풍류, 술, 멋

[조용헌의 영지순례]도선국사의 공부터, 또아리 튼 구렁이가 머리 맡에

醉月 2023. 1. 6. 18:08

전남 광양의 백운산. 해발 1200m급이다. 백두대간의 끝자락이 바다를 마주보고 더 이상 갈 곳이 없어 뭉친 지점이다. 필자가 백운산에 관심을 가졌던 이유는 도선국사가 죽을 때까지 머물렀던 산이라는 점 때문이다. 한국 풍수지리의 대가였던 도선국사는 왜 백운산에서 인생 후반부를 거의 보냈던 것일까.

도선은 35년간 백운산 옥룡사에서 보냈다. 70대 초반에 죽었다고 보면 35세 이후로 백운산에서 살았던 것이다. 풍수적인 이유가 있었다면 무엇이었을까? 풍수의 대가가 임종을 맞이했던 산. 삼복더위가 확실하게 물러나간 10월 초, 백운산을 수백 번 넘게 오르내렸던 전문가 정다임 작가의 안내를 받아 백운산 900m 해발에 위치한 백운사(白雲寺)로 갔다.

산 밑에서 올라가는데 산 전체에 운무가 가득하다. “운무가 이렇게 자주 낍니까?” “자주 낍니다.” 산 이름에 백운(白雲)이 들어간 이유를 알겠다. 산 북쪽으로는 섬진강을 끼고 있고 남쪽으로는 남해 바다를 마주하고 있다. 양쪽에서 운무가 올라올 것 아닌가. 운무가 많이 끼면 산의 본래면목(本來面目)을 보기가 어렵다. 본래면목을 사람에다 비유하면 그 사람의 밑천에 해당한다. 밑천이 어디까지인지를 알 수가 없는 것이 진인(眞人)이다. 진인은 패를 알기 어렵다. 깊이가 한정 없어서 쉽게 추단하기 어려운 캐릭터가 진인이다. 그래서 중국 여산(廬山)의 본래면목을 알기 어렵다는 시가 유명하다.

 

도선국사는 왜 이곳을 선택했을까

여산도 주변에 강과 호수들이 둘러싸고 있어서 1년에 3분의2는 운무가 끼어 있다. 역대 중국의 은자, 도사들이 가장 숨어살고 싶어 했던 산이 여산이다. 난세와 속세로부터 자신을 숨길 수 있기 때문이다. 도선국사도 자취를 감추고 싶어 했던 것일까? 900m까지 비포장도로가 뚫려 있어서 쉽게 백운사에 도착했다. 정다임 작가 말로는 상백운, 중백운, 하백운이 있는데 현재의 백운사는 하백운에 해당한다고 한다. 900m 높이는 초급자가 사는 고도가 아니다. 고단자가 사는 해발이다.

백운사에 들어서는 순간 절 뒤로 바위절벽이 눈에 들어왔다. 바위절벽이 뒤로 병풍처럼 둘러쳐 있으면 일단 터가 엄청 세다고 진단해야 한다. 한쪽 건물에는 도선국사가 기도를 했던 공부터라는 안내문이 있다. 기도를 할 때는 센 터에서 해야 효과가 있기 마련이다. 더군다나 그 옛날에 900m 해발의 바위절벽에 있는 위치한 터는 간단하지 않은 터이다. 백운사 대웅전 건물 뒤의 바위절벽 바로 밑에 건물이 하나 있었다. “저 건물이 뭐요?” “스님 거처예요. 옛날에는 산신각 터였는데 근래에 들어와 스님 잠자는 생활 거처로 바꿨어요.” “굉장히 센 터인데 어떻게 잠자는 공간으로 바꿨나요? 사는 사람이 후달릴 텐데요!” “지난 주지스님 때 바꿨을 겁니다.”

나는 절에 가면 바위 기운이 뭉쳐 있는 가장 센 터에 제일 먼저 관심이 집중된다. 어떤 영험이 있는가를 파악하기 위해서이다. 종교의 핵심은 ‘영적체험’이다. 영적체험 없는 종교는 앙꼬 없는 찐방이다. 종교는 책을 읽고 이해하는 이론 덩어리가 아니다. 몸으로 체험해야 한다. 그 어떤 신비체험 말이다. 그러려면 터가 세야 한다. 일반 가정집은 터가 세면 사고가 생기지만 종교 시설물은 터가 세야 영적체험을 한다. 서로 용도가 다른 셈이다.

위엄 있게 솟은 바위절벽 밑의 산신각 터였던 건물은 ‘연화당(蓮花堂)’이라는 이름의 주지스님 거처로 바뀌어 있었다. 주지스님은 잠깐 포행을 나갔다고 한다. 비어 있는 방을 보기 위해 유리로 된 문을 열어서 들여다보니 침대가 있고 책 몇 권과 다기(茶器)들이 놓여 있다. 스님 방이다. 처음 보는 외부 등산객이 연화당 문을 열고 방을 들여다보고 있으니까 20여m쯤 떨어진 법당 요사채에서 어떤 스님이 얼쩡거리는 필자를 봤던 모양이다.

“왜 거기를 들여다보십니까?” “훔쳐갈 물건이 있나 하고 들여다보는 중입니다.” “뭐하는 분이십니까?” “조사하러 왔습니다.” “어떤 조사인데요?” “백운산에 산신령이 있나 없나를 조사하러 왔습니다.” “댁이 산신령 같은데요?” “아닙니다. 저는 아직 공부가 부족해서 산신령급은 못 됩니다.”

대답을 듣더니만 그 스님이 차나 한잔 하자고 한다. 스님들은 일반 등산객이 오면 대개는 쫓아낸다. 말귀도 통하지 않고 귀찮기만 하기 때문이다. 특히 선방에서 참선하던 수좌들은 술 먹고 다니는 일반 등산객은 잡상인 취급한다. 그러나 필자하고 몇 마디를 나눠 보니까 이야기가 된다 싶었던지 차나 한잔 하자고 선심을 베푼 것이다.

 

쫓겨나거나 버티거나

종무소 한편에 있는 차실에서 커피 한잔을 사이에 두고 문답이 이어졌다. “스님 연화당 터가 아주 세 보이던데 무슨 일 없었습니까?” “일이 좀 있었습니다. 어느날 그 방에서 잠을 자고 일어나니까 머리맡에 큰 뱀이 또아리를 틀고 앉아 있었습니다. 150㎝가 넘었어요. 둥그렇게 또아리를 틀고 저를 내려다보고 있었습니다. 좀 놀랐죠. 뱀이 문틈으로 들어왔는지, 아니면 천장에 다른 틈으로 들어왔는지 모르겠지만, 뱀이 방 안에 들어와 또아리를 틀고 있었으니 참 희한했습니다. 또 한 가지는 자동차 주차를 하기 위하여 후진하다가 4~5m 아래 언덕으로 떨어진 일입니다. 절의 해우소 앞에다 주차를 하려다 크게 다쳤습니다. 두 달간 병원에 입원해 있었습니다.” “두 가지 사건을 겪으셨군요! 어떤 시각에서 이 사건을 받아들이시나요?” “저는 이 사건을 겪으면서 공부가 많이 되었습니다. 하심(下心·겸손)이 되었다고나 할까요. 선방에서 10년 참선한 것보다도 더 공부가 된 것 같습니다.”

터가 세면 이런저런 희한한 사건이 발생한다. 이런 사건을 겪으면서 거기 살고 있는 수행자를 몰아낸다고 할까. 관재수, 법정 소송 사건도 발생한다. 관재수에 몰려 터에서 쫓겨나기도 한다. 밤에 해우소 가다가 발을 헛디뎌 축대에서 떨어지기도 한다. 

이런저런 사건을 겪으면서도 버텨내면 그 터에서 계속 사는 것이고 못 버티면 절을 나가게 된다. 터가 너무 세면 폐사지가 되기도 한다. 이렇게 센 터에서 버티고 살려면 계율을 잘 지키는 게 핵심이다. 신장들이 트집 잡을 수 없는 깔끔한 생활을 해야 한다. 유가에서는 이를 신독(愼獨)이라고 한다. 혼자 있어도 누가 보는 것처럼 생각하고 행동을 조심해야 한다는 것은 쉬운 경지가 아니다. 아니면 공부가 높은 경지에 도달하여 그 터에 사는 산신이나 토지신의 조복(調伏·무릎 꿇고 협조함)을 받는 단계가 있다. 도가 높은 고단자가 그 터에 가면 산신이 미리 알고 인사를 하기도 한다. 고단자도 아니면서 ‘산신 그런 게 뭐가 있어? 토지신 그런 거 별거 없어!’ 하고 무시하면 큰코다치는 수가 있다. 

출처 : 주간조선(http://weekly.chosun.com)