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론 가볍기로 치면 권총이 최고겠지만 특수한 경우를 제외하면 일반 보병은 권총을 지급받을 수 없기 때문에 가벼운 K-1A를 선호한다.
K-1A는 슬라이드식 개머리판과 짧은 총열 덕분에 전체길이가 653㎜밖에 되지 않는다. 개머리판을 펼쳐도 838㎜로 K-2 소총보다 짧다. 무게도 2.87㎏으로 K-2보다 400g 이상 가볍다.
이 총은 크기가 부담스러운 기갑병이나 통신병, 특전사를 위해 개발됐기 때문이다.
K-1A는 1976년부터 개발에 들어가 1981년부터 양산을 시작한, 우리나라 최초의 자체개발 총기다. 이전에 쓰던 미국제 M-3 기관단총(일명 그리스건)이 노후되면서 이를 대체하기 위해서 서둘러 개발됐다.
처음 양산된 K-1은 지금과 생김새와 기능이 달랐다.
총구에는 나팔형 소염기가 달려 있었고 연발과 단발만 가능했고 3점사 모드는 불가능했다.
하지만 나팔형 소염기는 화염이 크게 발생하는 등 문제점이 지적돼 곧바로 현재의 원통형 소염기로 교체됐다. 명중률 향상과 탄약낭비를 줄이기 위해 3점사 모드도 추가됐다. 특히 원통형 소염기에는 발사반동을 최대한 억제하기 위해 오른쪽 위를 향해 3개의 구멍이 뚫려 있다.
이러한 개량을 거친 후 이름 뒤에 ‘A’를 붙여 지금의 K-1A가 됐다. 이후 기존에 생산된 K-1들도 모두 개량돼 현재는 K-1A만이 쓰인다.
K-1A는 5.56㎜ NATO탄을 사용하기 때문에 엄연히 말해 ‘기관단총’은 아니다. 기관단총은 경찰특공대에서 주로 사용하는 ‘MP-5’와 같이 권총탄을 사용하는 총을 분류하는 말이기 때문이다.
하지만 근래들어 K-1A와 같은 ‘단축형 돌격소총’(Carbine)들이 많아지면서 이들도 기관단총으로 분류된다.
◆ K-1A에 대한 선입견
K-1A에 대한 가장 큰 선입견은 ‘안 맞는다.’이다. 총열이 짧기 때문에 명중률이 떨어진다는 논리다. 하지만 특전사 대원들의 사격을 보면 신기에 가까운 명중률을 보여준다.
가벼운 무게와 철심형 개머리판 등의 이유로 반동이 더 강하게 느껴지는 것은 사실이나 기본적으로 ‘잘 쏘면 잘 맞는’ 총이다.
다음은 K-1A는 K-2 소총의 단축형이라는 것.
하지만 K-1A는 가스작동식, K-2는 가스 피스톤 방식으로 작동방식이 다르다. K-2가 먼저 개발을 시작하긴 했으나 K-1A가 개발을 더 빨리 마치고 양산됐다는 점도 ‘단축형’이 아니라는 증거.
다만 아랫총몸 등 일부 부품이 호환되는 것은 사실이다.
◆ K-1A 제원
길이 : 653㎜/ 838㎜(개머리판을 펼쳤을 때)
무게 : 2.87㎏(탄창이 없을 때)
탄약 : 5.56 x 45㎜ NATO탄 (국군 제식명 KM193)
강선 : 6조 우선(12인치당 1회전의 회전율)
발사속도 : 약 700~900발/분
총구속도 : 약 820m/s
유효사거리 : 약 250m
제작사 : 대우정밀
‘보병의 애인’ K-2 소총
80년대 중반 이후 군 생활을 했다면 한 번쯤은 ‘K-2’라는 이름을 들어봤을 것이다.
군대를 가지않은 않은 사람들에게 이 이름은 히말라야의 산 이름이나 스포츠용품 메이커로 들리겠지만, 예비역들에겐 ‘애인같이’ 소중히 다뤄봤을 국군의 주력소총 이름이다.
K-2 소총은 1984년 이후 수십만 정이 생산돼 전군에 보급됐다. 공군 및 해군의 일부와 육군의 후방부대만이 아직 ‘M-16A1 소총’을 사용 중이다. 이는 K-2가 부족해서라기보다 M-16A1이 많기 때문으로 보는게 정확하다. 전투경찰들도 K-2를 지급받기 때문이다.
K-2는 박정희 전 대통령이 추진한 자주국방의 일환으로 1972년부터 개발이 시작됐다. ‘차기소총개발계획’에 따라 XB-1에서 XB-6까지의 시제품이 제작됐고 이 중 XB-6이 선정됐다.
XB-6은 다시 XB-7을 거쳐 지금의 K-2에 이르게 된다. 개발시기만 보면 ‘K-1A 기관단총’보다 빠르지만 K-1A가 먼저 양산된 탓에 K-2라는 이름이 붙었다.
이 총은 한국인의 체형이 맞도록 개발됐기 때문에 크기를 줄이는데 많은 노력을 기울였다.
길이가 970㎜로 M-16A1보다 2㎝가량 줄어들었으며 접철식 개머리판을 채용해 개머리판을 접었을 때는 길이가 730㎜밖에 되지 않는다. 다만 3점사 기구와 접철 등으로 무게는 300g가량 더 나간다.
K-2의 정식명칭은 ‘K-2 돌격소총’(Assault Rifle)이다. ‘돌격소총’은 반동이 약한 소구경탄을 사용하는 자동화기를 가리키는 말로, 2차 세계대전을 거치면서 각국의 주력화기로 자리 잡으면서 기존의 ‘소총’과 구분이 모호해졌다. 대표적인 돌격소총으로는 구소련의 AK-47과 미국의 M-16시리즈가 있다.
사용하는 탄은 5.56㎜ NATO탄으로, K-2의 강선은 7.3인치당 1회전이라는 회전율을 갖고 있어 ‘KM193탄’과 신형 ‘K-100탄’을 모두 사용할 수 있다.
만약 K-2에 신형탄을 사용하면 유효사거리가 600m로 대폭 늘어난다. K-100탄은 탄자(彈子)가 구형인 KM193탄에 비해 0.4g가량 더 무겁기 때문이다.
하지만 평소에는 K-1A와의 탄약호환성을 고려해 유효사거리가 460m인 KM193탄을 사용한다. K-1A가 KM193탄에 맞는 12인치당 1회전의 회전율을 갖기 때문이다. K-100탄을 K-1A에서 사용하면 탄도가 불안정해 명중률이 떨어지는 것으로 알려져있다.
◆ K-2에 대한 선입견
1) K-2는 M-16A1의 개량형이다?
우리나라는 베트남전을 통해 처음 M-16A1을 접해본 후 이 총을 역설계해 도면을 만들어냈다. 불법복제를 한 셈이다.
이후 원래 제작사인 미국의 ‘콜트’(Colt)에서 면허생산권을 따내긴 했으나 그만큼 우리나라의 총기제작기술이 부족했던게 사실이다.
그런 상황에서 M-16A1과 K-2를 관련 없다고 단정하긴 어렵지만, 이 두 소총은 작동방식이 다르다. M-16A1이 가스직동식인데 반해 K-2는 가스피스톤방식이기 때문이다.
이는 동구권에서 많이 사용하는 AK-47과 같은 방식으로, M-16계열을 제외한 대부분의 돌격소총은 이 방식을 채용하고 있다.
2) K-2는 M-16A1보다 안맞는다?
총열제작기술의 부족으로 열에 약하고 명중률도 떨어진다는 논리다. 하지만 과거에 쓰이던 M-16A1 역시 K-2를 만든 대우정밀에서 제작했고, 오히려 K-2가 더 나중에 제작됐다는 점을 고려하면 설득력이 떨어진다.
모든 총기들이 그렇듯 K-2도 잘 쏘면 잘 맞는다. 특히 K-2는 원형 가늠쇠를 채용해 초보자들도 쉽게 조준할 수 있다는 평을 받는다. 특히 총구 위에 달린 가스압조절기를 통해 발사속도와 반비례해 반동을 조절할 수도 있다.
3) 개머리판이 불량이다?
K-2의 가장 큰 특징 중에 하나인 접철식 개머리판은 많은 군 장병들의 원성(?)을 사는 단골 소재다.
재질이 플라스틱인 탓에 충격에 약하고 원하지 않아도 개머리판이 접히는 경우가 많다는 것이다.
하지만 이런 경우 대부분은 관리소홀이 가장 큰 원인으로 꼽힌다. 같은 회사에서 만든 것인데 K-2만 약할 리는 없기 때문이다.
또 사용하면서 개머리판 고정나사가 헐거워진 것을 방치하면 틈이 벌어져 덜그럭 거리거나 쉽게 접히는 경우가 발생한다.
이 밖에 부품이 마모되거나 피로가 누적된 경우도 있다. K-2가 M-16A1을 대신해 ‘보병의 친구’가 된지도 벌써 15년이 지났기 때문이다.
◆ K-2 소총 제원
길이 : 730㎜ / 970㎜(개머리판을 펼쳤을 때)
무게 : 3.26㎏(탄창이 없을 때)
사용탄약 : 5.56 x 45㎜ NATO탄(제식명 KM193, K-100)
강선 : 6조 우선(7.3인치당 1회전)
발사속도 : 약 700~900발/분
총구속도 : 약 960m/s(KM193), 약 920m/s(K-100)
유효사거리 : 약 460m(KM193), 약 600m(K-100)
분대의 수호신 K-3 기관총
보병 분대에서 ‘K201 유탄발사기’ 사수와 함께 가장 많은 동정을 받는 병사가 있다면?
열에 아홉은 ‘K-3 기관총’ 사수다.
K-3 기관총은 총 무게만 6.85㎏에 이르는데다 예비총열과 200발들이 탄통 몇 개만 지녀도 15㎏은 훌쩍 넘어간다.
하지만 K-3 기관총은 이전에 쓰인 ‘M-60 기관총’과 비교하면 가벼운 편이다.
M-60 기관총은 7.62㎜ NATO탄을 쓰기 때문에 무게가 10.5㎏이나 나간다. 탄과 예비 총열까지 고려하면 사수 한 명이 운용하기 힘들기 때문에 부사수가 반드시 필요하다. 이에 반해 K-3 기관총은 사수 혼자서 운용할 수 있다.
K-3 기관총이 개발된 이유도 이 때문이다.
M-60 기관총은 보병이 감당하기엔 무거운 감이 있었고 7.62㎜탄은 부피가 크고 무게도 무거워 많은 양을 지니기 힘들었다.
또 베트남전을 거치면서 7.62㎜탄은 보병간의 전투용으로는 지나치게 강하다는 인식도 확산됐다.
미군은 이 점을 인식하고 1984년부터 벨기에 총기제작업체인 FN에서 개발한 ‘미니미’(Minimi) 기관총을 ‘M-249’란 이름으로 도입하기 시작했다. 군의 편제를 개편하면서 분대 화력을 강화할 필요가 있었기 때문이다.
M-249 기관총은 ‘분대지원기관총’(Squad Automatic Weapon)이란 이름으로 분대당 1정씩 지급됐다.
미군과 작전개념이 비슷하게 변해온 우리나라도 K-3 기관총을 만들어 1989년부터 전력화해 지금에 이르고 있다.
K-3 기관총의 정식명칭도 ‘K-3 분대지원기관총’이다.
두 기관총은 5.56㎜ NATO탄을 쓰기 때문에 탄의 위력은 M-60 기관총보다 줄어들었지만 분당 연사속도가 두 배 가까이 늘어났고 휴대하는 탄도 훨씬 많아 효과적인 화력지원이 가능하다.
또 준비한 탄을 다 써버려도 다른 분대원들과 같은 탄을 쓰기 때문에 임무 수행시 유연성도 늘어났다.
◆ K-3에 대한 오해와 진실
1) K-3는 고장이 잘 난다?
예비역 중에선 K-3 기관총에 대해 안좋은 인식을 갖고 있는 사람들이 많다. 지급받은 K-3 기관총을 써보니 탄걸림 현상이 심하고 부품의 내구성부족으로 많은 문제가 발생했기 때문이다.
K-3 기관총이 시원하게 발사되는게 소원이었다는 사수의 증언과 중대에 있는 수십 정의 K-3 기관총 중 100발 이상 연사가 가능한 건 5~6정 밖에 없었다는 주장도 있다.
이는 기관총의 임무가 적들이 고개를 못들게 계속 총탄을 쏟아붓는 것임을 생각하면 심각한 문제였다.
결국 급탄기구와 약실, 연사성능과 관련된 가스압조절기구 등 부품의 개선과 함께 유지보수방법을 강화하고 나서야 불만이 사그러들었다.
2) K-3는 베껴만들었다?
미군의 M-249 기관총과 K-3 기관총은 탄창과 탄띠를 같이 쓸 수 있다는 점과 내부 구조 등에서 닮은점이 많다.
이는 K-3 기관총이 M-249 기관총의 원형인 FN사의 미니미 기관총을 참고해 만들었기 때문이다.
다만 K-3 기관총이 총열의 길이가 533㎜로 더 길고 무게도 가볍다. 부품의 규격에서도 차이가 난다.
◆ K-3 기관총 제원
길이 : 1030㎜
무게 : 6.85㎏
사용 탄약 : 5.56 x 45mm NATO탄 (제식명 K-100)
강선 : 6조 우선(7.3인치 당 1회전)
발사속도 : 700발/분(저속), 1000발/분(고속)
급탄방식 : 30발들이 탄창, 탄띠
유효사거리 : 약 800m
일당백! K-4 고속유탄 기관총
‘퐁’하는 다소 가벼운 발사음과는 달리 명중하는 순간 300개의 파편을 날려 5m 안에 있는 인명을 살상하는 무서운 무기가 있다.
바로 40㎜유탄이다.
비슷한 위력의 무기로 수류탄이 있지만 사람의 힘으로 던지기 때문에 사거리면에서 40㎜유탄과 비교하긴 힘들다.
만약 그런 유탄이 초당 5~6발이 날아온다면? 적군 입장에선 악몽같은 상황일 것이다.
K-4 고속유탄 기관총은 40㎜유탄을 분당 325~375발을 쏠 수 있는 무기다.
이 기관총은 40㎜유탄을 쓴다는 점에서 ‘K-201 유탄발사기’와 같아 보이지만 비행속도가 더 빠른 ‘고속유탄’(40 x 53㎜탄)을 쓴다.
K-201용 유탄은 총열을 떠날 때의 속도가 75㎧정도지만 K-4 고속유탄포는 3배가 넘는 240㎧이다. 그만큼 사거리도 길어져 유효사거리가 1500m, 최대사거리는 2200m에 이른다.
추진력이 더 강한 만큼 반동도 세다. 삼각대가 없으면 사격이 불가능할 정도다.
또 유탄의 반동을 받아내기 위해 크기도 커지고 그만큼 더 무거워졌다. K-4 고속유탄 기관총은 몸체만 34.4㎏이고 삼각대와 영점을 조절하는 전륜기 등을 합치면 약 65㎏에 이른다.
물론 탄의 무게는 별도다. 48발이 들어있는 탄통의 무게는 약 28㎏이다.
이런 이유로 주로 차량에 탑재돼 운용되지만 3명의 보병이 운반하기도 한다.
◆ K-4 고속유탄 기관총의 개발
소총이나 기관총 등의 다른 무기와 달리 고속유탄 기관총은 비교적 최근에 만들어졌다.
미 해군은 베트남전쟁 때 강을 순찰하는 소형 보트에 ‘Mk-18’이란 유탄발사기를 장착했다.
Mk-18은 고속유탄이 아닌 기존의 유탄을 쓰고 손으로 크랭크를 돌리면 발사되는 무기였지만 훗날 고속유탄 기관총의 시초가 된다.
Mk-18은 다시 자동화기구를 갖추고 고속유탄을 쓰는 Mk-19로 발전하면서 지금에 이르렀다.
K-4 고속유탄 기관총은 개량형인 Mk-19 mod 3를 바탕으로 만들어졌다. 두 장비는 사용하는 탄약이 같으며 규격이나 성능 등 많은 면에서 닮은 점을 찾아볼 수 있다.
◆ K-4 고속유탄 기관총 제원
길이 : 1072㎜
무게 : 총몸 35.4㎏(탄약 안내기 포함), 삼각대 19.9㎏, 거치대 10㎏
사용 탄약 : 40 x 53mm 고속유탄(KM383 고폭탄, KM385 연습탄, KM212 이중목적고폭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