 영역이기 때문이다.
천상열차분야지도에는 황도를 따라 청룡(동), 백호(서), 주작(남), 현무(북)의 별자리가 자리하고 있다. 현무가 북쪽 하늘을 지키게 된 것은 고대 별자리가 만들어지던 시대에 태양이 겨울 동안 머무르는 곳이 바로 현무의 별들 속이었기 때문이다. 세차운동으로 인해 지금은 현무의 별들이 가을에 보이지만, 고대엔 여름에 보였다. 그리고 태양이 여름 별자리였던 현무 속을 지날 때가 바로 겨울이었다.
비슷한 이유로 포말하우트는 고대 페르시아 시대에 북쪽(겨울)을 수호하는 황제별로 불렸다. 하늘의 수호자(Guardians of Heaven)로 알려진 네 개의 황제별(Four Royal Stars)은 동쪽(봄) 알데바란(Aldebaran, 황소자리), 남쪽(여름) 레굴루스(Regulus, 사자자리), 서쪽(가을) 안타레스(Antares, 전갈자리), 그리고 북쪽(겨울) 포말하우트다.
포말하우트는 실제로 흰색 별인데, 지평선 가까운 곳의 대기를 통해 보이기 때문에 우리나라에선 약간 붉게 보인다. 태양이 지평선에 가까울 때 붉게 보이는 것처럼 별들도 지평선에 가까울수록 대기의 영향으로 붉게 보이는 법이다.
남쪽물고기자리는 염소자리, 물병자리, 돌고래자리, 물고기자리와 함께 고대 바빌로니아 시대부터 존재해온 5개의 바다(물) 별자리 중 하나다.
그리스 신화에 따르면 사랑의 신 아프로디테(Aphrodite)가 괴물 티폰의 공격을 받아 달아나면서 변신한 물고기가 바로 이 별자리라고 한다. 티폰은 100개의 뱀 머리를 가진 괴물로 오늘날 태풍(typhoon)이 그의 이름에서 유래됐을 정도로 무서운 존재였다. 이 별자리는 원래 현재와는 약간 다른 모습이었는데, 18세기경 프랑스의 천문학자 라랑드(La Lande)에 의해 오늘과 같은 모습으로 만들어졌다.
가을은 낚시꾼들에게 즐거운 계절이다. 높아진 하늘 아래서 살찐 물고기를 잡을 수 있는 천고어비(天高魚肥)의 계절이기 때문이다. 여름 동안 물의 온도가 높아 식욕을 잃었던 물고기들이 추운 겨울을 준비하기 위해 왕성한 식욕을 보이는 계절이 바로 가을이다. 가을밤 강물 위에서 하늘의 별처럼 예쁘게 빛나는 야광의 낚시찌들을 보고 있으면, 하늘이 강이고 강이 하늘인 것 같은 착각이 들 때도 있다.
물고기자리와 예수
하지만 가을이 낚시꾼에게만 천고어비의 계절은 아니다. 우리나라에서 볼 수 있는 물고기 별자리들은 모두 가을 하늘에 모여 있다. 별 보는 사람들에게도 가을은 하늘에서 살찐 물고기들을 볼 수 있는 천고어비의 계절인 셈이다.
하늘 높이 올라간 페가수스자리와 안드로메다자리의 남쪽(아래쪽)을 보면 강태공들이 가장 좋아할 만한 별자리가 보인다. 물고기자리다. 물고기 두 마리가 줄에 매인 모습이 마치 낚싯줄에 걸린 물고기 같다.
이 별자리는 춘분점에 놓여 있어 중요 별자리로 간주되지만, 작은 별들이 넓은 공간에 흩어져 있어 초보자가 찾아내긴 힘들다. 양쪽 고리에 4등성과 5등성 별들이 모여 있어 시골 하늘에서도 이를 찾아내기가 쉽지 않다. 그래도 서쪽(오른쪽)의 고리 주변에는 별이 많지 않아 하늘만 어둡다면 어렵지 않게 고리 모양을 찾아낼 수 있다.
춘분점(the Vernal Equinox)이란 별의 위치를 나타낼 때 기준이 되는 하늘의 지점으로, 태양이 춘분점에 올 때 낮과 밤의 길이가 같아진다. 천문학자들은 춘분점을 기준으로 하늘의 좌표인 적경(the right ascension, 지구의 경도와 같은 좌표)을 매긴다. 지구의 세차운동으로 인해 2만6000년을 주기로 천구의 북극이 바뀌면, 그 북극과 90도 각도를 유지하는 천구의 적도가 바뀌게 되고, 따라서 적도와 황도가 만나는 춘분점도 바뀐다.
고대 로마인들에게 기독교인들이 학대받을 당시 춘분점 위치는 양자리였다. 그리고 예수가 태어날 무렵 춘분점 위치는 물고기자리로 바뀌었다. 따라서 당시 기독교인들은 예수의 시대를 ‘물고기자리 시대’라 불렀고, 물고기 모양의 암호로 서로 연락을 취했다고 한다. 지금도 교회에서는 예수를 상징하는 문양으로 물고기를 사용하고 있다.
이에 대해 기독교인들은 다른 해석을 하기도 한다. 그리스어로 ‘예수 그리스도 하느님의 아들 구세주(Ιησουσ Χριστοσ Θεου Υιοσ Σωτηρ)’의 첫 글자를 조합하면 물고기를 뜻하는 익투스((Ichthys), 즉 그리스어로 이크티스(ΙΧΘΥΣ)가 돼 초기의 기독교인들이 2개의 곡선을 겹쳐 만든 물고기 모양을 비밀스러운 상징으로 사용했다는 것이다. 어느 해석이 옳은지 알 순 없지만, 물고기자리가 예수를 상징한다는 데는 크게 이견이 없다.
세차운동으로 인해 춘분점 위치는 다시 물병자리로 옮겨간다. 기독교인 중에는 성서의 말을 인용해 물병자리 시대에 새로운 구세주가 나타난다고 믿는 이들도 있다. 신약성서에 따르면 예수가 떠나면서 제자들에게 “물 항아리를 지니고 있는 자가 너희를 맞이할 것이니 걱정하지 말라”고 했다고 한다.
앞으로 600여 년이 지나면 춘분점의 위치는 물병자리로 바뀔 것이다. 별자리의 경계선이 지금처럼 확정된 것은 1930년의 일이기 때문에, 기독교인들의 이야기가 맞더라도 새로운 구세주가 등장하는 시기를 정확히 알 수는 없다. 하지만 분명한 사실은 현재 춘분점이 물고기자리의 끝부분에 와 있다는 것이고, 이번 천년이 지나기 전에 물병자리 시대가 온다는 것이다.
물고기자리에 대해서 그리스 신화는 여러 이야기를 전한다. 그중 가장 널리 알려진 것이 아프로디테와 그의 아들 에로스(Eros)에 관한 이야기다. 아프로디테와 에로스가 유프라테스 강 언덕을 거닐던 어느 날, 괴물 티폰이 나타났다. 깜짝 놀란 두 신은 물고기의 모양으로 변하여 강 속으로 도망쳤다. 훗날 그 모습이 하늘의 별자리가 된 것이 물고기자리라고 한다.
'스크랩'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유망주’ 싹 자르는 투수 혹사 잔혹사 (0) | 2014.04.14 |
---|---|
별박사 이태형의 별별 낭만기행_12 (0) | 2013.12.27 |
대한민국 ‘공돌이’ 성장사 추적기 (0) | 2013.11.20 |
별박사 이태형의 별별 낭만기행_10 (0) | 2013.10.29 |
BEYOND SCIENCE_09 (0) | 2013.10.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